비문학 어려운 지문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11436
수능 기출 비문학 지문 풀다가
이해 안되는 지문 보면 어떻게하시나요?
될 때까지 생각하시나요?
기출풀이강의를 들으시나요??
계속 읽어도 이해가 안되네요...
혼자힘으로 해결하고 싶은데 시간을 너무 낭비하고 있는건 아닌지
인강을 들어야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단과에서면 몰라도 재종인데
-
눕자마자 자고싶은데 참 쉽지않구먼
-
언어이해 3
이건 뭐 언어 읽고 잘 이해하는 거겟지 이건 어느정도 잘 나오려나 지각추론 이게 먼...
-
하나 과탐 틀어서 공대 가산점+ 고점으로 의대까지 노려볼지 걍 투사탐으로 무난하게...
-
아는누나 라이브켯길래 보는데 개귀여움....... 06갓성인인데 ㅈㄴ취함...
-
거기서 더 동그래질수가잇나 이제아주 작도가 가능함 수학시간에 나 엎어놓고따라그려도됨
-
아이큐테스트 2
뭐 뭐 측정함..??
-
지로함이 이게 4
진짜 와다 와
-
이름패티쉬 11
다 그런 줄 알았는데 친구들한테 물어보니까 걍 내 특이었던 거임...
-
아 썅 1
아이큐 테스트 ㅈㄴ 정성스럽게 했는데 결과를 보려면 수수료 이지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왜 4등급임? 에이씨
-
서울대 수시 면접에서 떨어진 과에 정시 넣으면 aa 못받나요? 0
제가 수시 면접떨하고 다른과 정시로 넣어서 붙었는데 문득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
오르비에서도 틀어주나??
-
이 ㅅ3ㄲ 족쳐야해
-
알바끝 6
헤으응 힘들어 낼 11시까지 어디 가야해서 얼마못잠
-
나만 알겟음
-
여자만 임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정지었다는 것은 먼 옛날 남자한테도 시도해보았단 뜻인가
-
근데 옯스타 2
에 뭐 올림…? 난 지금 공부 안하는뎅
-
걍 차라리 맘 편하게 과탐하는게 나았을지도
-
라면 요즘엔 4
진매보다 열라면이 더 맛있는 듯
-
근데 아이큐검사 0
좀 재밌지 않냐
-
계속공급이 들어와!!!!!!
-
300원~500원
-
잘나가던 서울대 출신 증권맨…서부지법 난입 구속돼 '강제퇴사' 1
(서울=뉴스1) 신건웅 김민수 기자 = 서울대 출신 여의도 증권맨이 서울서부지법...
-
의미를 찾지 마시길 바랍니다
-
어우 땀나 12
방이 왜 이렇게 덥냐
-
일단 팔짱 허용에 자습허용 시켜서 좀 여론 좀 누그러트리자
-
말하면 이미지타격이 상당해서 안할래
-
국어 ㅈㄴ 0
유기했는데 ㅈㄴ 그냥 글읽고 십장인마냥 슥삭슥삭 뚝딱 다 풀어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
1. 윤성훈 2. 임정환 3. 이기상 4. 돌고래
-
22수능으로끝내기
-
내가 진짜 저능한건지 아니면 저능한게아닌데 걍 병신인건지 그게궁금함 암산테스트도...
-
하 ㅠㅠㅠ 오지훈과 함께한 내 추억은??
-
큐브 쌀먹핑.. 0
-
초딩 때 마크복돌 깔다가 트로이목마 걸렸는데 거기서 야동사이트가 떠서 그런 거의...
-
하루만 더 새자 7
이거 못 잘 거 같아. 극혐하는거 < 자려고 누워서 눈 감고 잇는데 정작 잠은 못...
-
평능아로 과탐 잘보는거힘들어
-
다리 꼬지마. 팔장끼지마. 턱 괴지마.
-
종강날 강대 두각 시대 물리러들 감금시켜놓고 샤워실에 넣어야됨 급격한 물리력...
-
다들한번씩해봤나보네
-
갤럭시워치7 0
당근으로 구매할건데 40mm 44mm 큰 차이가 있나요?
-
범죄까진 안 가는데 걍 골때리는 짓 많이했네 나 키우는데에 난이도가 있엇겠구나
-
어싸 + 브릿지 + 시중N제 다풀건데 작년실모같은거 구해다가 더풀필요없나요
-
저는 진짜 잣댔습니다..
-
지하철게임슈바 8
외우기귀차나
-
일찍자고싶어
-
졸린데 0
잠자기시름 이럴수가 몸은 졸린데 머리는 깨어잇으래요
-
쭈욱 밤샛는데 머지 나.. 왜... 아직 안 자고 잇는거야..?
-
지능 검사 일부 공개 13
-
역시 봇치더락 프사가 아이큐가 평균적으로 높단걸 확인 고로 봇치=>지능상승 시켜줌
문제를 잘못 이해해서 틀린게 아니라 도저히 지문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분야의 문제를 쭉 풀어보세요.
수능 비문학은 분야별로 나오는 토픽이 거의 정해져 있더라구요
저는 사탐에 경제를 보는데 비문학에 경제문제가 나오면 쑥 훑어보면 바로 답이 나왔습니다
다른 과목을 따로 공부하는건
약간 비효율적이지 않나요??
시간이;;;
제생각인데 이분말씀은 그과목을 공부하란게 아니라 비문학 지문중에서
그분야의 문제를 풀어보라는 말씀이신 것 같아요
경제지문이면 경제지문만 모아서 이런식으로요?
글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배경지식입니다. 배경지식이란 '지문이 다루는 지식을 미리 알고 있다' 이런 것이 아니라 지문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식입니다. 예를 들어 '계약'에 대한 글을 읽고 있을 때 '계약이란 상호간의 사회적인 약속이다'-이게 말이 되는지 모르겠네요. 라고 한다면 약속은 서로가 상대방에 대해 신의를 지켜야 하는 것이라는 지식을 갖고 있다면 계약이 그런 약속을 사회적 관계로써 맺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보통 경제 지문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수요와 공급 곡선을 통해 가격이 정해진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 지문입니다. 가격 형성에 있어서 예외적 현상(네트워크 효과)이 있다는 지문을 만나서 그런 내용을 처음 접할 때 수요와 공급곡선의 내용을 숙지하고 그 곡선(공급이 일정할 때 수요가 상승하면 가격이 올라간다)의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면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내용을 받아들이기가 쉬워집니다.
다음으로는 어떤 분야의 지식을 이해하기 힘든 것과 조금 다른, 그 분야가 지식을 다루는 방식에 서툰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도 위와 같은 방법 즉, 자주 그런 글을 대함으로써 많이 극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와의 차이는, 지식을 쌓는것보다 문제를 탐구하는 방식을 눈여겨 봐야 한다는 점입니다. 글 읽기 경험(print exposure)이라고 하는데, 이것의 축적이 상당히 글 이해 능력과 관계가 있습니다.
글을 읽었을 때 글이 표면적으로 담고 있는 내용 외에도 전달하는 정보가 있지요. 가정하고 있거나 함축하고 있는 것 등인데 그런 정보를 추론해 내지 못하면 이해가 어렵습니다. 지문이 다루고 있는 학문 영역에 대해 잘 모르면(위의 답글) 추론이 어렵습니다. 또한 어떻게 추론해야 할지를 표현에서 발견하지 못했을 때 일어납니다.
오랜만에 들어왔더니 제대로 도움을 드리고 싶은 마음이라 추론을 언급하고 말았는데, 광범위한 내용이라 앞서 답변드린 방법으로 노력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