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날다 [257626] · MS 2008 · 쪽지

2010-12-21 10:44:57
조회수 916

문과서울대느님들 +ㅁ+ 간만에 코렁탕 국사 풀어보세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939



 

시기상 많이들 전투력이 하향되어 있으시리라 생각하지만 한번 올려봅니다.


[★★★★★ 예상 정답률 18%]
14.다음 글의 이 다스리던 시기에 볼 수 있었을 모습을 상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중국 서울에서 돌아온 진주사가 에게 물품을 바쳤는데, 이것들은 각각
천문을 관측하고 백 리 밖에 적군을 탐지하는 것, 심지를 쓰지 않고 돌로 때려서
불이 저절로 일어나게 하는 것인데 서양 사람이 중국에 와서 기증한 것, 매 시간마다
종이 저절로 우는 것, 염초를 굽기 위한 함토, 색깔이 붉은 목화였다. 이 녹봉을 올려
주려 하였으나 명을 도로 거둘 것을 청함을 듣고 이를 따랐다.



1.우리 역사상 최초의 중완구를 만드는 장인
2.현직 왕의 실록을 작성하고 있는 춘추관 관리
3.훈련도감에 소속되어 군사 업무를 보는 벨테브레
4.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이 운영되자 불평하는 대신
5.무예도보통지와 동문휘고의 편찬을 명하는 왕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라따뚜이 · 296184 · 10/12/21 10:49 · MS 2009

    와 진짜 ...뭐지 1번 고려시대삘이 나서

  • 페니 · 281822 · 10/12/21 10:51 · MS 2009

    3번 인조 때 아닌가여? ㅋㅋㅋㅋㅋ 틀리면 캐..쪽...이네요ㅋㅋㅋ

  • 간절함 · 318258 · 10/12/21 10:52 · MS 2009

    3번 아닌가요?? 인조때 삘인데..

  • 파리날다 · 257626 · 10/12/21 10:53 · MS 2008

    네 맞습니다 인조입니다.ㅋㅋ 자세한 해설은 좀 있다가

  • SNU11 · 273288 · 10/12/21 10:54 · MS 2009

    시대는 조선인데 왕까지 알아야 하다니....... 세세하군.,.. 저도 3번 여 벨테브레 ㅋㅋㅋ

  • 설대간다. · 356434 · 10/12/21 10:54

    우 슈발 모르겠다.

  • dank · 273416 · 10/12/21 10:59 · MS 2009

    자명종... 인조 맞나?

  • 올해수능까비 · 353007 · 10/12/21 11:01 · MS 2010

    3번으로

  • 시아네스 · 312547 · 10/12/21 11:02 · MS 2009

    선조때 이광정(?) 세계지도랑 인조때 정두원(?)이 위에 써있는 아이템을 갖고왔던것같은데

    그래서 벨테브레

    올해 풀때 오르비 설포 국사문제는 거의 맞췄던거같은데 ㅋㅋ

  • dhkwk772 · 352721 · 10/12/21 11:02 · MS 2010

    중완구는 최씨집안이네요 답은 3이고, 진주사가 천리경을 가져왓을때,, 인조 시기네요..

    다만 이게 내 지식이었으면 ㅡㅡ 참 좋았건만,,

  • 애매한지규너 · 353759 · 10/12/21 11:02 · MS 2010

    욱 나 국사 34점인디 아픔이 되살아나고 있어...

  • 파리날다 · 257626 · 10/12/21 11:05 · MS 2008

    제시문은 인조 때 정두원의 서양 문물 전래를 의미합니다.


    중국 서울에서 돌아온 진주사가 왕에게 물품을 바쳤는데, 이것들은 각각

    『천문을 관측하고 백 리 밖에 적군을 탐지하는 것』->천리경
    심지를 쓰지 않고 돌로 때려서 불이 저절로 일어나게 하는 것인데 서양 사람이 중국에 와서 기증한 것,

    『매 시간마다 종이 저절로 우는 것』->자명종


    -->여기에 비추어 볼 때 천리경, 자명종, 화포를 들여온 정두원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인조입니다.
    ,


    1.우리 역사상 최초의 중완구를 만드는 장인-->(X)중완구는 조선 초기에 이미 있었던 무기입니다(교과서 임진왜란 지도 밑의 조그만 사진)

    2.현직 왕의 실록을 작성하고 있는 춘추관 관리-->(X)어떤 왕의 실록은 그 왕이 붕어한 뒤에 작성됩니다.

    3.훈련도감에 소속되어 군사 업무를 보는 벨테브레-->(O)벨테브레가 인조 때 사람입니다.

    4.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되자 불평하는 대신-->(X)영조에 대한 설명

    5.무예도보통지를 읽어보고 있는 왕-->(X)정조에 대한 설명




    **4,5번이 각각 영조, 정조인데 영조와 정조를 비교하는 문제가 자주 나오다보니
    선택지에 영조, 정조가 같이 섞여있으면 그 안에서 맴도는 경향이 간혹 있습니다.
    게다가 서양 문물의 전래가 이 글의 주제다보니 영,정조 시기를 떠올리기 쉽기도 하죠.
    매력적 오답인 4,5 안에서 고민하게 하는 의도가 깔린 문제구요, 실제 정답은 엉뚱하게도(?) 3번 입니다.

  • 호모제닉 · 215728 · 10/12/21 11:05 · MS 2017

    333333333333

  • 호모제닉 · 215728 · 10/12/21 11:05 · MS 2017

    뭥미ㅋㅋ 바로 위에 답있네ㅋㅋ

  • 작은곰도리 · 351579 · 10/12/21 11:38 · MS 2010

    아싸 맞췄다 자명종

    근데 왕 이름이 헷갈리다니 ㅋㅋㅋㅋ 숙종이라고 외치면서 풀었네 아나 ㅋㅋㅋㅋ

  • kwjkjw · 334680 · 10/12/21 11:50 · MS 2010

    망원경(???) 왠지 인조 ㅋㅋㅋㅋ 근데 염초 때문에 고려같기도 했음 ㅋㅋㅋ

  • derdeutsche · 307950 · 10/12/21 11:56 · MS 2009

    천리경 때문에 3ㅋㅋ

  • 온리경영 · 357461 · 10/12/21 12:51

    분명난국사1등급을받았는데 왜하나도기억이안나는지 ㅋㅋㅋㅋㅋ

  • 높새­ · 200859 · 10/12/21 13:04

    헉 파리날다님이 수시재벌님이였어요???ㅋㅋㅋ

  • 스커미쉬 · 292253 · 10/12/21 14:54 · MS 2009

    더 놀라운건 인조때 자명종 등 신문물이 들어왔다는 거나 벨테브레가 인조때 들어왔다는 말이 구석탱이에 다 쓰여있다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