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명도 있을까 [446228] · MS 2013 · 쪽지

2013-08-25 19:29:26
조회수 344

e-solution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5751

17쪽 7번문제에서 정답인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3번이 답이 안되는 이유로 앞쪽에 not to explain the line but to ---- a point of poetry 로 제시하였는데 단순히 explain 이라는 단어 만으로 illustrate를 제외해서는 안될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the line은 시구이고 point of poetry는 '단어는 a variable of that situation' 이라서 explain 과 illustrate의 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설명의 대상이 다르기때문에 이것으로 오답이라 하기는 좀 그런것 같습니다.

36쪽 15번문제에서 정답인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지문에서는 culture라는 단어가 하나도 나오지않았는데 어떤 근거로 sterotype을 culture로 추론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승동 · 309234 · 13/08/25 20:04 · MS 2009

    1. 질문은 쪽지 답변이 훨씬 빠릅니다. 제가 영어 태그에서는 글을 놓칠 수 있거든요..

    36쪽 15번.
    단순히 culture라는 단어가 지문에 똑같은 단어가 없다고 해서 그걸 제끼시면 안됩니다.
    Part 1 에서 동의어(정확히 말하면 대용어)에 대해서 배우셨죠?

    지문의 '예시'들을 파악하고 그것을 이해하시면 이것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culture, 즉 지문에 명시된 characteristics of groups/dressing 등등..과 같은 것들의 일종의 동의어구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시들이 이탈리아인의 특징 대한 선입견들에 대해 말하고 있죠?

    17번 7번.
    이 문제가 가장 질문을 많이 받았습니다(지문 자체가 추상적인것도 한 몫 하죠..)
    사람들이 가장 놓치는 게 저것을 한글로 바꿔보면
    "산문적 분석을 하는 것은 시구를 설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빈칸'하기 위해서이다' 이죠.
    이때 빈칸에 또 설명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보면 결국 앞 문장과 모순..즉 지문의 전체 흐름과 모순이 되어버리지요. 그것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