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논리학을 과도하게 수능 국어에서 사용하는 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40355
특정 강사분의 교수 방식에 대한 논의를 떠나서 오히려 상위권 수험생들한테는 역기능이 더 많다고 생각해요
수능 기출이나 예비시행 지문만 봐도, 문장 안에서 논리학적으로 해석되는 부분, 또는 선지에서 나온 단어와 주어진 글 사이의 관계.. 이런 걸 풀 때 논리적으로 지나치게 따지고 들어가는 습관을 들이면 자기 나름의 논리 구조에 맞지 않는 표현이 등장할 때마다 " 어 이건 왜 이렇게 썼지? 이거의 대우가 이거인데 조금 이상한데.." 이렇게 되더라고요
다른 사람 이야기가 아니라 제 이야기예요. 고2 말까지만 해도 그런 강박적인 습관이 있어서 국어 풀 때 힘든 적이 있었는데 고3 들어오고 혼자 기출 여러 번 보면서, 또 다른 현강에서 도움 받으면서 겨우 고쳤던 경험이 있네요
물론 수능 국어라는 과목에 정해진 정답은 없으니까 논리학적으로 독해하는 것이 도움 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적어도 저한테는 정말 안 맞았어요.. 어떤 면에서 힘들었는지 예시도 가져오고 싶은데 일단 그건 나중에 올려볼게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또 1등
-
출석 2등 0
헿 출석부 2등했당 기분조아
-
안녕하세요, 백룡입니다. 지금 반수 중입니다만 제적은 안 당하고 싶어서 전략적으로...
제가 그럼 문장을 문장으로 못읽고 자꾸 의문을 가지게됨
예를 들어서 A는 X이나 Y는 아니다
라는 문장이 있으면 보통은 X이지만 Y는 아니라고 무리없이 이해하는데
(물론 쉼표안찍은 글쓴이 잘못도있지만) 전 자꾸 ~(X or Y) 이런식으로 이해한다거나
와 진짜… 와… 내가 다 갑갑해지네..
저렇게 앞에서 막히면 뒷 내용 다 산으로 가는 건데
요즘은 덜해요 필요충분 전칭특칭에 매몰된거 한동안 텍스트 안읽으니 좀 나아짐
내가 누군가한테도 2주동안 국어 공부 놓으라고 했었음.
보름동안 기출 지문 10개만 보고 암것도 하지 말라고.
맞음. 뭔가 꽂히면 그럼. 잠깐 쉬는 것도 전략임.
박광일도 수능에서 역 대우 이런거 하지 말라고 했음
모 그읽그풀 강조하시는 선생님이 괜히 계속 일타이신 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저도 결국은 그읽그풀이 맞다고봄
태생적 구조독해급으로 체화시키지 않는 이상은 그읽그풀 하게 됨... 그냥 그읽그풀이랑 손가락 걸기를 오지게 연습하면 성적 오르는 듯
216도 들어보고 박광일도 들었는데
시험장에서 c->e 관계나 필충 이런거 없이 그땐 그냥 평소 읽던대로 읽었음
결국 진리의 사바사 케바케지만 지금 시점에서 논리학 공부하면 좀 힘들듯
고1 정도부터 정말 체계적으로 훌륭한 강사한테 제대로 질문해 가면서 배우면 그건 인정.. 근데 겉핥기식으로 용어 몇 개 안다고 되는 싸움이 아닌거같아서요
논리학 지문에서만 쓰면될 듯 건정한 논증이면 뭐더라 암튼 그거다. 2016수능인가 그정도만
논리학 지문에서 논리학 지식 쓰는 건 당연히 도움되는 일이 맞는데 논리학 지문 대비를 위해 논리학을 따로 배운다 이건 잘 모르겠어요 저는 ㅋㄱㅋㅋ 그래도 평소에 자발적으로 논리학에 관심 많았는데 수능에서 유용하게 쓰고 있다 그런 케이스를 못 본 건 아니라서 마냥 논리학이 아주 잘못됐다 이것도 아닌거같구
동의. 수능은 수능답게 풀어야 함.
수험판에 오래 있는 분들은 특히 불필요한 뇌절을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보면 가능성의 함정에 빠지는거. 이것도 될 거 같은데?? 하다가 다말아먹는거임
구조까지는 인정, 논리학은..
현역때 216들으면서 논리학 겉햝기? 한번하니 글읽는게 더 명확해지긴했음 물론 올해는 강민철들음
읽다가 쭉쭉 내려가야되는데 괜히 마음에 걸림
차피 수능국어는 글에 쓰여진 정보만 연결할슈이ㅛ으면 되는데 ㅋㅋㄹㅇ
ㄹㅇㅋㅋ
ㅆㅇㅈ
논리학을 배우면 뭐 쉬워질 수도 있겠다만 논리학을 배우기 위해서까지 시간을 들여야하는지가 의문
한 두시간 투자도 아닐 테고 당연히 쉬운 내용도 아닐 테고...
그 시간에 기출 다시 보는 게 나을 거 같다는 생각도 들고 ㅋㅋ
근데 기초 논리학 정도는 알면 정답근거 찾기가 편하긴 함
한국어 버전 언어추론사고논리학 시험이아니라 “국어”인 이유가 있겠죠?
jj
이원준쌤이 브크였나 초반에 다풀어서그렇지 막상 이원준 풀커리타보면 논리학이 아니라 정보처리 깔끔하게하는법을 더많이얻어감
이원준 선생님은 논리학이 아니라 자기 국어교육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몇 개 이야기하는거 ㅇㅇ.
메가 ㅊㅇㅎ쌤 말하는거 아님요?
언급도 안함 논리학
논리학이 정확히 뭐에요? 구조독해랑 다른 건가요?
216은 논리학 거의 안가르치지 않음?
ㄹㅇ 논리조무사충 극혐ㅋㅋ
간단한게 최고
저도 현역때 논리 따지면서 글을 스킬 사용하듯이 읽다가 재수때 돼서부터 그냥 읽고 푸니까 되더라고요,, 저하고는 방식이 안맞았나봐요
함정있지 않는 이상
그냥 읽고 그냥 푼다
단순하게 생각하는게 낫지 않나여
요즘 국어는 모르겠지만..
-
나 댓글알바아닌데 사건파일3 동의함ㅋㅋ
논리학 자체를 배우는 건 저도 쓸모없다 생각하는데
애초에 수능국어가 논리 기반으로 내는 시험이고 리트같은 어려운 추론같은 건 요구하지 않으니끼 일상생활에서 당연하게 스며들어 있는 수준의 논리만으로도 충분하다 생각해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