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이뇨 고수님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26622
이 문제 서술형 나오면
오줌 생성량과 오줌삼투압/adh의 농도는 반비례하고, 물 섭취 후 혈장삼투압은 감소하는데 adh가 다시 증가하는 시점(2와3사이)에서 혈장삼투압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라고 하면 되나요? 문제 풀 때도 저런 생각으로 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8026622
이 문제 서술형 나오면
오줌 생성량과 오줌삼투압/adh의 농도는 반비례하고, 물 섭취 후 혈장삼투압은 감소하는데 adh가 다시 증가하는 시점(2와3사이)에서 혈장삼투압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라고 하면 되나요? 문제 풀 때도 저런 생각으로 할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항이뇨 고수면 그니까...오줌 안 누기 장인인감...

ㅋㅋㅋㅋㅌㅋㅋㅋㅋ으질으질하네여..
ADH 프로조절러ㄷㄷㄷ
이제 대뇌가 호르몬 중추인..
짠 오줌누기 장인...ㄷㄷ
혹시 저 책 한종철 MDGC인가요?
그런듯요?
맞습니당
인과 관계를 굳이 찾자면 그렇게 해석할 순 있겠는데 그냥 상황진행으로 이해하는게
혹시 안 바쁘시면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으세요? 제가 생명 처음해봐서 죄송합니다
다시 읽어보니 틀린말은 아니네요..ㅇㅇ 시간이 지나서 혈장삼투압이 정상상태로 돌아와서 ADH양도 정상상태로 상향보정된다고 설명하는게 정확할 듯
아하 감사합니다 저도 열심히 해서 고대갈게요!!
반비례보단 그냥 넓게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는게 좋지 않을가요
꼬투리 안 잡히려면
네 그렇겠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