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2011 수능 44번처럼 실제와 달라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97785
당시 저도 약간 배경지식으로 풀어서 논란이 된 답 했습니다만... 이 경우 말고 다른 경우도 있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시켰다 0
흐흐
-
지문 이해하면 1초컷 아니면 뺑뺑 돌게 진짜 잘 만든듯..
-
어제부터 똥을 3
한무더기를 싸고 자빠졌음
-
ㅈ반고 출신이면서 어렵다라는 단어는 차마 못쓰겠고ㅇㅇ,, 그냥 나랑 안 맞았음...
-
앞으론 착하게 살라는 절대자의 암호 ㄷㄷㄷㄷㄷ
-
강러근처 대충 추려옴요
-
왜살지 액체식사로 떼울까
-
어디로 가야 할까 정처없는여행의시작임 점심부터 먹을까
-
국어 시간관리 4
작년 6평 다시 봤는데 언매 11분 문학 25분 독서론+독서 28분이면 문학 푸는...
-
매우 맘에 들어서 매우 기분좋음
-
그읽그풀로 푸는거 좋아하는데 박광일쌤은 어떤가요?
-
98년생이라고..?
-
설사에 치질에 몸은 힘들어죽겠고 또 설사날까봐 뭐 먹기도 부담스럽고 ㅅㅂ
-
수능 만점+서울대 컴공 수시 합격
-
연대 채플에서 하나님이 있다는 것이 증명 불가하다면 하나님이 없다는 것도 증명...
-
자고싶다 0
ㅇ
-
햄버거 김밥 0
?
-
별다른 꿈도 없이 억지로 참아가며 공부하는 수험생들 입장에선 공부도 잘 했고,...
-
오랜만입니다 0
의대 증원 결국 안됐네요 너무 원통합니다 안 오려고 했는데 2006년부터 숙원이었던...
-
언매 인강추천 0
언매개념은 어느정도는 기억해서 빠르게 다 듣고싶은데 강의수 짧은 개념강의 있을까요
-
의대 동결+정시 일반 티오 지역인재 수시로 빼가기
-
더프 전에 하나 풀고가고싶은대
-
골 3
으흐흐
-
졸리다 졸려 1
-
3모 상담 결과 16
인가경 라인에서 서성한으로 오름 굿
-
어 어 이제 오지마라
-
연약 vs 대구한 10
.
-
1, 2 뭐가 더 나을까요 진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4
영어학원 쌤은 정시파이터 하려면 몇백만원 내고 재수학원 들어가서 내신 다 던지고...
-
솔직히 좆간지인데 존나 치열하겠지
-
누군가를 찾아다닐 상황은 안 될 것 같은데
-
이번주 일요일.
-
학교별 깃발이라 ㅋㅋㅋ
-
4덮 전 점검용 공통60분 76점 중 7틀 난이도 중상 1컷88 문학에서 주관개입...
-
엉덩이가 너무 큼 15
진짜 이게 내 인생에 무슨 도움이 될까 바지 핏만 개구려져서 요즘 너무 싫어짐
-
님들 엄기은쌤 6
peak로 기출하고 솔텍하는거 어케 생각함 기출분석의 취지에선 peak가 좀더...
-
일어났어 10
비몽사몽
-
일하는 동네가 수성구라 ㄹㅇ 수치사 할 것 같은데
-
[단독] 정부 "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내일 발표" 9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하고 이를...
-
아무것도입지말라는말은 노노
-
그냥 반에서 조용히 공부만 하는애로 멘티 바꾸고 싶네 2
난 진짜 나름의 직업의식 가지고 할려 한건데ㅜ이딴식으로 나오니까 얼턍이가 없네 이제...
-
저거 정시일반에서 빼갈거 아녀
-
메인으로 이륙~ 이거 나오는 거 그냥 링크 첨부하면 되나요?
-
드디어책이왓군 1
이제 내가 메인으로 듣는 강사중에 1타는 없는거야
-
멘토맨티 남들 다 질문질의받고 강의하는데 우리 맨티님은 갑자기 내신 준비한다고...
-
방금 관찰함 ㄷㄷ
-
땀나네
-
너무 한심하고 학구열이 1도 없어 왜 하자 한걸까?
-
수능 공부할 때는 10
하루에 대여섯 시간 자고 하루에 1n시간씩 책을 봐도 끄떡없었는데 지금은 강의좀...
-
안녕하세요 쌩노베라고 생각해주시고요 일단 독학으로 개념을 한번 읽고...
-
이투스 수학 4
본 형들 있음? 답공유나 난이도 측정좀..
있습니다. 잠시 포탈링크 찾아올때까지만 기다려주세요~
http://mirror.enha.kr/wiki/%EB%8C%80%ED%95%99%EC%88%98%ED%95%99%EB%8A%A5%EB%A0%A5%EC%8B%9C%ED%97%98/%EA%B5%AD%EC%96%B4
엔하위키 미러....군요. 필요 내용만 뽑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04 수능 언어영역의 17번 문제에서 평가원이 복수정답을 인정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른바 "미궁의 문" 문제.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고른 답이 오답으로 취급되었던 경우로, 언어영역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 때 전체 수험생 중 2/3인 44만명이 해당 문제에서 5번 보기인 "실"을 답으로 택했다. 그런데 그것이 정답이 아니었다. 지금 보면 그런가보다 하지만, 당시에는 수능시험에서 복수정답을 인정한다는 것 자체가 쇼킹했기에(그런 일이 가능하단 말인가!) 뒷말이 무성했다.
당시엔 공식적으로 정답 이의신청을 하는 시스템도 없었고, 공론화가 가능했던 것도 시험을 치르고 온 딸의 이야기를 듣고 문제를 제기한 서울대학교 불문과 최권행 교수가 문학평론을 하는 교수였던데다가 문제가 서양문학의 근간인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의제기가 없었다면 그냥 넘어갈 수도 있었던 일. 결국 복수정답 결론이 나왔고 출제위원장은 대국민사과 후 사퇴했다.
참고로 당시 출제된 17번 문제는 백석의 시 '고향'과 그리스 신화 '미노토르의 미궁' 두 지문을 읽고 답하는 문제로, '고향'에서 화자가 찾아간 '의원'(의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도구가 무엇인지를 '미노토르의 미궁' 중의 5개 단어중에서 고르는 것이었다.
원래 출제의도에 따르면 정답은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일단 '고향'을 읽어보면 혼자 앓던 화자는 의원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그리운 고향 등을 떠올리게 되며, 이는 즉 무언가를 얻는 수단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미노토르의 미궁'은 테세우스가 미궁의 문을 열고 비밀의 방에 들어가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죽이고 실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는 내용인데, 여기서 앞의 '의원'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은 결국 테세우스가 괴물을 죽이기 위해 비밀의 방에 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실마리인 '미궁의 문'이라서 답이 ③미궁의 문 이었다.
하지만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테세우스가 괴물을 물리치고 무사히 밖으로 나오려면 실을 이용해야 하므로 답이 ⑤실 이라고 주장했고, 처음에는 이 주장이 무시된 채 3번이라는 잠정 결론이 내려졌으나 행정소송 등이 거론되기 시작하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측은 출제 교수진 7명에게 자문을 구했고 그중 4명만 원래 정답이 맞다고 결론을 내리는 바람에 복수정답이라는 희대의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사실 이것도 위에서 말했다시피 자기 주관이 개입되어서 발생한 것이다. 분명히 '미노토르의 미궁'에서 목적은 괴물을 죽이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미궁의 문을 통과해야 하므로 마땅히 답은 3번이 맞았던 것이다. 허나 자기 주관을 토대로 밖으로 나오는 것을 목적으로 생각하다 보니 5번을 답으로 고른 사람이 너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해설에는 문제가 많다. 무엇보다도 백석의 시에서 화자가 의원을 통해 느끼는 감정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해소되는 반가움, 즉 긍정적인 감정이다. 그러나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죽이기 위해 미궁의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시상과는 정반대이다. 오히려 이 경우,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택한 대로 테세우스가 "다시는 빠져나오지 못할지도 모르는" 미궁에서 무사히 바깥의 안전한 세계로 탈출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실이라는 소재가 주는 심상이 백석의 시에서 의원이 주는 심상과 일치한다. 또한 "병으로 앓아 누워 있는" 화자를 치료하는 의원의 역할과 "미궁을 빠져나오는 데 도움을 주는" 실의 역할도 일치한다. 따라서 오히려 출제자가 자기 주관을 개입해서 무리하게 문제를 출제한 것이라는 의견이 당시 수험생들 사이에서 지배적이었다. 이의를 제기한 최권행 교수도 바로 이러한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사실 이러한 문제가 생기게 된 것은 백석의 시와 테세우스 신화 자체가 잘 들어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백석의 시에서 의원을 만나는 과정은 우연에 의한 것이고 그 계기도 화자가 아닌 의원에 의해 제시된 것이지만,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찾는 것은 뚜렷한 목적성 때문이다. 고향에 대한 추억과 미노타우루스를 죽이러 가는 길 또한, 굉장히 평화적인 이미지와 전투적인 이미지가 서로 들어맞지 않아 지문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았다. 한 마디로 서로 어울리지 않는 두 문학적 소재를 억지로 끼워맞춰 낸 문제였기에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2011 수능 언어영역에서 채권 가격과 금리 변동의 상관 관계를 묻는 46번 문제에 채권 전문가들이 정답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지문 내에서 유추하여 풀어야하는 비문학 문제의 특성상 복수 정답을 인정하지는 않았다. 애초에 지문에는 채권 전문가가 지적한 수준의 전문지식은 적혀있지 않았고, 지문에 주어진 내용으로 문제를 푸는 언어영역에서 지문 외의 지식을 가지고 문제에 들이대는 것 자체가 문제의 취지 자체에 맞지 않는다. 수능 언어영역은 지문에서 설탕이 짜다고 하면, 그렇게 생각하고 풀어야 한다.
아 46번이었군요 저는 44번으로 기억하고 있었네요
미궁의 문도 사실은 3번만 정답이라고 보는 1인, 아마5번도 답이라했던 학생들은 필시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를 봤을학생들인듯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