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2011 수능 44번처럼 실제와 달라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97785
당시 저도 약간 배경지식으로 풀어서 논란이 된 답 했습니다만... 이 경우 말고 다른 경우도 있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은하수를 봤는데 도시 야경 위로 높은 빌딩에 조명에 엄청 화려한데 그 위로 은하수가...
-
생각해보니까 1
어제 한끼도 안먹고 잠들고 좀 전에 일어난거네 어쩐지 배고프더라
-
배고픔
-
인강에회의감이듦 0
어카죠
-
ㅇㅈ 4
사진 없는데 왜 클릭
-
전에 중학교때는 비록 친구도 거의 없고 찐따였지만 그냥 맛있는거 먹고 가끔씩...
-
진짜가 보면 마음이 참 아픔
-
나 1
하하
-
몸이 많이 안 좋구나 15
이제 개학까진 일말곤 나가지 말아야겠다 개학하긴 하려나..
-
4시에 뉴런듣기 0
챔스까지 한 시간
-
. 13
.
-
8살 때 처음 다닌 피아노학원 원장님이 영재라며 되게 좋아하셨던게 문득 기억나네...
-
ㅈㄱㄴ
-
와 역시 넘사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아빠카드 써야지 난 슬픈 삼수생이니까 당당하게 사먹을 수 있다
-
뭐야
-
전 봇치 봇치 외모 못 참아
-
저 키워주실 여르비 구함 가정주부하면서 주식으로 돈 벌게요
-
??
-
근데 확실히 살다가 힘들때 기댈 수 있는 누군가가 있다가 없으면 좀 힘들겠다 10
항상 건강하십쇼 제가 비록 가진건 없지만 위로는 조금 합니다
-
이마데모 4
아오가 순데이루
-
다들 뭐해요
-
내 인생에서 대학을 제외하고는 가치있는것이 있을수없기에
-
죽고싶을때... 0
책장에 드릴 수2있길래 한문제 풀어봤더니 기분 좋아짐
-
진짜 뭔가뭔가임
-
D-266 0
국어 비문학2지문, 문학 현대시 두 작품 분석 어제 다짐한 대로 비문학 글 구조...
-
수학만 백분위 96 97 99 이런거밖에 없다ㅠ
-
살기는 싫은데 죽을 용기도 없어서 그냥 어쩔 수 없이 하루하루 헛되이 보내면서 죽을...
-
유전 제정신임?? 문제를위한 문제라는 평가 듣고 엥 그래도 고교시험인데 ㅋㅋ 하고...
-
날 힘들게 한다는 게 너무 괘씸해서 어떻게 해서든 잘 봐야겠다는 생각이 더 커졌음...
-
합 180도 자너
-
아마 3모까진 다시 힘숨?봇치로..
-
올해까지 망치면 9
진짜로 살 자신은 없음 근데 죽을 용기도 없음
-
너무 좋겠다 ㅠㅠ
-
와 역시 넘사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4시에 머하지 1
4시엔 4시에 해야할 일을 해야겟지
-
스스로 목숨을 끊는건 참 무섭고 하고싶지도 않음 그냥 자연스러운 죽음을 기다린달까...
-
수능 망쳐서 자살하는 사람은 수능을 망쳐서 자살하는게 아니라 수능"까지" 망쳤기에...
-
사탐으로 어쩌다 공대오게되었는데 미적이랑 물리학이랑 일반화학이랑 들어야한다네요...
-
ㅈㄱㄴ
-
사는게 의미가 있을까 10
죽는게 나을지도
-
진짜 개이쁨
-
갑자기 궁금해져서 적어봄 중요하다고 생각함? 특히 수학 ㅆㅂ거
-
앨범 커버임
-
모쏠이라 그런가 3
집착하는 여친은 꽤 좋을것같음
-
헷갈리는거 A ~A로 판단하라고 하시는데 이거 체화 어케 하면 좋을까요..?...
-
으
-
조라요
-
대충 학원학생이 고3인데 지1 선택이고 토요일마다 3시간씩 지구 공부를 하고있다는 내용
있습니다. 잠시 포탈링크 찾아올때까지만 기다려주세요~
http://mirror.enha.kr/wiki/%EB%8C%80%ED%95%99%EC%88%98%ED%95%99%EB%8A%A5%EB%A0%A5%EC%8B%9C%ED%97%98/%EA%B5%AD%EC%96%B4
엔하위키 미러....군요. 필요 내용만 뽑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04 수능 언어영역의 17번 문제에서 평가원이 복수정답을 인정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른바 "미궁의 문" 문제.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고른 답이 오답으로 취급되었던 경우로, 언어영역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 때 전체 수험생 중 2/3인 44만명이 해당 문제에서 5번 보기인 "실"을 답으로 택했다. 그런데 그것이 정답이 아니었다. 지금 보면 그런가보다 하지만, 당시에는 수능시험에서 복수정답을 인정한다는 것 자체가 쇼킹했기에(그런 일이 가능하단 말인가!) 뒷말이 무성했다.
당시엔 공식적으로 정답 이의신청을 하는 시스템도 없었고, 공론화가 가능했던 것도 시험을 치르고 온 딸의 이야기를 듣고 문제를 제기한 서울대학교 불문과 최권행 교수가 문학평론을 하는 교수였던데다가 문제가 서양문학의 근간인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이의제기가 없었다면 그냥 넘어갈 수도 있었던 일. 결국 복수정답 결론이 나왔고 출제위원장은 대국민사과 후 사퇴했다.
참고로 당시 출제된 17번 문제는 백석의 시 '고향'과 그리스 신화 '미노토르의 미궁' 두 지문을 읽고 답하는 문제로, '고향'에서 화자가 찾아간 '의원'(의사)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도구가 무엇인지를 '미노토르의 미궁' 중의 5개 단어중에서 고르는 것이었다.
원래 출제의도에 따르면 정답은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일단 '고향'을 읽어보면 혼자 앓던 화자는 의원과의 대화를 통해 자신의 그리운 고향 등을 떠올리게 되며, 이는 즉 무언가를 얻는 수단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다. '미노토르의 미궁'은 테세우스가 미궁의 문을 열고 비밀의 방에 들어가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죽이고 실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는 내용인데, 여기서 앞의 '의원'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은 결국 테세우스가 괴물을 죽이기 위해 비밀의 방에 들어가기 위한 중요한 실마리인 '미궁의 문'이라서 답이 ③미궁의 문 이었다.
하지만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테세우스가 괴물을 물리치고 무사히 밖으로 나오려면 실을 이용해야 하므로 답이 ⑤실 이라고 주장했고, 처음에는 이 주장이 무시된 채 3번이라는 잠정 결론이 내려졌으나 행정소송 등이 거론되기 시작하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측은 출제 교수진 7명에게 자문을 구했고 그중 4명만 원래 정답이 맞다고 결론을 내리는 바람에 복수정답이라는 희대의 해프닝이 발생하였다.
사실 이것도 위에서 말했다시피 자기 주관이 개입되어서 발생한 것이다. 분명히 '미노토르의 미궁'에서 목적은 괴물을 죽이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서는 미궁의 문을 통과해야 하므로 마땅히 답은 3번이 맞았던 것이다. 허나 자기 주관을 토대로 밖으로 나오는 것을 목적으로 생각하다 보니 5번을 답으로 고른 사람이 너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해설에는 문제가 많다. 무엇보다도 백석의 시에서 화자가 의원을 통해 느끼는 감정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해소되는 반가움, 즉 긍정적인 감정이다. 그러나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죽이기 위해 미궁의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시상과는 정반대이다. 오히려 이 경우, 대다수의 수험생들이 택한 대로 테세우스가 "다시는 빠져나오지 못할지도 모르는" 미궁에서 무사히 바깥의 안전한 세계로 탈출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실이라는 소재가 주는 심상이 백석의 시에서 의원이 주는 심상과 일치한다. 또한 "병으로 앓아 누워 있는" 화자를 치료하는 의원의 역할과 "미궁을 빠져나오는 데 도움을 주는" 실의 역할도 일치한다. 따라서 오히려 출제자가 자기 주관을 개입해서 무리하게 문제를 출제한 것이라는 의견이 당시 수험생들 사이에서 지배적이었다. 이의를 제기한 최권행 교수도 바로 이러한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사실 이러한 문제가 생기게 된 것은 백석의 시와 테세우스 신화 자체가 잘 들어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백석의 시에서 의원을 만나는 과정은 우연에 의한 것이고 그 계기도 화자가 아닌 의원에 의해 제시된 것이지만, 테세우스가 미노타우루스를 찾는 것은 뚜렷한 목적성 때문이다. 고향에 대한 추억과 미노타우루스를 죽이러 가는 길 또한, 굉장히 평화적인 이미지와 전투적인 이미지가 서로 들어맞지 않아 지문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았다. 한 마디로 서로 어울리지 않는 두 문학적 소재를 억지로 끼워맞춰 낸 문제였기에 이런 일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2011 수능 언어영역에서 채권 가격과 금리 변동의 상관 관계를 묻는 46번 문제에 채권 전문가들이 정답이 없다고 주장했으나 지문 내에서 유추하여 풀어야하는 비문학 문제의 특성상 복수 정답을 인정하지는 않았다. 애초에 지문에는 채권 전문가가 지적한 수준의 전문지식은 적혀있지 않았고, 지문에 주어진 내용으로 문제를 푸는 언어영역에서 지문 외의 지식을 가지고 문제에 들이대는 것 자체가 문제의 취지 자체에 맞지 않는다. 수능 언어영역은 지문에서 설탕이 짜다고 하면, 그렇게 생각하고 풀어야 한다.
아 46번이었군요 저는 44번으로 기억하고 있었네요
미궁의 문도 사실은 3번만 정답이라고 보는 1인, 아마5번도 답이라했던 학생들은 필시 만화로 보는 그리스로마신화를 봤을학생들인듯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