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논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86074
의대 논술(의대라고 딱히 다른것은 없겠지만) 준비 어떻게 해야할까요??
무조건 닥치는 대로 문제 풀고 답지 보고 익혀야 하나요?
아니면 적은수의 문제라도 생각하는 힘을 길러야 하나요?
아니면 중요개념 위주로 익혀야 하나요(최대,최소정리) 이런 것 처럼요
대략적인 핀트좀 잡아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부 0
잘하고십따
-
나중에정치할거면 1
오르비경력이방해가되려나 다정리해야될까
-
개념강의는 다 들어서 풀줄 앎 근데 쉬운 4점짜리는 맞추는데 좀만 어려우면 못맞춤
-
좋은아침 9
전 안좋은아침
-
흠 1
걍 토욜도 독재를 가지말까 밥을 안줘;; 주변에 먹을꺼옶는데 함부기라도 있었으면..
-
◕‿◕ 1
◕‿◕
-
보면 기분 더러워진다는 걸 알면서도 습관적으로 보게되는데 볼때마다 인류애가 사라짐
-
얼버기 0
똥글사랑꾼 기상
-
아이디어 스타일과 학원다니며 공부하고있는데 성적이 안나오네요~ 알텍 추천받았는데...
-
문이 좁아졌으니 영광이 더하겠구나!!!
-
ㅅㅂ
-
개피곤하지만 0
치타는 멈추지않는다
-
기영이 숯불치킨 먹고 싶은데.. 어뜨카지.. 혼자 절대 다 못먹음 하......... 연붕이 없나
-
있나뇨? 있느뇨? 이런 말투를 쓴거임?
-
작수 미적 84인데 수1수2 현강 허들링 따라갈만 할까요? 공통은 2개 틀렸습니다.
-
문과나 자연계열은 연애도 하고 놀기도 하는데 공대는 그런거 못하나요? 0
애초에 학점 따기 바쁘고, 자격증도 따야하고, 취업도 일찍부터 준비해야 되서...
-
과외 학생 부모님이 간식 너무 주시는데 거절 어케 함 3
건강한 간식이면 감사히 받아 먹는데 빵, 단 음료 이런거임... 혈당 ㅈㄴ 오를것 같은데
-
ㄹㅇ ㅋㅋ
-
생지 vs 물지 사탐은 하기 싫음. 둘 중에 추천좀 물리는 내신 선택 안해서...
-
그저 슬픔
-
정신나갈거같음 0
범위가죄다말이안됨
-
사실재료역학도xx학도xxxxx실험도
-
잘자요 오르비 0
밤샘롤하다 이제 자러감
-
[스포] 28 수능(예시) 국어 독서 과학·기술 지문 복습시 참조 0
안녕하세요, 디시 수갤·빡갤 등지에서 활동하는 무명의 국어 강사입니다. 요새 현생이...
-
수특으로 개념 공부하고 기출 풀어도 ㄱㅊ?
-
도대체 사탐 뭐 선택하라는겨… 그냥 내가 끌리는거 한다?? 사문 정법 한다???
-
오르비 사망 3
-
쌩노베고 일단 6모전까진 공통때문에 절대 못할거 같은데 6모쯤 보다 더 늦는건 에바임?? 몇월까지?
-
시즌말 경쟁전 6
-
과제 완료 1
씨발... 물리는 잘 모르는 거 세개 밖에 없으니까 이것만 좀 파면 되겠다
-
4덮 물2화2 0
47 47인데 걍 개어려운데 ㅋㅋ 이게뭐지
-
한손으로풀콤이가능해진다
-
별로 얘기도 안했는데 이 친구 보법이 다르다
-
음 7
공부는자고일어나서
-
중간망쳐도되는이유 16
ㄹㅇㅋㅋ
-
원래 화생했었는데 사문으로 런 치고 하나 더 런치려고 하는데 도버히 못정하겠아요ㅜㅜ...
-
몬스터보다도 두근거림이 심한데 마카인가 이런 거 때문인가..
-
영포티 7
나는 올드트웬티
-
친구 없냐는 나쁜 말은
-
내신 자료 만들어주기 너무 힘드네 아 제발 대중적인 것 좀 쓰라고
-
생화학시작조차안햇는데 14
그냥족보만외울까
-
26학년도(25년 시행) 4덮 화학2 주요문항 손필기 1
헤설 맘에 안 드는 것만 풀어봤어요 플이가 잘못되거나 질문은 댓글 남겨주세요
-
혹시 남한산성에서 겨울을 버틸만큼 충분히 식량이 있었으면 청군은 그냥 돌아가야...
-
풀어볼가 30점대맞으면 어뜨카지
-
자러감 4
ㅇㅋ
-
생윤/윤사 강화 지문인가...철학 모르거나 못하는 사람한테는 너무 까다로운 지문이라...
-
반갑습니다 9
오랜만이에요
-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동안 모든 생기부를 90% 사회복지로 썻는데 사회 학과에...
이미 탐색해보셨겠지만 아무도 모른다는... 잘대답도 안해주시고ㅜ
오르비가 모른다면 어떻게 해야되는 건가요??
에피님께서 한낱 오르비언에게 물으신다면 송구하나 소인이 어리석어 잘모르겠나이다
........ 왜 그러세요;;ㅋ
의대논술은 다른과와 다른 문제로 시험보는 학교가 꽤 있는걸로 압니다.
물론 다른 과에 비해 난이도가 훨씬 높죠.
생각하는 힘이 필요한건 당연하고, 답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과 논술은 답이 정해져있고, 그 답을 찾는게 목적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쉽게 못구한다는..ㅋ
그럼 어떻게 준비해나가야 할까요/?
제 경우에는 제가 알고있는걸 다른사람에게 설명해주는게 도움이 많이 됐던거같네요.
고등학교 다니는동안 문제풀이 셔틀생활을 헀습니다ㅋㅋ
문제를 풀 줄 아느냐 만큼이나 간결하고 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느냐도 논술에서는 많이 중요합니다.
물론 이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전제에서 말씀드린거구요
어려운 문제가 나와도 풀수 있냐 없냐는 넓고 깊은 공부로 준비하는 수 밖에는 없네요..
넓고 깊은 공부라는 것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죠? ?
논술만 따로 대비한다기보다는 수능공부를 다른 과목이나 단원과 연관해서 깊이있게 하는 수밖에 없어요.
생물의 호흡단원을 생각해본다면, 같은 생물의 세포, 순환단원과 연계할수도 있구요. 화학의 동적평형, 물리의 기체의 특성등과 연관지을 수 있습니다.
수학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