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19, 20 해설(+추가: 지1 50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846982
지학은 시뮬레이션이라고생각함ㅎㅎ
머리속에 입체 시뮬레이션을 돌리면서 같이 생각해봐요
19번 문제 ㄷ선지
가,나에서 은하는 팽창을 표현해주려고 넣은거같고, 마지막그림에서 A,B는 이제막도착한 우주배경복사니까 현재기준 관측가능한우주의 끝인거임.
우주배경복사가 모든방향에서 균일하다는걸 잘 이해했으면 점점 커지는 구가 구의 중심(지구)을향해서 계속 뭔가 발사하는걸 떠올리면 될거같음. 그 발사체가 도착한 현재시점기준에서 A,B는 관측가능한 우주의 끝인거임.
(나)에서는 당시기준 관측가능한 우주는 더 작았을테니까, A,B를 못보는거죠!
그니까 관측가능한우주 라는 개념자체를 현재 지구기준 구모양으로 가장멀리서 막 도착한 빛이 출발한곳의 집합(=구의 정의랑 비슷하죠?! 즉 구모양)이라고 보면될거같음.
20번 문제
순서는 f(2억)ed단층 부정합 cbag(1억)
ㄱ. A는 고생대아님.
ㄴ. D퇴적이전에 단층이 먼저생겼으면, D가 일자로 쭉 퇴적됐어여했는데 단층영향받아서 상하반 나뉨. 그래서 D퇴적이후 단층생김.
ㄷ. Ed생기기전에 한번 침식됐고, 역단층으로 올라간후에 한번더 침식됨.
추가해설 : 20번유형의 문제도 머리속에서 평면으로 처음에어땠을지를 상상하면서 차근차근 시뮬레이션돌리면 정말 쉽습니다! (그림으로 설명해드리지 못해서 아쉽네요)
기저역암으로 fed는 쉽게판단하셨을거같은데, 역단층으로 걔네가 올라간 후에 위부터 한번 깎여내려간거에요.
잘보면 d위에 기저역암이 오른쪽부터 d e f순서에요(사소한 디테일입니다) 이 순서가 역단층생긴후 위부터 순서대로 침식 한번됐다는 신호임!
참고로 이런유형 문제는 하이탑 지1꺼(순서 진짜 복잡하고 어렵게나옴. 수능따위는 비교가안됨) 퇴적순서문제 싹다 순서적으면서 풀어보면 절대안틀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시험지에서 표현을 못하는것도있고, 이해를 쉽게 시키려고 일부러 평면에 그림으로 표현하다보니까 심화적인 이해가 부족해지는거같아요! 근데 제가틀렸을수도있으니 논리적으로 반박해주시는거 매우환영함. 마조히스트마냥 논리적으로 반박당하면 행복해요
2억 1억 있길래 A 고생대 보자마자 거름ㅋㅋ
비슷한유형 많이 풀어보면 거의 99%는 퇴적구조에서 언제퇴적된거다!라고하는문제는 다 화성암 연대측정 이용해서 틀린선지로 나오더라구요. 물론 고생대 생명체 하나 놓고, 고생대시기 화성암하나 놓은다음에 그 사이순서에 지층하나 껴서 고생대물어보는건 딱한번 어디에서 풀어본적있네요
그외엔 다 틀린선지로밖에 못봤어요(아 이런거 다 문제많이풀어본 경험에서나오는 개꿀팁인데 아 혼자알고있어야하는데 아)
고인물냄새나요 아저씨....
고이고 썩어야 지구과학 아입니까
속성작용중이라 곧있으면 퇴적암될거에요
19번 풀이 완벽하네요~ 우주배경복사 및 관측가능우주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계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