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너 [989527] · MS 2020 · 쪽지

2021-05-18 23:15:15
조회수 815

더프 지구과학 1...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658122

핳하 1번...물어보면서도 좀 부끄럽긴 한데요ㅜㅜ

1번에서 순환세포가 여름에 남하하는거는 왜 그런거고 혹시 어느 단원에 나와있는건가요...?

일단 대기 대순환이니 4-1단원에 잇는거 같긴한데...맞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스티니아누스1세 · 1021975 · 21/05/18 23:15 · MS 2020

    그거 지2 내용이긴 함 근데 추론으로 가능하긴 해서

  • 더듬이 · 1005265 · 21/05/18 23:16 · MS 2020

    지구 자전축이 여름에 태양 반대쪽으로 기우니깐요

  • 22 New Run · 970354 · 21/05/18 23:16 · MS 2020

    개념 테크트리에서 배웠음

  • I had a dream · 1021444 · 21/05/18 23:16 · MS 2020

    1월은 남반구가 여름이니까 그쪽으로

  • 조짐만두 · 918461 · 21/05/18 23:18 · MS 2019 (수정됨)

    남북 순환세포의 경계가 되는 열대 수렴대는 태양복사E를 가장 많이 받는 지역에 형성된다고 생각하시면 편해요

    제일 잘 데워지는 곳에서 공기가 제일 잘 올라가겠죠?

    그래서 지구 자전축 기울기를 생각해보면 남반구가 여름인 1월에 북반구가 여름인 7월보다 남쪽으로 순환세포의 경계가 이동합니다

  • ㅎ너 · 989527 · 21/05/18 23:20 · MS 2020 (수정됨)

    아....!! 이제 이해했어용 가장 뜨거운곳에서 두 헤들리 순환 세포 경계가 생기는 건데, 그 가장 뜨거운 곳이 계절에 따라 조금씩 위치가 바뀐다는 거...죠?!!

    감사합니당ㅜㅜ1번 틀려서 무슨 실수를 한거지 하고 놀랐는데 실수가 아니라서 더 놀랐던...

  • 조짐만두 · 918461 · 21/05/18 23:23 · MS 2019

    네. 해들리 순환과 극순환은 ‘열적 순환’이라는 거 잘 기억하셔야 해요. 대기 대순환 파트랑 기후 변화의 외적 요인 파트의 지구 그림 보시면서 공부하시면 이해가 잘 될거에요

  • ㅎ너 · 989527 · 21/05/18 23:39 · MS 2020

    핳 감사합니다ㅜㅜㅜ!!!

  • 배성민 누가 막을꺼야 · 995773 · 21/05/18 23:20 · MS 2020

    1월 남반구의 여름엔
    남반구가 북반구보다 태복사를 더 많이 받아서
    봄,가을에 비해 남쪽에 위치하니까
    남하하는 거에요. 한대 전선대도 60도보다 저위도에
    위치하구오

  • Mollos · 992090 · 21/05/20 23:24 · MS 2020

    1번 ㄱ이 킬러였음ㅋㅋㅋㄱ 어이없게 1번 하나 틀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