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21수능 6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598113
ㅣ역암ㅣ
ㅣ사암ㅣ
ㅣ이암ㅣ 순으로 퇴적층 그림준 수능 6번문제에서
ㄱ.(가)의 퇴적층에서 가장 얕은 수심에서 생성된것은 이암이다.
이 선지가 틀린 이유가 보기에서 해수면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쌓인 퇴적층이다. 라는 것을 근거로
이암- 사암-역암 순으로 쌓였다는데,
실제로 자연에서 퇴적물이 쌓이는 순서는 점이층리는 극히 일부고 대부분 순서없이 막 쌓이지 않나요?
그렇다고 저 보기를 점이층리의 역전으로 보면 안된다는 근거는 지문 어디에도 없는데, 이문제 맞춘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셨나요? 해수면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쌓여도 역전으로 보는데 지장없지 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차은우 아이폰 15 맥스 후면 찍은건데 말안되지않냐 ㅋㅋㅋ 근데 실제로보면 매부리도...
-
몇년전까지 공익밭이었는데 컷 올라가서 진짜 멸종됐네요
-
그냥 가면되나 사전접수햇는데 일단 신분증 챙기고..
-
싸긴 싼데...충전기가 없음요...ㅠㅠ
-
고2 수학 모고 3-4등급 (공부 안한상태) 모고 성적 갈수록 오르는중 국어 공부...
-
연예인 실제로 처음 보는데 엄마랑 예술의전당 가서 끝나고 가려는데 웅성웅성거리는거임...
-
딥슬립완 5
13시간을 잤구나..정말대단하구나
-
어케 해야할까요 지금 킥오프 수1이랑 기생집 수1 끝냈고 이제 확통도 할려구요 계속...
-
반수는 전과목잘하는사람이 수능에서미끄러진거아니면 할게못됨..
-
하 개졸리네 0
핫식스 사먹어야지
-
크아아악 날살려다오
-
수면내시경을 했거든
-
제가 수능 D-100때부터 공부 시작했는데, 영수는 2, 3 왔다갔다 해서 잠깐...
-
(전략) “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 자유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에 공급망...
-
해주나요????
-
잘자 1
오늘도화이팅
-
귀칼 극장판 흥하네
-
얼버잠 4
-
여깄습니다
-
[속보]트럼프 "한국, 中과 2000년간 51번 전쟁 치른 강국" 5
[서울경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
아침부터 저녁까지 짧으면 30초 길면 1~2분간격으로 크흠흠 큼큼 으흠흠 하면서...
-
조은 아침 12
조은하루보내세여
-
노추 4
-
흐아시발 0
좆반고입갤
-
얼버기 4
학교를 빠졋다
-
여러분들의 좋은 기운은 저한테도 간답니당
-
등원 1
(병원으로)
-
지금 내 기분 1
-
ㅇㅂㄱ 4
오늘부터 공부라는걸 해볼거에요.
-
제곧내
-
feat. 감자까앙 어제 많이 마신 거 치고 멀쩡해!
-
무슨 천둥 소리때문에 전쟁 난줄 알았네
-
등원 6
사실집임
-
비 겁나오고 천둥번개침 걸어가야됨 야발
-
등원 4
졸지 마시고 다들 화이탕~
-
크앙 4
뇸 오늘응 얘 마심
-
등원 완! 5
국어 실모와 하루를 시작 점심에 올게용
-
(?)
-
요즘에 인스타에서 자꾸 뜨는 강사들 오개념지적하는 사람이 한 말인데 2023학년도...
-
등원 1
오늘도 화이팅입니다! '나는 훈련하는 모든 시간이 힘들었다. 그러나 나는 그때마다...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어제 아이스크림사고 검은 봉다리에 지갑이랑 에어팟 다 때려넣고 그대로 냉동실에 넣었네 ㅋㅋㅅㅂ
-
정말 최고의 복이다..
-
7덮 국어 96 수학 86 8덮 국어 82 수학 96 뭐가 문제인거지ㅜㅜ
-
ㅇㅂㄱ 0
공부시작
-
고2고 최근에 사서 1회 풀어봤는데 52분 12번 틀인데 괜찮은건가요? 12번...
-
열차언제옴 2
ㅈㄴ더움 ㅅㅂ
-
와 원룸이 덜덜 떨리네 ㄷㄷ
점이층리는 하나의 퇴적층에서 나타나는 퇴적물의 경향입니다. 아래에서부터 역암-사암-이암 순으로 나타나는 상향세립화 경향과는 다릅니다. 참고로 이건 지구과학1 범위를 넘어선 설명이긴 해요. 여튼 포인트는, 지층에서 나타나는 상향 세립화 경향과 점이층리는 완전 다른 차원의 이야기라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 문제는 애초에 상향세립화나 상향조립화 경향을 몰라도 풀 수 있습니다. 해양 퇴적환경 중 대륙붕에서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자갈, 중간 깊이에서는 모래, 깊은 곳에서는 진흙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당연히 역암이 수심이 가장 얕았을 때 쌓였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애초에 역전을 고려할 여지가 없는 문제입니다.
질문자는 아니지만 설명이랑 강의 잘보고갑니다 궁금해하던 내용이라 검색해서 들어왔는데 속시원하게 해결되었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정리하면, ㄱㅆ님께서 지금 점이층리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습니다. 점이층리는 한층의 지층에서 퇴적물의 입자가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입니다. 아래부터 역암-사암-이암층이 나타난다고 해서 그것을 점이층리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또, 퇴적환경을 학습할 때 대륙붕 등에서 수심에 따른 퇴적물 입자 크기 경향 부분 학습을 놓친 것 같습니다. 해양 퇴적환경 중 대륙붕 부분을 공부해보시면 문제의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이 가능하실겁니다. 혹시 해수면 상승 혹은 하강에 따른 상향 세립화/상향 조립화 경향에 대해 학습하고 싶다면 https://www.ebsi.co.kr/ebs/lms/lmsx/retrieveSbjtDtl.ebs?courseId=S20210000223 이 강의의 12강 6분 5초부터 참고해보세요. 제가 하고 있는 강의입니다.
강의영상 보고 많이 배워갑니다.
근데 강의영상에 나오는 대륙붕 주변에서의 해양퇴적환경 부분 내용은 어디에 나온건가요? 수특에도 없도 다른 인강교제에도 못본거같아요.
현행 지구과학1 교과서에 직접적으로 언급된 내용은 아닙니다. 다만, 중학교 과학에서, 해안에서 바다쪽으로 멀어질수록 퇴적물의 평균 입자가 작아진다는 내용이 그림자료와 함께 등장합니다. 따라서 저는 대륙붕의 퇴적환경에 대해 설명할 때 해당 내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운반거리가 멀수록 평균적으로 퇴적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은 퇴적환경을 학습함에 있어서 중요한 기본 원리이므로, 충분히 가르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상향조립화/상향세립화에 대한 내용은 작년 수능 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위해 일부러 교육과정을 다소 넘지만 가르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