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실의 길이가 직접적으로 퍼텐셜에너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할게요(U도 바꾸면 용수철이잖아요). 또, 편의를 위해 단진자를 예로 들게요.
단진자의 운동에너지 T는 θ(각변위), θ', l(늘어난/줄어든 실 길이), l'에 대한 함수로 쓸 수 있을거에요. 이들 각각은 시간 t에 대한 함수이고요.
중력퍼텐셜에너지 U 역시도 θ, l에 대한 함수로 써질거에요.
그러면 eq . of motion 역시도 θ, θ', l, l'에 따른 방정식인 것을 알 수 있어요.
(사실 이 부분은 라그랑주 역학이기 때문에 가볍게 적었어요. 간단히 말하면 L=T-U를 가지고 똑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입니다)
그럼 이걸 다시 뉴턴 역학적으로, 힘에 대해 분석해보면 실의 장력은 l에 대한 함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거에요.
일단 실의 길이가 직접적으로 퍼텐셜에너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할게요(U도 바꾸면 용수철이잖아요). 또, 편의를 위해 단진자를 예로 들게요.
단진자의 운동에너지 T는 θ(각변위), θ', l(늘어난/줄어든 실 길이), l'에 대한 함수로 쓸 수 있을거에요. 이들 각각은 시간 t에 대한 함수이고요.
중력퍼텐셜에너지 U 역시도 θ, l에 대한 함수로 써질거에요.
그러면 eq . of motion 역시도 θ, θ', l, l'에 따른 방정식인 것을 알 수 있어요.
(사실 이 부분은 라그랑주 역학이기 때문에 가볍게 적었어요. 간단히 말하면 L=T-U를 가지고 똑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입니다)
그럼 이걸 다시 뉴턴 역학적으로, 힘에 대해 분석해보면 실의 장력은 l에 대한 함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