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세계사 한 문제 126일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480361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사회탐구 선택자 218,154명 중 19,055명이니, 사회탐구를 선택한 학생 중 8.7%만이 세계사 과목을 응시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세계사 과목은 선택자 수가 상당히 적은, 일명 '마이너 과목'입니다.
마이너한 과목이라 그런지 세계사 과목과 관련된 컨텐츠는 풍부하지 않다 못해 거의 바닥을 보이는 수준이며, 이는 제가 수험 생활을 하며 뼈저리게 느낀 부분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매일, 제가 직접 만든 세계사 문제를 한 문제씩 제공하여, 세계사 과목을 선택하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126번째 날입니다.
어린이날이네요.
저도 어린이니까,
놀아야겠어요.
라고 말해도
N제 만들어야죠.
126번째 문제는 중국사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냈나 싶기도 하고...?
제가 종종 내는 어원 소재의 자료입니다.
이렇게 깨알상식 쌓아가시면 좋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근데 그냥 교수가 냈다 이건가
-
의대 세네명 3년전은 6명도 감. 24 불때는 1명 감 Sky는 합쳐서 세명도...
-
12월1일에 시작하긴 함
-
재수생이면 시간 충분 미적 고고
-
나도 서울 살고 싶어 ㅠㅠㅠㅠ
-
평균값정리를 만족시키는 X값을 함수값으로 하는 함수 1
그런 함수 관련 추론문제 23학년도 수능 이전에 일본이나 중국 시험문제에서 나온적 한번도 없나?
-
https://www.bai.go.kr/bai/result/branch/detail?...
-
우우우우우흥 3
우흥
-
내신 1.65 10
ㅈ반고면 일반적인 인식으로 어디 간다고 보나요? 자연대, 생기부 평타라면...
-
통화중 음성 분리 모드 켜기1. 통화하는 동안 화면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서...
-
안녕하세요. 올해 수능 응시할 3수생입니다. 먼저 제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현역:...
-
잘라야하는데 도무지 시간이 나지 않네요.... 인싸들마냥 사람들 만나러 다니느라...
-
그런거 어디서보는지좀 알려주세요
-
과대가 전화나 문자로 연락 오고 초대 되는거죠? 제가 직접 뭐 찾아봐야 하는 건 아니겠죠?
-
오르비는 안해봣을것같은 공부열심히한 귀엽지만 고상한 신입셍이 되기 위해 오늘도 커피...
-
고수탑 위콤 리사이트 삽니다
-
1. 문학 교과서는 크게 4가지 단원으로 서술 되어 있음 - 문학의 특징 - 문학...
-
스블 복습 1
현재는 김범준쌤 스블 복습 철저히 하면서 따라오고 있습니다 그 후에 엔제 풀면서...
-
고능아풀이같아서 힘드네.. MaxMin은 잘썼는데 점화식 그래프로 해석하는게 아직힘든듯
-
서고연성서한?
-
어과초 3화를 보고 미약이 뭐지..? 싶었던 게 중2 9년 전
-
ㅈㄱㄴ
-
올해 문과입결
-
대가대 경제학과 합격수기가 있는데 머지
-
1학년 힙합동아리 2학년 볼링동아리 3학년 당구동아리
-
동아리 1
웹툰 언제 올라오냐!!!
-
'서클'을 아주 잘 대체함
-
공보의/군의관 가지마라 14
이유는 설명해준다 올해250명 선발예정이다 700~800명 뽑던거를 250명...
-
월월월
-
본인은 ㅈ반고 재학중인 07 아이러니하게도 내신 따기가 쉽지 않다 일단 모고 봐도...
-
와...
-
수1은 들을건디 수2는 진짜 잘 모르겠네 이게 필요한가요 전 딱 시간갈면 21 22...
-
독학하기 ㄱㅊ게 교재 내시는 강사분 있나요?? 모든 지문을 다 듣기엔 시간이 아까운것같아서요
-
생각보다 오오오래 걸리는 구나
-
2월도 끝나가네 1
좀 있으면 3월이라고? 09가 고등학교 입학을 한다고? 12가 중학교 입학을 하고...
-
자신감이 별로 없습니다..
-
덜덜덜덜푸하학
-
1. 자료 다 보내줌? 2.시대인재 강사를 들어본적이 없는데 공통기준으로 몇등급이 듣기에 적합?
-
학교 마저 자퇴숙려제 쓰거나 아얘안나오는애들 보면 ㅈㄴ 피폐해져있음 학교라는게 ㄹㅇ...
-
아니네...
-
마조도 아니고 어떻게 수능공부에 중독되지 신기하네
-
학잠 2xl 입어도 되나요?
-
시러이새꺄
-
여기만 입결이 유독 높던데 특별히 아웃풋이 잘나온다던가 하는 이유가 있나요?
-
샤프 뭐 쓰지 0
잃어버림...
-
교육청 모고 풀어봄요? 풀세트로용 고민되네 흠
-
과탐 계속 하시면 됩니다~
-
더프도 필수임? 10
더프사서 집에서 풀어봐야하나 굳이 안풀어도되나 모르겠군

잌ㅋㅋㅋㅋ상식 차원에서 알아두시는 것도...?
저도 다음 생에...
캐세이퍼시픽이 거란에서 유래했다는 건 지적 허영삼아 알아두시는 것도...?키키

별말씀을요 히히믿지님도 항상 수고 많으십니당
3번!!
동사베이스인데도풀리네용이거는

정답!중국사는 동사러라도 풀어보시면 좋죠.
금나라가 무너뜨린 왕조라면 요나라인가요?

정답!
내일을 노려봐요거란, 정답 3번
미국이나, 유럽 등. 영어권 국가들은 중국을 'china'라고 부르나, 러시아 및 동유럽,중앙아시아에서는 중국을 '키타이'라고 지칭하더군요.(실제 독일에 있었을때, 러시아 사람 만났던적 있었고, 러시아사람과 얘기나누던중 확인했었습니다)
그 키타이의 어원이 거란에서 왔다는것.

정답!아무래도 러시아 쪽은 거란 등의 북방민족과 직접 접촉했으니...
지금은 거란어가 사멸했으나. 가장 흡사한 언어가 몽골어가 있죠. 대략 4촌관계랄까요?
그쵸그쵸
아 참고로 이 문제는 4회 모의고사에 낸 문제입니다.
거란! 3번
케세이퍼시픽에서 케세이가 중국인건 진짜 처음 알았네요 ㅋㅋㅋㅋ 그동안 케세이...? 케세이가 어디지 캐나다쪽인가 이러고 있었는데

정답!의외로(?) 중화권 항공사였답니다.

꾸준추독도바다님 근데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려요
비잔티움의 둔전병제랑 당나라의 부병제는 둘다 농민한테 땅 주고 유사시에 병력으로 끌고온다는점에서 비슷한 제도라는 생각이 들었는데...맞는건가요?
수특에는 부병제에 대해 따로 설명을 제시하지 않고, 둔전병제에 대해서는 '군역에 종사하는 농민에게 그 대가로 토지를 지급한 제도'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얼핏 비슷하게 여길 수 있는데, 약간 다른 제도입니다.
둔전병제는 '병사'(수특의 표현을 빌리면 군역에 종사하는 농민)에게 토지를 주어 평상시에 농사를 짓게 한 것이고,
부병제는 '농민'에게 땅을 준 후 그 대가로 병역의 의무를 지게 한 것입니다.
중국에서도 부병제와 별개로 둔전병제가 실시된 적이 있습니다. 삼국시대의 조조가 둔전병제를 실시한 대표한 인물이죠.
이해가 잘 되셨으려나 모르겠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해 주세요:)
아 쬐금 다르네요...
그러니까 음...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모르겠는데
둔전병제는 지금 현역으로 군대 가 있는 사람들한테 농사 짓게 하다가 일 터지면 총 주고 전쟁하는 제도고
부병제는 농민들한테 땅 나눠주고, 유사시에 징집한다...이렇게 이해했는데, 맞으려나요?
사실 이거 차이가 시험에 나올거같진 않긴 한데 ㅋㅋ 그냥 공부하다 궁금해져서...
네 그렇죠.
정확히 말해 부병제는 유사시에 징집한다기보다는 일정 기간 동안 복무하게 하는 것이라 볼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