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중 [410159] · MS 2012 · 쪽지

2013-07-09 13:22:50
조회수 898

물리학과? 지구과학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35301

물리학과나 지구과학과 같은경우는
대학가면 차원이 다른느낌을 받나요?

작년에 물리 공부하면서 재밌고 물리관련 생활책도 읽으면서
관심도 조금가더라구요..

여태까지봐오고 접해본거만 보고 재밌고흥미있어서
가는거라면 안쓰는게낫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alvia · 422680 · 13/07/09 13:30 · MS 2012

    가고싶은 대학 홈페이지 해당학과 들어가서 커리큘럼보고 그 과목 책을 한번 서점가서 보세요

  • Poetam · 330158 · 13/07/09 14:56

    물리학은 확실히 다른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수학과의 연계도 확연히 늘고요. 하지만 재미는 있습니다. 고등학교때에 비해 계산의 압박은 줄어들(?)긴 하지만 이해의 비중이 늘어나니까요.

  • 카페인@ · 451293 · 13/07/09 14:58 · MS 2013

    물리 학부과정보면 산수 못해도 되나여??ㅋㅋㅋ

  • Poetam · 330158 · 13/07/09 16:14

    산수....전 계산기 씁니다... 아무래도 잘하는것이 더 좋겠죠

  • 독재중 · 410159 · 13/07/09 16:17 · MS 2012

    수능전까지 배웠던것, 서적에서파는 생활물리책같은것들에 흥미?관심?이 있었다면 쓰는게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막연한상상일뿐일까요?ㅠ

  • Poetam · 330158 · 13/07/09 16:40

    쓰는게 좋죠. 막연한 상상은 아닙니다. 엄연히 고교과정은 대학과정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며, 관련이 있기 마련이니까요. 다만 [고교과정]이 앞으로 배워나갈 물리의 "틀"이라고 생각하시면 곤란합니다. 말 그대로 고교과정에서 배우는 물리지식들은 "대학과정에서 배울 진정한 물리들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와 대락적인 예시"이며 결코 틀이 아닙니다.

    고교과정에 흥미가 있었다면 대학교때도 흥미가 지속되는 경향이 많습니다. 써보세요.
    다만, 수학의 경우 미적분학을 잘 계산한다면 수학과를 쓰기보다는 물리학과를 쓰는게 좋다는 말이 있죠.
    수학은 차후에 가면 "계산"보다는 "이해와 논리와 발상"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니까요.

  • 독재중 · 410159 · 13/07/09 16:51 · MS 2012

    조언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