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제 121번으로 보는 EBS '문제'의 불완전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30451
이전에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EBS 공부법: http://orbi.kr/0003582406
EBS에 대한 오해와 답변: http://orbi.kr/0003647966
안녕하세요. 승동입니다. 이제 여름인데 수험생분들 다들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지 궁굼하군요.
저도 열심히 컨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오늘은 문제에 대해서 질문을 받은게 있는데, 그 문제를 통해서 EBS 문제 중 일부는 불완전한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물론, EBS 문제의 대부분은 훈련가치가 있고, 지문이 문제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일단 논란의 여지가 조금 있는(?)문항입니다.
이 문항을 맞추신 분들은 크게 세 가지 부류로 나뉘는 듯 합니다.
1: '당연하게' 푸신 분들+근거도 잡음
근거의 예: popcorn과 같은 유형(form)이 아니므로 중요하지 않음.
소멸한다->시간이 지나면서 중요성 감소?
2: 나머지 선택지가 명백해서 1을 고름
3: 지문의 주제를 '경험의 중요성'으로 잡고 고민하다 못 풀거나 다른 선택지를 고르신 분들.
주로 3번에 대해 질문을 받거나, 수험생들이 의문을 품는 경우가 있어서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 지문은 사실 위에 한 단락이 생략되어 있는데, 이 단락은 다음과 같습니다.
------
The travel and hospitality industries offer services to tourists and visitors; venues also offer services to audiences of sports, attractions, and activities. Services are designed to Stagediving as entertainment make entertainment pleasant for its consumers and audiences. What makes entertainment different than products and services is its experiential component. Unlike products and services, experiences are perishable—they last only as long as we are participating or watching—and intangible—they are of the moment and have ever-changing content.
------
윗 문단에서 'perishable'의 개념과 'intangible'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experience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인데(일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와 다른),
perishable은: 참여하거나 보고 있을때만 존재하는 것, intangible은: 순간에만 있고 매 순간 내용이 변화한다는 특징입니다.
즉 앞문단에서 product와 같은 유형과 entartainment의 차이점을 설명함으로써 글이 시작됩니다. 또한 용어의 개념이 앞 문단에서 설명되고 있는데 EBS에서는 이 앞문단을 잘라낸 채로 뒷 문단만 출제했기 때문에, 전체적인 글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지문의 주제를 '경험(experience)의 중요성'으로 잡거나
혹은 '경험의 가치'로 잡힐 수 있습니다. 후자로 잡으면 괜찮은 편이긴 하지만 전자로 잡으면 1번 선택지를 고를 수가 없었습니다.
두 문단을 붙여본 원문을 아래에 넣어보고 글의 흐름을 파악해보겠습니다.
The travel and hospitality industries offer services to tourists and visitors; venues also offer services to audiences of sports, attractions, and activities. Services are designed to Stagediving as entertainment make entertainment pleasant for its consumers and audiences. What makes entertainment different than products and services is its experiential component. Unlike products and services, experiences are perishable—they last only as long as we are participating or watching—and intangible—they are of the moment and have ever-changing content.
The crucial time-bound aspect of entertainment is is its perishability. As with fruit, experiences are time-sensitive, and they diminish in importance as time passes. Unlike souvenirs we purchase as mementoes, experiences cannot be taken home—they survive in our memory rather than in our shopping bags. We can purchase a book, but the experience of reading is nonetheless mental. And while the book jacket and graphics may seduce us into buying the book, the experiential pleasure of that book lies in its verbal consumption. Not investments
결국 perishability가 윗 문단에서 '그 순간에만 존재하는 것'이라고 윗 문단에서 확실히 말하고 있으므로 diminsh(혹은 dwindle이나 disappear도 되겠지요)가 들어가는 것은 자명합니다. 하지만 이 문단만 주어질 경우에 수능에 출제되었으면 정답시비가 많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이 글은 EBS를 무조건적으로 비판하는 글이 아닙니다. 저는 EBS 학습을 옹호하는 편입니다. 의문점을 해결하는 측면도 있고, EBS 문제들이 100% 고퀄리티는 아니라는 점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술은 딜레마인듯 6
한병 더 까면깔수록 한병이 더 마려워짐
-
하루에 한 지문으로 알고있는데 그럼 권당 독서 3지문 문학 2지문이 들어있는건가요?
-
집착은 7
집 잘들어갔어? 오늘 누구랑놀아? 까지가 딱 적당란듯
-
동기 만나고옴 1
다들 인싸군 흠흠
-
1월엔 평일에 관독다니면서 풀공부햇는데(평일만) 2월은 거의 놀음 여행도 길게...
-
무물보 14
질문좀 해줘~~
-
하니 8
-
황당하네 ㄹㅇ 6
얼굴사진 보내줬는데 킹쁘긴한데 좀 쎄한 일진같아서 걍 차단함 뭐지 ㄹㅇ
-
공스타맞팔해요 15
저 부산사람아닌데맞팔거신 부산대분죄송해요 부산대도안다니고 부산사람도아닙니다 .....
-
마감당함 1
자러가라는거겠죠
-
흠 고민이네
-
무슨 예능만드는 사람들이라는데 사이비인줄알고 끝까지 의심했는데 아니었음 좋은 사람들이었던것같음
-
선넘질문받음뇨 12
답변은 제 맘대로 할거라 ㄱㅊ
-
딱 5년. 11
30살 쳐먹는 5년 뒤에도 변함없이 도태되어있으면 부엉이바위 가서 투신 라이브 켜야겠다
-
헤헤
-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시나요? 원하는 진로는 IB나 컨설팅펌인데 CFA를 준비해서...
-
장기 털리냐??ㅋㅋ 나 피드도 없고 하이라이트도 내렸는데 스토리도 얼굴나온거 별로 안올렸는데
-
ㅅㅂ좆됐네
-
확통 질문 1
같은 공 같은 그릇일뗀 안나오나요? 그리고 어떻게 구하나요?
-
한두명 제외하곤 내신만 해줬더니 별 생각 없이 문제집 난이도만 고민했는데 미안하다 애들아
-
개인시간에도 짬내서 공부하심?
-
실상은 별거 없음
-
난 자존감이 낮아져야하나 싶기도 하고 좀 이상해 한 게 아무 것도 없는데 뭐가 그렇게 기분이 좋지
-
26은 원래 응시예정 없었고 27수능만 고려중이었는데 입시에서 손 놓았더니 점점 안...
-
이런 집착은 개좋음 11
내 이상형인 여친이 이러면 개귀여울듯
-
전형태랑 너무 안맞음
-
저요
-
쪽지 보냇어요 0
확인 좀
-
마무리 제대로 하고 싶어서 한 시수 추가함 하 다음주면 진짜 끝 내일 일정...
-
아.
-
군대갔다와서 차 한대 뽑아야지...
-
241122 171819 가형 30이랑 비빌만 한듯 7
지금 미적 어려워서 어지간한 가형 30번급은 되나 171819는 성역마냥 동급이다란...
-
옛날 옛날에~
-
어차피 sm명함받은 의대생은 얼굴이며 머리며 스펙이 저희들보다 훨씬 뛰어나서...
-
책장 ㅇㅈ 2
하하..
-
똑같은 사진 넣어도 이럼 근데 40 위로는 절대 안 가는걸로 봐선 범위는 대충...
-
한의대 사1과1 3
한의대랑 약대 생각중인데 한의대때메 사2하려다가 약대는 과1사1 이 유리하대서...
-
어디 가버림 나홀로 남음 내가 줠라 올려도 아무도 안봐주겟지 슬프네
-
저는 수시로 넣으렵니다푸욱푸욱
-
아시발 2
실모존나어렵네 에휴
-
죽기싫어 3
그럼 죽어라니
-
군수 0
공군 vs 해군 전자병 뭐가 더 나음
-
수능 이지하다 2
찢어버려야지
-
알려죠
-
수능 어려우다 2
포기하ㄴ다
-
재밌는거 추천 좀 10
너무 심심함
-
발이 피곤하구나 마사지가 필요햐
-
취미 ㅇㅈ 5
아주 간단한 코딩하기
저도이게좀이상해서4번찍엇네요걍...1번앞에뭔내용이더들어와야답이되슨데
experiences의 특징이 해당 문단에 나와 있는 것으로 충분히 파악되지 않나요?
perishability -> perishable = 소멸하기 쉬운 = 썩기 쉬운
As with fruit -> 과일과 유사하다 time-sensitive -> 시간에 민감하다 = 시간이 흘러가면 문제가 생긴다 .
experiences are intangible, with ever-changing content. -> intangible = with ever-changing content
한 문단이 추가된다고 해서 perishable에 대해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는 것 같지는 않은데 그 문단이 없다는 것으로 인해 정답의 시비가 생길까요? 만약에 perishable의 정의가 없어서 틀렸다면 어휘를 몰라서였거나 문맥을 통해 experiences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요?
사실 논쟁(?)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그래도 답글 달아주셨는데 달아야 할 거 같아서 답글 답니다.
기분 나쁘게 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물론 perishable=perish의 의미는 다들 압니다. (그렇게 푼 학생도 많고, 설명할때도 그렇게 설명합니다)
그런데 소멸하기 쉽다, 변화하기 쉽다=중요하지 않다
라는 의미가 도출되기는 조금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늦게 달았지만 내일도 좋은 하루 되세요 ^^
논쟁이라기 보다는 토론이죠 ^^ 이런 내용을 보는 학생들도 덕분에 영어를 깊이 생각할 기회를 가질 수도 있을듯 하구요... 연구하는 분위기가 오르비와 어울릴 것도 같아서 글을 써봤습니다.
네 알겠습니다 ㅎ 시간 내주셔서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는 perishable이 명백한 근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단어가 유일한 근거이기도 하구요. 다만 문단이 주제가 바뀌어버려서..
이 문단의 주제를 경험의 중요성이라든지 그 외의 주제로 잡으면 독해를 잘못한겁니다. 이 문단에는 주제가 없거든요.
여러 중심내용들을 통합하는 문장이 없는데 주제를 잡는건 비약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세히보니까 이 문단에서는 entertainment와 experience의 연결고리가없어서 문제 자체가 성립이 안되기는 하네요. 이건 자명한 ebs의 실수인거같음
저 이문제 틀렸었는데ㅠ
상변선생님이 말씀하신거처럼 지문에있는걸로 파악해서 답은 잘썼는데
첫문장이 뭔가 뜬금없이 시작하는거 같았네요/
뭐 EBS 특유의 가위질이 불러오는 폐해죠...
As with fruit, time-sensitive 보고 답은 맞췄는데
다른 글 내용이랑 답이랑 그닥 관련성은 없어보이는 이상한 문제
1번 보기가 틀린 것은 맞는데(즉 답인 것은 명확한데), 나머지 보기들이 그 어휘여야만 하는 필연성을 가지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4번의 경우 저 부분을 blank로 처리했을 경우 verbal임을 추론할 수 있는 확정적인 근거는 존재하지 않죠. 결국 '틀리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맞는(즉 답이 아닌) 보기가 있다고 봅니다. 정답 논란을 불러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문제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소는 된다는 생각입니다.
perishability의 의미는 알겠는데
왜 경험의 중요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건가요?
경험은 보고 있거나 참여하는 순간에만 지속된다=>시간이 지나면 중요성은 떨어진다
이건 당연한 생각인가요? 경험이 사라진다고 해서 왜 중요성까지 사라지는지..
그리고 이 글의 중앙부에 있는 내용은
경험은 정신적 요소이다 인데
이 내용이 뒷부분하고 어떻게 연결되나요?
앞부분하고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이 글을 보고 알았는데
뒷부분하고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특히 4)verbal 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모르겠어요..
저는 4번의 verbal이 너무 뜬금없어서 그걸로 골랐는데...
다시보면 1번은 앞에 perishability로 근거가 있는데 verbal은 너무 갑작스럽지 않나요? 물론 뒤에 audience등
근거가 나오긴 하지만 글의 내용상 갑자기 나온 것 같아서..
저도요…….
4번은 근거를 당췌 어디서 찾아야할지 헷갈렸었네요 처음에…….
저는 개인적으로 큰 도움 됐습니다. 고정 100 인데 작년 수능 하나 틀렸거든요. 34번도 저 문제와 같은 맥락입니다. 한 문단이라고 내용의 통일성을 따지면 안된다는 (물론 저도 부자연스러운 문제라고 생각함. 답을 고르기 위해서는 부자연스러운 논리적 비약을 한다는 느낌이 듦) 교훈을 다시금 일깨워주셨음. 변별력을 위해 이런 문제 분명히 이번 수능에 한번 더 꺼낼거라고 추측해봅니다..
저는 빈칸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보니까 어떤문제라도 응용이 될 수 있을거라고 다시금 생각이 드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