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이 되면 성적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262902
고1, 2들이 선생님이나 선배들에게 지금 모의고사 성적이 잘 나오니 정시를 하겠다고 하면 다들 고1, 2 성적은 의미 없다는 말씀을 하시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 제대로 알려주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고1, 2 성적이 의미없는 가장 큰 이유는 고3이 되면 모의고사 성적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는 고2 3월 모의고사 응시인원 통계입니다
표를 보시면 서울 학생들이 6만명 가량 응시하며 전체 인원의 25%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표에서 경기교육청을 찾을 수 없습니다
이번엔 고2 4월 응시인원 현황입니다
이번엔 경기도가 포함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서울 학생들이 시험을 응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와있네요 여기서는 서울학생 대신 경기도 학생들이 8만명 정도 응시하며 전체 인원의 약 34%를 차지합니다
이게 고3이 되어 3월 모의고사를 치면 고2때에 비해 성적이 떨어지는 이유입니다
사실 고1, 2는 모의고사는 전국의 모든 학생이 응시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서울과 경기도 학생들이 번갈아가며 빠져주어 3월에 서울+(경기도 제외) 나머지 지역이라면 6월에는 경기도+(서울제외) 나머지 지역이 응시하는 형태입니다
하지만 고3이 되면 서울과 경기도 학생이 모두 시험을 응시하기 때문에대체로 상위권 비중이 높은 서울 경기 학생 모두와 경쟁하기 때문에 성적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서울, 경기 학생들은 본인들이 응시하지 않는 시험이 있으니 이를 알지만 그 외 지역 학생들은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서울, 경기가 대체로 1등급 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6월 평가원 시험부터 들어오는 n수생 수입니다
매년 추가로 13만명 정도씩 들어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입되는 비율에 비해 1등급을 차지하는 비율은 37%~ 48%로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두 번의 새로운 응시집단 유입을 겪게 되면 학생들은 실력을 유지하더라도 고3이 되면 3월에 한 번, 6월에 또 한 번 성적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고1, 2 모의고사에서 1등급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절대 방심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제주도 1위 ㄷㄷㄷ
보통 얼마나 떨어지나요
제주도는 왜 1위에요???
원래 예전부터 항상 잘했음
시내 인문계고 커트라인이 높아서요
놀 애들은 이미 특성화고나 그런데로 다 빠짐
예전에도 수능 만점자 많이 나옴
고1 모의고사 수학 1등급도 어려운데 고3 1등급은 얼마나 씹갓인거여;;
제주도 인문계 고등학교가기가 어렵습니다 다른 곳이 상위 80프로간다면 제주는 상위 50프로만 갑니다 제주도 교육청이 잘 해서 그런게 아니라

반수생 드간다 ㅋ현여기들 긴장타라
제주도 잘하는 건 알았지만 저 정도였나 ㄷㄷ
하... 울산 심각하네
제주도 ㅈㄴ 잘하네
서울, 경기가 들어오는 건 큰 영향 없습니다만
1등급은 정확히 4프로가 아니죠? 컷 점수에 따라 대개 5프로까지 나오는데 서울,경기에서 저정도 비율 들어온다고 큰 변동은 없을거에요
학력평가는 3년 내내 응시 집단과 응시 집단의 수준에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오르는 사람들이 있어서 떨어지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맞겠죠. 그리고 9월, 11월 학력 평가에는 전국 모두 응시하죠?
저는 실력이 오르는 사람이 있어서 떨어지는 경우가 아니라 실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던 학생 A가 상위권 표본의 유입으로 성적이 밀리는 경우를 얘기하고 싶었던 겁니다 그리고 11월은 전국이 응시하는 게 맞지만 9월은 전국 모두가 응시하지 않습니다
아, 9월은 전국 응시가 아니군요. 잘못된 정보 죄송합니다. 하지만 고3 성적과의 비교는 고2 11월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입장엔 변화가 없습니다.
1등급이 정확히 4%가 아닌 것과 1등급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응시집단이 유입되어 다른 응시자들 성적이 밀리는 것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체 1등급 비율이 4퍼센트일 때 1등급 비율 5.5퍼센트의 집단이 들어오는 것과 전체 1등급 비율이 5퍼센트일 때 1등급 비율 5.5퍼센트의 집단이 들어오는 것은 느껴지는 바도, 실제 영향도 다르죠?
다르지만 영향이 없진 않다고 생각하고 1등급 전체 비율이 5%일 때나 4%일 때 서울지역의 1등급 비율이 동일하게 5.5%일 거라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제시된 저 표에서도 아마 각 과목별 전체 1등급 비율은 4.5프로는 될 겁니다. 엄청난 불수능이 아닌 이상 1등급이 4프로에서 끊기기 어렵잖습니까?
사실, 개인이 성적 떨어지는 데에는 영향이 거의 없죠. 0.몇 퍼센트 떨어진다고 성적 떨어졌어! 하고 체감하는건 0.5프로 이내 학생들에게나 적용되니까요.
4% 집단 기준 6.5% 집단은 1.5%포인트 더 높은 집단이고 이는 4%집단 기준 약30%인데 영향이 없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대로 서울 경기 표본 유입이 미치는 영향이 N수생 유입에 비해 크지 않은 건 맞다고 생각합니다
충북 수리 성적봐... 우리학교는 똥통소리 들어도 최상위만 10명정도(4.2)인데 양호한건가
아 이번 고3은 1등급 6(2.7)명이었나... 그랬지 참...
1등급 비율 자료가 언제 자료인지 궁금합니다. 외국어로 표기된 걸 보면 상당히 오래 전 자료 같은데요, 인강 활성화 등으로 격차가 많이 줄었을 것으로 예상되는게 최근 자료가 있으신가요? 또한, 제시하신 '수능' 1등급 비율은 N수생의 유입에 큰 영향을 받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N수 비율 자체가 서울 경기가 높을 뿐더러(고등학교 재수율 순위를 보면 알 수 있죠) 재수학원이 서울, 경기에 밀집해있기 때문에 서울, 경기에서 수능 응시하는 비율도 높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선 고2, 고3의 '학력평가' 자료를 보아야 합니다.
수능 결과도 경향성을 나타내는 데 큰 문제가 없다 생각해서 인용하였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인강 활성화 등으로 격차가 줄어드는 상황이라 적절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최근의 고2, 고3 학력평가 자료를 인용하는 것이 맞겠지만 제 부족으로 관련 자료를 찾지는 못했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고1 고2 모 백분위 99 ㅈ밥입니다
내가 젤 싫어하는 소린데 ㅋㅋㅋ 3학년되면 떨어진다는거 개소리임
그냥 학년수준에 맞게 내는건데 성적 떨어지면 지가 공부안한거지 ㅋㅋㅋ
개소리 집어치워ㅓ
글 읽고오셈 그소리가 아니잖아요
광주 높네.. 반애들 1등급 4명 넘는데 많은 거얐구나..
광주도 옛날에는 공부 엄청 잘했죠.. 글쓴님이 서울경기만 말씀하셨는데 광주도 고1,2는 3월모의고사 빠집니다
맞아요 저도 광주 고2인데 응시 안함 ㅜ
제주도는 도대체 어떤 곳인지...
제주도에 그 갑부들만 다니는 학교있지않음?
자랑스럽다 제주도!ㅎㅎ
고1,2는 4월이 없는 것으로 아는데 서울만 빠지는 시험이 6월 모의고사 아닌가요??
엄청 옛날 자료 같아여 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