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709 [408186] · MS 2012 · 쪽지

2013-06-15 16:43:37
조회수 980

영어 230제 37번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9630

 37번 빈칸 앞 내용
spontaneous interpersonal intimacy is the ideal이 왜 사랑과 결혼을 정신적인 만족감의 원천으로 보는 것인가요(답지 해설입니다.)?
결혼과 사랑은 개인 간의 문제고
사회적 제도나 역할은 단체적인 문제라서 그런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sss9el · 409459 · 13/06/15 17:09 · MS 2012

    글을 읽어 보시면 정신적 만족감의 원천은 빈칸뒤의 정신적 만족감이랑 같은 말인데요 이것이 담겨있는 문장을 잘 해석해 보시면
    정신적 만족감을 부정적으로 보고있어요
    반면에 비교 대상으로 나오는 넓은 사회로 묶어주는 헌신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보고있구요!!!
    그래서 spontaneous interpersonal 삐리리는 사회로 묶어주는 헌신적 관계가 아니니깐 그 비교 대상이었던 정신적 만족감과 같은말로 , 같은 부정적인 말로 해석이 가능해요!!!

    그러니깐 부정적인말에는 세모 긍정적인 말에는 네모 쳐보시면서 읽어 보시면요 interpersonal intimacy 에 그리고 psy가 들어가는 말에는 세모가 쳐져요 세모친것끼리는 같은 말로 보는거죠

  • in709 · 408186 · 13/06/17 16:31 · MS 2012

    고맙습니다.. 님하고 밑 분 댓글 합쳐 보니 이제 알겠네요 ㅎㅎ

  • 헐크형 · 419653 · 13/06/15 20:44 · MS 2017

    '사회적 제도나 역할'에 관해서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보다는
    'personal growth, self-fulfillment'에 초점이 맞추어져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과의 관계라는 표현인 'committed relationship'이 나오기 때문에 둘다 'intimacy'가 될수 있지 않느냐 할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그 사람이 성장하고 그 사회 전체에 (큰시점으로 봤을때) 한 자리를 안정적으로 차지할수 있냐 없냐를 더욱 강조하고 있죠.

    그러므로 'intimacy'라는 단어에서 '결혼과 사랑'과 더 관련이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 in709 · 408186 · 13/06/17 16:27 · MS 2012

    고맙습니다 이제 알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