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가장 효율 있다고 생각하는 공부 습관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92954
1. 국어: 모든 지문, 문제를 처음 보듯이 푸는 것
이거 처음에는 어려운데 연습하다보면 잘 됨. 이 습관 있으면 기출을 "아낄"필요가 없달까
2. 수학: 모르겠으면 바로 답지 보고 풀이 한번 따라 해보고 다시 다른 문제 풀다가 다시 풀어보기
고민하는거 킬러 푸는 능력 길러주는거 인정. 근데 "효율"은 이 방법이 더 좋다고 생각
3. 과학: 유형화 시키기
문제를 새롭게 낼 수 있는 정도가 심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모 30개~40개 정도 풀고 유형화하면 어지간하면 문제푸는 발상이 겹치드라~
4. 한국사: 공부 안하다가 졸릴때 권용기 T 5시간짜리 강의 듣기
개꿀 강의 준검머외 이거 듣고 한국사 1등급 뜸
5. 플래너: 대충 오늘 할일 아침에 적고 -> 오늘 한일 밤에 체크하기
플래너 예쁘게, 정갈하게 꾸미는 건 자기만족, 스트레스 해소용이지 공부에 1도 보탬 안된다 이말이야
그냥 포스트잇으로 대체하는게 가장 효율 100%
6. 오답 꼼꼼히 하기
돌아서가는게 가장 빠른 길이란 말이 있듯이 모든 과목에 대한 꼼꼼한 오답이 단기적으로는 시간이 아깝지만 장기적으로는 최고의 습관.
7. 주제를 파악하기
수학 3등급 뜨는 새끼가 킬러풀겠다고 화룡정점 같은거 잡는다? 자기 주제를 모르는 거지.
화학 1~3페이지 실수하는 놈이 양적관계 킬러 연습한다? 우스운 일이지.
"실수"니까 괜찮아~ 하는 놈들이 수능장에서 화학 17~20 다 맞고 5,6 틀리는겨.
님들 생각하는 것도 적어봐 주삼
과외 때문에 설의 친구랑 같이 써본 건데 둘다 글빨이 딸려서 생각이 잘 안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취러 여친생기면 꿀팁 22
가을에 한 11000-12000원이면 흰다리새우 생물로 1키로 사는데 한...
-
사람들이 커뮤나 sns만 보면 만족을 못함 ㅅㅂ 예전에 로입 관심있어서 찾아보는데...
-
20일에 혼자 머라도 하고 집와야겠다
-
ㅇㅇ?
-
오르비 안녕히계세요 11
2000모으고오겟습니다 화이팅
-
피곤해죽겠는데 9
잠이안와 씨빨 ㅠㅠ 일부러 커피도 안마셨는데
-
노상방뇨를 해도 될까 30
근데 어릴때 놀이터에서 놀다가 쉬마려우면 부모님이 근처 수풀에 싸라고 했자나 커서도...
-
그럼 거의 모든게 해결됨 진짜
-
짤녀같은 미소녀로 태어나는게 평생소원읾…
-
원랜 걍 창업하고 싶으니 서울대 경영갈래요 당당하게 말햇는데 뭔가 현실물 먹으니깐...
-
학교도 안옮길건데 수능공부를 하기엔 너무 생산성이 없고 대충대충 공부할거면 작년보다...
-
근데 이건 아니지 않나 30
작년 1학년 때 다같이 한 무리에 있었음 한 명이 너무 뒷담이나 ㅈㅅ한 같은 중학교...
-
B의 Ep랑 Ek랑 비율 관계가 10대 2고, B와 A 질량비 2대 3이니까 A...
-
적백없이 전체 5틀해도 메져의가 뚫림 7틀이 인설의 ㄷㄷ
-
반박시난봉꾼
-
땅울림할게요 8
민족말살정책
-
저 국어 시험지 풀고 수학 만나도 멘탈 털려서 문제 읽히지도 않을 것 같음
와 최근 제가 본 게시물에 댓글 보면 항상 옯폴맨님 있으신듯 ㄷㄷ

좋은 글 개추 누르고 튑니당플래너 걍 포스잇에다가 언제시작해서 언제끝낸것만 써도 괜찮겠죠? 뭐 칸채우고 이런거 귀찮아서.. 주에 총 몇시간했는지 총량도 적고요
솔직히 하루가 지났을때 "와. 오늘 다했네. 뿌듯하다" 혹은 "와. 사람인가. 분발하자" 둘 중 하나의 감정만 확 느낄 수 있다면 발전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렇기에 저는 플래너 쓰다가 너무 귀찮아서 그냥 캘린더에 포스트잇 붙이고 일 끝날때마다 때고, 하루가 지나면 땐 포스트잇 하나하나 쓰레기통에 골인시키면서 놀았습니다 ㅋㅋㅋ
수학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안돼요,,?ㅜㅜ 충격받았어뇨!!!저렇게 하는 게 진짜 도움 될까요?
저건 풀이 방법 빨리 체득하기 위한, 시간을 아끼기 위한 방법입니다. 어3쉬4처럼 기계적으로 빨리 풀어나가야하는 문제들을 봤을 때 "이거 이렇게 이렇게 푸는거지"가 바로 떠올라야하는데, 이 과정을 답지에 나오는 풀이와 문제 발문에서 주어지는 단서들을 연결짓는 연습을 통해 그냥 머리에 학습시킨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떄 (고1, 고2) 같은 경우에는 아직 답지에 너무 의존 안해버릇하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