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eHee [306001] · MS 2009 · 쪽지

2013-06-09 07:50:48
조회수 1,720

ebs 수학 과학 안풀어도 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703134

제가 이제부터 문제풀이 시작하는 시작이 늦은 학생입니다.
이과이고요.
제가 알기론 ebs 수학이랑 과학은 연계율도 낮고 기출돌리는게 더 낫다고들 해서 그냥 국어영어만 ebs보고 수학과학은 기출만 보려는데 괜찮은 선택일까요?
기출돌리는건 마더텅 9개년 연도별+단원별 수능기출 여러번 볼 생각이고, ebs 국어 영어는 수능완성,n제정도만 풀 생각입니다.
시간이 없다보니 적정량을 산정해야 하는데 저 혼자는 감이 오질 않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파도웃어볼게 · 406042 · 13/06/09 08:32

    전 이번 6평때 국어 영어 만큼은 아니지만 수학,물리에서 연계 느꼈어요.
    함 풀어보세요ㅋㅋ

  • 인시그니아 · 449264 · 13/06/09 09:56 · MS 2013

    아직 시간은 있어요.부지런하게 뛰시면.
    과학은 어떤 과목을 하시는진 모르겠는데 개정되면서 너무 기출에만 의존할 수 없는 현실이구요. 정식 기출이라곤 고작 쉬웠던 예비시행과 질떨어지는 올해 교육청문제들정도뿐..
    수학은 어느정도 실력있으시면 중요문항이나 부족한 부분, 레벨3정도씩만 우선적으로 골라서 보세요. 기출이 가장 우선인건 맞으니까요.
    그리고 기출은 9개년 다보려고 마음먹진 마시구요.적당히 우선 3~5개년정도만 보는게 나을겁니다. 너무 예전거는 약간 요즘 경향이랑 잘 안맞아서요 기출이랑 이비에스 잘 분배해서 보시는게 나을거 같아요.

  • 용암맛 · 449772 · 13/06/09 12:30 · MS 2013

    물리 같은 경우는 일부 단원이 기출 문제가 없습니다...

  • 카르디 · 411349 · 13/06/09 13:02 · MS 2017

    연계율이 높던 낮던 푸는게 좋습니다. 안 풀어도 된다 정도의 실력을 가지셨다면 푸는속도가 빨라서 이미 다 푸셨어야 정상이고요. 그렇지 않은분들이 안 풀어도 되냐고 질문하거나 그렇다고 하는 경우는 자기방어밖에 안되요... 과학 선택지를 꼼꼼히 공부하시면 수능연계가 되는걸 느끼실 수 있습니다. 물로 교육자 입장에서는 모두 봐왔던 거라 못느끼겠지만 적어도 학생은 느끼는 것 같습니다.

  • DaeHee · 306001 · 13/06/09 17:56 · MS 2009

    푸는게 좋은건 저도 알고 남들도 알고 수험생은 모두 다 압니다.
    제 요점은 지금 6월초중순의 시점에서 기출을 다 못 돌릴 각오를 하고라도 ebs를 풀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묻는겁니다 ㅡ,ㅡ;
    수리같은 경우 총 8권인데 이걸 하냐 안하냐에 따라 남은 얼마 안남은 시간의 스케줄이 그만큼 차이가 나니까요
    기출을 몇번 더 보고 익힘책을 몇번 더 볼 시간에 이걸 하는게 남는장사인지 모르니까 경험자 분들에게 묻는거고요..

  • 한양대스산과 · 444628 · 13/06/16 10:34

    수능의 기본은 기출입니다. 특히 수학은 더 그래요 수학같은 경우 원래 가형 나형 나누어서 보았기때문에 현재 A/B형 체제랑 다를게 없습니다.
    수특보면 신유형 문제같은거 있는데 개념확실히 알고 추론력+해결력+이해력 배양되시면 충분히 다 풀수있는 문제들입니다.
    물론 말씀드렸던 추론+해결+이해력은 기출로 배양되는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