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잘팁) 바로 적용 가능한 독해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806913
'개념어의 명칭이 왜 그러한가'에 대해 생각하자
지문 : 칠판은 교실에서 판서 강의를 할 때 필요한 물건이다.
생각 : 칠판의 이름은 왜 칠판일까? 뭔가 '칠'할 수 있는 '판'이라서 '칠판'이 아닐까?
이 추측이 맞는지 틀린지는 상관 없다. 왜?
지문의 내용과 어긋나지만 않는다면, 이렇게 기억해도 문제를 틀릴 일은 없으니까.
결국 지문의 내용을 바탕에 깔고 간다면 어떻게든 이 개념을 조금 더 쉽게 기억하는 게 좋다는 이야기다.
위에서 '예약 완결권'의 이름은 왜 '예약 완결권'일까?
의사 표시만으로 예약을 완결(본계약 성립)시켜버릴 수 있으니까. 상대방의 의사 없이도 예약한 내용이 완결되니까.
그래서 예약 완결권이다.
이렇게 명칭 추론을 해놓고 문제에서 예약 완결권이라는 단어를 보면?
남들은 '아 씨 예약 완결권? 뭐였지..? 어디서 보긴 봤던 건데..'하고 있을 때
나는 '아ㅋㅋ 예약 완결권? 상대방의 의사 없이 내 의사만으로 예약한 내용이 완결되는 거자너~~'하면서 여유롭게 문제 풀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안정화는 왜 이름이 디지털 영상 안정화야?
OIS처럼 아날로그식으로 하드웨어 보정하는 게 아니라 '디지털'식으로 소프트웨어 보정하니까.
그래서 흔들리는 '영상 안정화'시키니까.
이렇게 명칭 추론을 해놓고 문제에서 디지털 영상 안정화(DIS)라는 단어를 보면?
남들이 '아 OIS DIS 헷갈리네 지문 한 번 다시 봐야겠다;'하고 있을 때
나는 '아 ㅋㅋㅋ 디지털이면 무조건 소프트웨어 보정이지 ㅋㅋㅋ 정답 4번 개꿀~'할 수 있다
자기자본은 왜 자기 자본이야?
기본 자본, 보완 자본, 후순위 채무의 합이니까 일단은 '자기'가 가진 '자본'을 의미하는 거 아닐까?
위험 가중 자산은 왜 위험 가중 자산이야?
보유 자산에 신용 위험이 반영된 거니까 '위험'이 '가중'된 '자산'정도가 아닐까?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다시 이해해보면?
아, 위험이 가중된 자산은 비교적 많지 않아야 하고, 자기가 진짜 가진 자본은 적지 않아야 한다는 게(=재무 건전성을 유지한다는 게) BIS 비율 규제구나.
라고 이해할 수 있다.
뭐, 물론 개념의 명칭을 통해서 기억하는 건 일종의 Skill이고,
(아닌 것 같으면 안 써도 된다. 애초에 모든 개념이 명칭 추론이 되는 것도 아니고)
중요한 건 정의된 개념 자체를 잘 입력하면서 가자는 거다.
한 번 정의된 개념은, 이후 내용 또는 선지에서 더 이상 '추가 설명 없이' 나올 테니까.
제시된 개념을 확실히 머릿속에 박지 않으면 핵심 문장이 나와도 뭔 말인지 모르고, 문제도 풀 수 없을 테니까.
4줄 요약:
1. 지문의 내용과 어긋나지 않는 선에서
2. 적당히 합리적으로
3. 개념어의 명칭이 왜 그러한가를 생각해보자.
4. 정의된 개념 기억 못하면 지문 이해고 뭐고 다 힘들어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맞말추
!!.. 이거 전에 당연한 말처럼 보여도 안하고 있었어서 피램에서 보고 뜨악했던 기억이 나네요..
도움 많이 되실 거예요!!

심찬우쌤이 강조하시는 축자적 의미랑 비슷해 보이네요
ㄹㅇㅋㅋ올려주시는 글 항상 잘 보고 있어요! 파이팅 하시길 바랄게요 !!
감사합니당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