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질문 정확하게 이해한 사람만 고수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744426


별의 표면 온도 파트에서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의 세기 그래프에서 면적이 의미하는바가 1광도, 2단위시간 단위면적당 방출하는 에너지양
으로 이해할 수 있다. 라고 배우는데 플랑크 곡선에서는 흑체라는 물질을 도입해서 별의 크기라는 변인이 통제되서 단위시간 단위 면적당 방출하는 에너지양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표면온도의4제곱에 비례) 인 것이고 다른별들의 경우에서는 방출하는 복사에너지가 곧 광도이기 때문에 무조건적으로 광도라고 해석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2020년 3월 학평 11번 그래프 가 어떻게 말이 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면적이 작은 (나)가 어떻게 더 큰 광도를 가지는 것이죠? 308번의 그래프처럼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의가 다 이제 2026 버전으로 올라오기 시작하던데 업로드 주기도 있고 완강이...
-
지역인재로 약대가고시포
음.. 305번 그래프는 플랑크 곡선에 대해 물어보고 싶어서 그냥 한 거 같은데요(태양의 특징까지)
3월학평 11번은 표에 절대등급이 나와있어요!
그리고 면적은 곧 표면온도의 네제곱에 비례하니 표면온도 관련이야기이고, 광도와는 상관 없는걸로 알고있어요. 그리고 표면온도 낮아도 광도가 큰 예도 있고요...(예: 적색거성)
308번 확인해주세요
(나)가 (가)보다 파장의 중심이 오른쪽으로 밀려있으므로 표면온도가 (가)보다 (나)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절대등급이 (가)가 +1, (나)가 -4로, (나)의 광도가 (가)의 100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나)가 (가)보다 별의 상대적인 크기가 더 커서 광도가 더 크다는 바를 의미합니다. 복사 에너지의 상대적 세기는 말 그대로 T^4 즉, 온도에'만' 관련된 지표이므로 이를 이용해서 바로 광도를 알아낼 수는 없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308번 그래프 보시변 복사에너지의 상대적 세기는 온도에’만’ 관련된 지표는 아니라는거 알 수 있어요!
3월 학평 11번은 그래프는 표면온도를 알아내라고 준 그래프고 옆에 절대등급표로 광도를 알아내는건 아는데
어떻게 그래프가 저렇게 나올 수 있냐는 질문이에요
308번 그래프처럼 나와야 말이 되는것 아니냐는 거에요!
305번의 풀이는 저도 알아요! 그리고 308번 확인하시면 면적이 광도를 의미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