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전문의龍 [363799] · MS 2011 · 쪽지

2013-05-04 23:52:18
조회수 59

생물 질문 몇가지 드릴게요 앞단원 쉬움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9958

1. 바이러스 안에 있는 핵산은 DNA로써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 

  -  설명좀 부탁드릴게요


2. 세포의 구조에서 매끈면 소포체가 지질의 합성에 관여하잖아요. 우리가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 했을경우에 지질로 전환되는 것은 소포체의 지질의 합성과는 관련없나요 ?
 
3. DNA가 유전자의 원본이기에 RNA를 복사해서 단백질을 합성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과정과 인에서 리보솜을 생성하고 리보솜이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과는 관련없나요 ? 

4. 단백질의 2차구조는 폴리펩타이드 사실이 꼬이거나 접혀서 나선 구조나 병풍구조를 이룬 것
이다 
 - 처음듣는 말인데요 맞는 설명인가요 ?






아이고 바쁘신 와중에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용 '-  '

아시는거 있으면 댓글좀 님하 하하하하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애연 · 417106 · 13/05/16 02:34 · MS 2012

    안녕하세요~ 생2 관련 글들을 읽다가 댓글이 없길래.... 부족하지만 아는 한도 내에서 댓글달아봅니다...
    우선... 쉽다고 하셨는데... 그렇게 쉽지많은 않은 내용들이네요... 일부는 고교과정을 훨씬 벗어난것도있고...

    1. DNA는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습니다... 글작성자분께서 질문한 의도를 명확하게 알지는 못하겠습니다만... 바이러스가 변종이 많으니까 DNA도 변하지 않을까? 라 생각하신것같은데
    바이러스가 변종이 많은 이유는 RNA 형태로 자손을 형성하기 때문 혹은 DNA가 인간처럼 상보적 결합 (2개 가닥이 염기간 수소 결합으로 결합한 상태)으로 되어있지 않고 한 가닥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유전되는 과정(복제되는 과정)에서 쉽게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ex. 역위)

    2. 이건 유기화학이나 의학계열에서 내분비학 쪽에 관련된 내용으로 알고있는데요.... 고교과정을 너무나도 많이 벗어난 내용입니다... 답은 달아드리겠지만,..
    저도 한낱 재수생이기에 제 답이 '정확하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탄수화물 과다 섭취로 인한 지질로의 변화. 엄격하게 말하면 중성 지방으로의 변화는 소포체의 지질 합성과는 거의 무관하다고 말씀드리고싶네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되는 건 (지방이나 지질이나 거의 비슷한 개념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지질이 더 포괄적인 범위)
    간단하게 말하면 물질대사 과정을 통해서 입니다. 자세하게 말하면,
    탄수화물이 포도당이 되고 해당과정을 통해 피루브산이 되고 활성 아세트산 형태로 되어 TCA 회로를 돌고 ATP를 생성하죠? 그런데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게 되면 이미 충분한 양의 포도당이 TCA회로를 돌고 ATP를 생성하기 때문에 남는 포도당은
    활성아세트산으로 남아있고, 이것들이 짝수개 모여 지방산으로 되고 이렇게 모인 지방산들이 글리세롤과 합쳐져서 중성지방이 되는 겁니다. 생물2 산소 호홉의 호흡기질에 따른 경로 부분에서 포도당이 TCA 회로를 돌기 직전 상태에서 지방으로 역과정이 일어났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할겁니다.

    3. 관련있습니다. 다행히 이건 생2 내용이네요^^
    핵 속의 DNA가 mRNA로 전사되고 전사된 mRNA가 핵공을 통해 나와 세포질에서 리보솜이 달라붙어 단백질 합성하죠. 따라서 관련있습니다.

    4. 이건 아예 생2 범위가 아닌걸로 알고있는데.. 여튼 맞습니다.
    단백질은 크게 1차 구조, 2차 구조, 3차 구조, 4차 구조가 있는데 1차 구조는 아미노산 형태구요 2차 구조는 단백질이 복잡한 구조(3차, 4차)로 가기 바로 전 단계로 폴리펩티드 가닥이 알파-나선구조나 베타-병풍구조를 이룬 것입니다.
    몰라도 생2 치시는 데 전혀 지장 없으실 겁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