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간이 왜 실질적형태소이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9143
실질적 의미가 있다는 건 이해가 가는데
접사는 형식적형태소이고 어간은 접사를 포함할 수 있잖아요
예를 들어 '새파랗다'에서 '새파랗-'이 어간이고 '새'가 접두사이니까 어간은 실질적,형식적 형태소 둘 다 가진다고 할 수 있는 거 같은데ㅜ 문법 너무 헷갈리네요 도와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 꿈이, 당신이 보기에 상상조차 못할 큰 꿈이라면, 상상도 못할 노력만 하면...
어간 어미
어근 접사
어간과 어근의 의미를 명확히 아시면 해결되실거에요
찾아서 공부하시길 파이팅!
어간은 의미를 가지니까요 ㅎㅎ 대신 어미없이 독립적으로 쓰일수없으니까 의존형태소이기도 하고요
먹다 에서 실질적 의미는
먹- 어간입니다
지금 용언의 어간안에는 어근과 접사가 있는데 접사는 형식형태소인데 왜 어간을 통틀어서 실질적형태소로 보냐 형식적도 되고 실질적도 되는거 아니냐고 물으신거 맞나요?;;
접사가 형식형태소인지 아닌지 논란이 많다고 하는데 용언의 어간자체가 의미를 실질적의미를 가지잖아요 새파랗-도 실질적의미를 가지는거구요
물론 새파랗-에서 새가 접사고 파랗- 이 어근이잖아요 그럼 여기서 새는 형식형태소이고, 파랗-은 실질형태소입니다.
그런데 두개를 합한 어간은 결국 실질적의미를 갖게 되므로 (새파랗다에서 봤을때) 실질적형태소가 아닐까요?ㅎㅎ
제생각은 그렇습니다.
그렇군요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