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주스 [417627] · MS 2012 · 쪽지

2013-04-26 18:37:08
조회수 2,923

두명의 고수, 두개의 의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62966

(0B) [0]



1. 일대일 대응은 수능국어를 관통하는 아주 중요한 원칙이다.
2. 추론적사고가 중요하지, 일대일대응은 별로 중요치 않다.








(이런거 분란조장글인가?요? 이정도는괜찮을거 같은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뇌가문도 · 386582 · 13/04/26 18:41

    시각의 차이

  • 김컨설 · 444283 · 13/04/26 18:41 · MS 2013

    저도 저 글 뜨고 그믐달님 생각남ㅋㅋㅋ
    방법론은 차고 넘치니 알아서 주체적으로 수용해야겠져 ㅋㅋ

  • truedoor · 411745 · 13/04/26 18:53 · MS 2012

    윤혜정vs윤혜정

  • 고기구 · 442744 · 13/04/26 18:58 · MS 2013

    저도헷강여죽겟습니다

  • J.M.S · 414680 · 13/04/26 19:11 · MS 2012

    음 지금까지 평가원 모의고사치면서 언어를 딱 1개 틀려봤는데

    구체적으론 작년 제작년 평가원 수능 6번중에 딱 하나 틀렸어요

    독해력이 중요한것 같아요 즉 2번의견의 추론적사고는 말이 넘

    어렵구 그냥 독해력이 중요한거 같아요

    이 지문을 읽었을때 해석이 되느냐? 그게 중요하죠

    물론 그 경지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1.의 방법도 2의 방법도요 막 지문에 선지 이런거 달면서

    공부하는 거죠 그러면 이게 많이 쌓이다보면 결국

    내면 즉 체화? 가 되는거죠 그러면서 지문에 샤프 안대고 깨끗

    하게 풀어서 답만 탁탁탁 찍는거죠

    저는 1번 2번 둘다 필요하다고 생각되지만 그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독해력을 길러서 해석의 깊이를 깊게 하자 인것 같네요

    따지면 2번..? 그냥 읽고 풀고 지문에 근거가 있구나 이런것으로

    넘겨야지 딱히 1 대 1 만 하면 시간도 오래걸릴뿐더러 난해지문

    나오면 으으...

    그런데 언어는 다 자신만의 스타일이 있어요

    그 스타일로 점수가 잘나오면 무리해서 바꾸진 마세요

    자기에게 맞는 자기만의 공부법이 가장 중요합니다.

    결론 1대1이건 추론적 사고건 일단 독해력 부터 길러서

    수능에 나올 지문 다 이해할수있게하자 그럼

    1:1이건 추론적이건 다 내면화되고 그렇게되면 어쩌피

    언어 문제 다 풀리게되있다!

  • 현각스님 · 425609 · 13/04/26 19:53

    제 생각은 두분다 똑같은것 같은데요

    국어외길님이 말씀하시는건 사실적사고+추론적사고
    를 전부 묶어서 말씀하시는겁니다

    그믐달님이 디스하시는건 일부 강사죠
    ( 정말 그런분이 잇어요 말하나하나그대로
    1:1대응이 된다고 우기시던.. )

    저도 처음에는 독해파!기출분석파!
    라며 몰빵하기를 좋아햇는데 이제는 " 다 " 합니다

    수만x의 순수언x님의
    핵심+대화소통 독해
    그믐달님의
    보기선지사고력 + 행동영역 (사실+추론+비판+창의)
    국어외길님의
    지문선지연결 ( 사실+추론 )

    이 3가지다 평가원출제메뉴얼에 명시되어잇어요
    결론은 다맞습니다.

  • 무동 · 447700 · 13/04/26 20:29

    갠적으로 일대일대응하다 뒷통수맞아서...올해수능에나 통했지 2011수능으로는 안통했던거 같은데..

  • 집에있는룸펜 · 347459 · 13/04/30 01:03 · MS 2017

    11때 1등급인데 먹혀요

  • 무동 · 447700 · 13/04/30 04:34

    그래요? 채권지문. 두더지지문. 이 두개 안쓰이던데. 특히 채권지문 문제에서 옳은건가 틀린거 고르는문제에서. 일대일대응이라면 그 문장 그대로를 눈만 옮겨서 확인하는거 아닌가요. 강사분들도 쉬운지문에는 통하지만 어렵게 되면 안통한다 하셨는데. 위엣분도 말하나하나의 일대일대응은 된다는건 아니라고 하시는데요. 애초에 언어영역을 푸는데 있어서의 일대일 대응의 의미를 정확히 정의해놓은 바가 없으니 제가 생각하는 의미와 님이 생각하시는 의미가 다를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르겠네요

  • 집에있는룸펜 · 347459 · 13/04/30 05:19 · MS 2017

    제가 생각하는 1대 1 대응은 진짜 단순하게 걍 지문에 있는 거 끌어오는 걸 말하는 게 아닙니다

    그렇게 되는 것도 있고 안되는 것도 있는 거죠

    개인적으로 님 말 처럼 채권, 두더지는 잘 안되는데 조금만 생각하면 됩니다

    사실 그레고리력은 어렵다고 평가받지만 대응은 잘 되거든용

    사실 추론이 아예 필요없다는 것이 아니고

    지문의 내용에 근거한 적절한 추론은 필요하다는 것이 생각입니다

    (사실 거창하게 말하면 추론인데 1대 1 대응 수준의 추론이라 별 의미가 없어요)

  • 집에있는룸펜 · 347459 · 13/04/30 05:20 · MS 2017

    결론은 막 들이대는 1 대 1 대응은 저는 진정한 1 대 1 대응이 아니라 생각하구요

    제가 생각하는 그것은

    적절한 추론 + 걍 지문 발췌 ( 오픈북 테스트) 이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 무동 · 447700 · 13/04/30 09:14

    결국 눈만 옮기는건 님도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시는군요. 그 외의 것들은 저도 공감합니다. 심도있는 문제일수록 적절한 추론이 필수적이죠.

  • 썩소군 · 380623 · 13/04/26 20:37

    다 기표만 다를뿐 본질은 같다고 생각되는데요... ㅋㅋ

  • 이상시선 · 373540 · 13/04/26 23:31 · MS 2011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한 방법론이 하나로만 정해져 있는 건 아니지요..

  • momentism · 441656 · 13/04/27 00:48 · MS 2017

    본질은 같더라도 시선의 차이는 확실히 존재한다고 보여집니다.
    그믐달님은 일대일 대응이라는 용어 자체를 부정하시니까요
    그래도 두 분 의견의 본질은 "선지의 근거는 반드시 지문에 있다" 로 동일하죠.

    사실 그믐달님 칼럼은 제대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아요.
    방법론적 사고로 접근하시지 않아서이기도 하고, 글 자체가 수준이 높거든요
    그믐달님 칼럼을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요령따위 없다. 제대로 읽고, 생각해서(추론), 풀어라" 잖아요

    국어외길님이 말씀하시는 일대일 대응도
    지문과 선지를 연결만 하면 되는, 퍼즐같은 방법은 아니에요.
    실제로 국어외길님의 책을 보면 알 수 있듯, 추론이 필요한 문제의 경우, 지문과 선지를 하나하나 대응시켜
    그 추론 과정을 설명해주는 식이지요.

  • 슈퍼신이치 · 299016 · 13/04/28 12:42 · MS 2009

    1~2등급 목표 = 1번
    100점 혹은 최상위 목표는 2번 이겠죠..
    사람마다 공부방법이 다르듯,(달라야 하고) 자신의 점수마다 공부방법도 수정해 나가야 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