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분 복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576695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저는 강의듣고 담날 그 지문 복사해서 분석해보고 전날 강의에서 하신거랑 비교해보는 식으로 하고 있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굴 ㅇㅈ 7
ㅋㅋ
-
금요일밤 1
할게 없다... 다들 뭐하심..
-
교복을벗고 7
처음으로 만났던 날 그때가 너도 가끔 생각나니 뭐가 그렇게도 좋았었는지 우리 둘만 있으면
-
질문 받아요 26
질문 받아요
-
음 공부는 혼자하는거랫는데 혼자하기엔 너무심심하고 외롭고 우울증걸려서...
-
밤샛다미쳣나봐 1
요즘 패턴너무깨진듯.,. 내일개학인데 후 자과감든다ㅠ
-
나랑 놀아주실분 8
질문받음
-
이러다 폐인될 거 같아서 뭐라도 좀 보려구요 문관데 상식이나 교양 쌓을려면 뭐...
-
기네요 ㅜㅜ 할건없는데 연휴가 이렇게 기니깐 끔찍하네요 하. . . . .
-
빅히어로나 몬스터 호텔같은 그런 애니메이션 영화 없을까요??
-
집 근처에서 고동이랑 게 잡아와서 고동은 삶아먹고 게는 튀겨서 반찬 그리고 남은...
-
아무거나..
-
글씨는많이쓰면예뻐짐 46
리얼..제손노가다전성기는2학년겨울~3학년이었죠 순서대로 1학년 2학년 2겨울 3학년ㅋ
-
호오 1
와우
저는 강민철 선생님 방향대로 하려는 게 아니고 기존 제 방식에 조금씩 보태는 느낌이라서
다 끝나고 복습하려고요 대신 익힘책 풀면서 배운 부분을 한번씩 적용하는 느낌으로 하고 있어요
사실 다음날 지문 다시 보면 너무 기억이 선명해서 기억이 흐릿해졌을 때 체화가 되었는지 확인해보려고요
아하 그렇군요....
질문이 하나 더 있는데, 김승리 쌤을 작년에 수강했는데, 이 쌤은 지문에서 체크해둘 표지
(ex: 비교 대조>ㅇ◇) 가 있던데, 강민철 선생님은 이런게 따로 없는거 같아서, 어떨때 밑줄치고 그런걸 잘 모르겠던데 어떻게 처리하시나료?
제가 김승리 선생님 강의를 수강한 적이 없어서 그러는데 표지가 구체적으로 어떤 건지 더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예를 들면 서양과 동양에 대해 설명하는 글에서
서양에 특징 서술하고 동양에 특징을 서술한다 하면, 서양-동양이 비교 대조되는 특징이잖아요? 여기에 동그라미-세모 이런식으로 표지를 달아두고 특징을 비교하는 문제가 나올때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두는 거죠
아 저는 비문학은 지문 보기 전에 문제들을 대충 봐서 키워드를 알고 들어갑니다. 그래서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 어느 정도 알기 때문에 이 부분이 핵심 정보인지 아닌지 체크합니다.
문학 같은 경우는 인물과 감정이 나온 부분, 장소, 시간 등을 위주로 체크하고 이 부분도 역시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을 위주로 더 체크하는 것 같습니다(시간의 흐름을 물어보면 시간 위주, 감정을 물어보면 감정 위주)
아 그러면 따로 표지는 없는건가요
결론적으로는 문제 또는 지문의 앞문장(비문학) 정도는 살펴보고 들어가는 게 좋습니다
그러면 지문에 연필로 아무 표시도 안하시고 읽으시나요?? 아니면 밑줄치는 기준이 있으신가요?
당연히 표시를 하죠
1.비례 관계(화살표로 위아래 표시)
2.공식(옆 부분에 따로 정리)
3.중심개념 하의 세부정보(동그라미 치고 번호)
4.전후관계(밑줄치고 반직선으로 이어줍니다)
5.대조관계는 각각의 문단별로 구분이 된다면(2문단은 동양, 3문단은 서양) 머릿속에 넣고 넘어갑니다
하지만 한 문단 내에서 바로 나오는 경우는 정리하기 힘들어서 체크를 해둡니다
비교 대조는 하나의 기준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대괄호로 기준이 나오는 부분을 묶고 번호 표시해서 문제를 풀다가 돌아올 때 보기 쉽게 해놓습니다
방법은 사람마다 취향차이라서 최대한 많은 방법을 써보고 고르는 걸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