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과 관련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502407
물리학과 가는게 목표인 고3 인데 고등수학인 수1 수2 미적분 기하 확률과통계 에서 물리학과를 갔을때 쓰이는부분이 어디인가요?(단원별로 자세히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걸 왜 배워야하는지 명확히 알고나면 더 공부가 잘될꺼같아서요
그리고 대학입학전에 물2 화2를 공부할생각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통령의 노란 리본 44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에는 대통령이 아니기 때문에 노란 리본을 달고 다닐 수 있는...
고등학교 교육 과정 중에서는 미적분이 추후 제일 많아 쓰이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온갖 special function에 대한 미분/적분 계산은 물론아고, 미분을 이용해 접선을 구하는 것도 Newton''s method로 임의의 방정식의 해를 근사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속도 가속도야 말할 필요도 없구요.
다만 다른 과목들은 개인적으로 그렇게 많이 쓰이는 것 같진 않네요. 확통의 경우 추후 3학년 전공의 통계물리를 들을 때 엔트로피를 계산하기 위해 전체 경우의 수를 세는 것 정도를 들 수 있고, 추후 대학원에서 연구의 길로 들어섰을 때 데이터 해석틀 위해서 통계는 기본 스킬이 되긴 합니다. 다만, 기하는 정말 모르겠네요... 요즘 교육과정에 벡터가 들어가 있는진 모르겠는데, 물리학과에서 쓰이는 모든 미적분학은 벡터 대상의 미적분학이기에 익숙해지면 좋은 개념입니다. 행렬이 정말 중요한데 교육과정에서 빠져서 아쉽네요.
대학 입학 전에는 노세요 ㅎㅎ... 공부해봤자 잊어먹어요... 굳이 공부하시겠다면 2과목 교과서보다는 일반물이 책 (할러데이가 가장 스탠다드합니다) 하나 사서 공부하세요. 물2는 미적분을 쓰지 않겠다고 대학 내용에서 억지로 미적분학을 뺀 느낌이 강합니다. 익숙해지면 대학물리책의 논리 전개가 훨씬 철저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거애요. 화2는 물리학과에게는 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추후 양자역학에서 수소 원자에 대한 슈뢰딩거 방정식 풀 때 화학에서 배운 오비탈 개념이 나온다 정도???밖엔 없는 것 같네요. 오히려 화학 하시는 분들이 물리화학에서 양자역학을 배웁니다.
수열 같은 경우는 함수를 근사하는 테일러 급수나 미분방정식의 해를 무한 개의 special function의 합으로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하구요. 지수 로그는 가초적인 도구니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양자역학이나 천문 같이 극단적인 스케일의 경우 로그 스케일을 정말 많이 써요. 삼각함수는 두말 할 것도 없습니다. 따로 쓰이는 곳을 말할 필요도 없이, 일반물리조차 삼각함수가 없다면 제대로 공부할 수 있는 단원이 없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수능끝나고 대학합격하면 휴학하고 바로군대 갔다가 대학을 다닐 생각인데 군대에서 아무것도안하긴 그런데 간단히 무엇을 공부하면 좋을까요
기하에서 벡터를 제가 공부를못해서 기하하고 영어좀공부할생각인데 대학가기전에 뭘공부하면 좋을까요?
(대학원진학생각이있어 대학에서 좋은성적을받고싶습니다)
여기에 잘 들어오질 않아서 답글이 늦었네요. 대학원 진학이 확실하시다면 전문연구요원으로 군대를 뺄 수 있는 옵션도 있습니다. 30대 초반까지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놓여야 하는 대학원 특성상, 군대 시간을 세이브한다는 것은 굉장한 메리트입니다. 다만 생각보다 많은 친구들이 대학원 진학을 포기하기도 하도, 전문연구요원 제도 자체도 요즘 말이 많아서 확실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금은 수능 공부에 올인하시고, 수능 끝난 후에 이런 부분도 천천히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솔직히 군대에서는 공부 안되요 ㅎㅎ... 그나마 공군가면 조금 할 수 있긴 한데, 쉽지 않습니다.... 굳이 공부하시고 싶으시다면 전 영어 공부 추천드립니다. 어느 진로를 가건 정말 중요해요. 대학원을 가도 영어로 논문 읽고 쓰고, 국제 학회 나가고 하면 항상 영어입니다. 가능하다면 코딩 공부도 추천드리고 싶은데, 군대에서는 힘들 수 있겠네요. 코딩 잘 하시면 어느 연구실을 가건 귀여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벡터의 경우 복잡하게 문제를 많이 풀어볼 필요는 없고 기본적인 연산 개념, 내적 정도만 이해하시면 충분합니다. 어차피 일반물리나 미적분학 때 다 배웁니다.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