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3등급에서 백분위 100까지 깨달은 것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324147
(2019학년도 고3 3월 3등급 /교육청이라 자료 없음)
(2019학년도 현역 수능 백분위 99)
(2021학년도 삼반수 수능 백분위 100)
우선 이번엔 자세한 글을 읽는 방법보다는 글을 읽는 태도나 수능 국어를 공부하는 태도에 대해 얘기해보려 한다.
1. 국어 공부는 아침에 해야 한다
아침에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경험을 반복하여 아침에 글을 읽어내는 습관을 길러두어야 한다. 현역이나 재종을 다니는 학생들은 등원/등교를 일찍 하여 아침에 국어 공부할 시간을 확보해두면 좋을 것이다.
다만 아침에 국어 공부를 하겠답시고 아침에 국어책을 펼쳐두고 졸기만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런식으로 아침에 지문 보면서 조는 습관을 들이는 사람들은 시험장 가서도 제대로 집중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졸린 아침에 글을 집중해서 읽는 습관을 들여두자.
2. 의문을 가지며 글을 읽어야 한다
글을 읽으며 의문을 가지는 순간 그 아래의 내용들은 우리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된다. 하지만 의문을 갖지 않는 사람에게 비문학 지문의 모든 내용은 TMI가 될 뿐이다. 그리고 당연히 TMI는 머리에 잘 들어오지도, 이해되지도 않는다. 그냥 읽는 내내 정보량에 치이며 짜증만 날 뿐일 것이다. 글을 읽으며 짜증이 나는데글이 제대로 읽힐 리가 있겠는가
3. 뭉개고 넘어가는 습관을 없애야 한다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평가원 지문들은 항상 어렵다 지문을 읽다보면 이 내용이 왜 있는지도 모르겠고, 이해하기도 싫고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져 짜증만 나는 경우는 다들 경험해봤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럴 때 해당 문장들을 뭉개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해당 문장을 물고 늘어지며 이해를 해보려 노력하는 것이다. 그런 경험들이 비문학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4. 집중력을 키워야 한다
결국 수능 국어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능력은 글을 읽는 능력이 주가 되는 것이라 글을 잘 읽어야 한다. 집중력을 기르기 위해 집중해서 글 읽는 것을 훈련하자.
5. N회독의 의미는 무엇인가
국어가 고민인 학생들에게 평가원 기출을 N회독하라 하면 이런 반응을 보이는 학생들이 종종 있다. '내용을 다 알아서 다시 보는 의미가 없어요.', '답을 다 알아서 문제를 다시 푸는 게 의미가 없어요.' 이는 모두 국어 학습에 대한 오해로부터 비롯된 생각이다. 전자는 기출을 보는 것을 배경지식 습득, 단순 글읽기정도에 의의를 두는 부류의 학생들이며 모든 기출을 겉핥기식으로 소모할 가능성이 높은 학생들이다. 후자는 기출문제를 보는 것을 단순 문제풀이로만 생각하고 지문이해보다는 문제풀이에 초점을 두는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 수능 국어 학습의 방향이 틀려있어 아무리 학습시간을 늘려도 성적이 오를 가능성이 낮다.
그럼 N회독의 의미는 무엇인가? 바로 '글을 이해하는 과정의 반복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현재 국어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이해하는 경험의 반복'이 매우 중요하다.
좀 더 설명을 해보자면, 평가원 기출 지문들은 다 어렵다 대충 읽어서는 제대로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자신만의 방법이든, 강사로부터 배운 방법이든 뭐든 사용하여 어떻게든 그 어려운 문장들과 전체 지문을 이해해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럼 그 경험을 반복하라는 것이다. 그 경험이 쌓여 글을 이해하는 근육을 키워줄 것이고 결국 시험장에서도 어려운 문장들을 이해해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수능 국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글을 읽고 이해해내는 능력'이라 생각한다.
이를 비롯하여 내가 수능국어를 공부하며, 가르치며 깨달을 것들을 전달해주기 위해 주간지를 준비하고 있다. 부담될 양은 아닐테니 국어가 고민인 사람들은 팔로우를 해두고 매주 자료를 받아보며 생각하는 연습, 이해하는 연습을 한다면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이다.
0 XDK (+10)
-
10
-
2025 고3 3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503] 7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5 고3 3모 Crux Table (영한탐) [N2503] 15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5 고2 3모 Crux Table [N2503] 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5 고1 3모 Crux Table [N2503] 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특히 서울이나 학원가쪽에서
-
삼육대vs전남대 7
ㄷㅈ?ㄷㅎ?
-
낮게봄? 인아도 다 지잡 취급하고 무조건 인서울주의임?
-
2025 대수능 Crux Table (국어/수학) [N2411] 20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15 20 21 28 30틀렸는데
-
탐구 백분위를 1
원점수 기준으로 산출하는건가요 표점을 기준으로 산출하는건가요?
-
아 내 표준점수 ㅅㅂ
-
2025 대수능 Crux Table (영한탐외) [N2411] 87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4 고3 10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10] 10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10모 Crux Table (영한탐외) [N2410] 10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2 10모 Crux Table [N2410] 8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1 10모 Crux Table [N2410] 4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5 대수능 9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09] 25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5 대수능 9모 Crux Table (영한탐외) [N2409] 3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4 고2 9모 Crux Table [N2409] 7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4 고1 9모 Crux Table [N2409] 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 모의고사(수능) 자료 분석팀 제작, 최종 확인자 팀장...
-
2024 고3 7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07] 4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7모 Crux Table (영한탐) [N2407] 2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5 대수능 6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06] 9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5 대수능 6모 Crux Table (영한탐외) [N2406] 18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2 6모 Crux Table [N2406] 7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1 6모 Crux Table [N2406] 1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5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05] 6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5모 Crux Table (영한탐) [N2405] 13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3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403] 10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3 3모 Crux Table (영한탐) [N2403] 13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2 3모 Crux Table [N2403] 2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4 고1 3모 Crux Table [N2403] 2
본 글의 작성자는 크럭스(Crux) 컨설팅 입시분석 팀장 환동입니다. 자료를...
-
2023 고2 11모 Crux Table [N2311/N2312] 1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1 11모 Crux Table [N2311/N2312] 0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크럭스 정시 상담] 신청을 위한 핵심 유의사항 ⇨ 전타임 마감, 상담예약 대기...
-
2024 대수능 Crux Table (국어/수학) [N2311] 47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4 대수능 Crux Table (영한탐외) [N2311] 133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 국어/수학은 내일...
-
2023 고3 10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310] 2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3 10모 Crux Table (영한탐외) [N2310] 22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3 7모 Crux Table (국어/수학) [N2307] 6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3 7모 Crux Table (영한탐) [N2307] 30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3 4모(국어/수학) Crux Table [N2304/N2305] 4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 고3 4모(영한탐) Crux Table [N2304/N2305] 11
★ 자료를 공유하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히셔야 합니다. 본 글의 작성자는...
-
2022학년도 고2 11모 Crux Table [N2211] 3
본 글의 작성자는 Crux 컨설팅 환상동화입니다. 1. 본 자료는 출제기관에서...
-
2022학년도 고1 11모 Crux Table [N2211] 3
본 글의 작성자는 Crux 컨설팅 환상동화입니다. 1. 본 자료는 출제기관에서...
-
2023학년도 대수능 Crux Table (국어/수학) [N2211] 12
* 자료 공유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남기셔야 합니다. * 본 글의 작성자는...
-
2023학년도 대수능 Crux Table (영한탐외) [N2211] 107
* 자료 공유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남기셔야 합니다. * 본 글의 작성자는...
-
2022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종합 통계 (국어/수학) (최종) [N2203] 2
[본인 성적 확인 방법] ① Ⅰ. 표준점수 산출 공식에서 본인의 원점수를 대입하여...
-
2022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종합 통계 (영한탐) [N2203] 5
★ 국어와 수학은 선택과목 체제 특성상 자료를 바로 제공해드리기 어렵습니다....
-
2022학년도 3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종합 통계 [N2203] 1
1. 본 자료는 출제기관에서 제공한 채점결과 자료를 토대로 만들기 때문에 확정...

국어 만점 받을게요좋은 글 고맙습니다.
그림 그리시느라 힘들었을듯
조회수가 514회인데 팔로우가 496,,,
굉장히 김동욱쌤이랑 비슷한 내용인거 같아요
저도 이 생각함ㅋㅋㅋ
지린다..
본질인듯
어떤 의문을 가져야하는 건가요?
뭐가 중요할까? 이 개념의 의미가 뭐지? 이거 이해할 수 있는 다른 문장있나? 이런 의문을 떠올려야하는지..
답변해주심 감사하겠습니다.
김동욱 들으세요 김동욱이 그렇게 가르쳐요!
그냥 문장 읽으면 속으로 '그래서 어쩌라고?' '그래서 이게 뭔데?' 이런느낌?
내가 지금 읽고 있는 것은 무엇이고, 이 지문의 화제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 왜 나왔는가? 이런것들을 계속 생각하라고 피램에서 배웠습니다.
와 진짜 감사합니다
제가 기본적인 독해력이 조금 부족한 편이라 매일 아침 교육청 지문 같은걸로 3지문 정도 읽으면서 문단 요약 같은거 머릿속으로 생각하기를 연습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저거 말고도 현강 주간지 풀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