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ㅠ [988666] · MS 2020 · 쪽지

2021-02-17 05:39:28
조회수 1,204

의대와 치대의 차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280729

의대와 치대가 나중에 개원했을때 금전적으로 보면 차이가 크나요?


올해 수시 원서 접수할때 제 내신이 의대 완전 안정빵은 아닌데 치대는 안정빵인 부분이 있어서 그런데 두 메디컬 사이에 두드러지는 차이가 있나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치의예과 · 946145 · 21/02/17 06:07 · MS 2020

    의대가 치대에 비해 좋은점은, 페닥시장이 넓다는 점과 (개원부담없음) 수술을 원치않다면 하지않는 과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돈은 평균치로 보면 비슷비슷 할거에요 의사 피안성정이 아니라면요~~!
    수시 그럼 의,치 둘다 쓰면 안되나요? 글고 가능하다면 의대 ㄱ

  • 우아이즘 · 958196 · 21/02/17 07:02 · MS 2020

    입결은 의대>치대 입니다만, 서울대 의대나와서 치전으로 방향 꺾은 사람도 있듯. 자기가 추구하는 삶에 따라 다릅니다.

    치과는 곧 개원이란 인식이 있죠. 치과처럼 개원이 용이한 의대 전문과목은 많지않습니다. 다만 페이닥터 시장이 너무 협소하죠.

    의대는 20개 넘는 전문과목이 있는데요. 장점은 어떤 과도 전공 할 수 있다. 단점은 어떤 과도 쉽게는 못간다. 아닐까요?

    치과보다 내과진료만 한다면 더 편하겠죠. 인기과는 페이닥터 급여가 치과보다 더 좋겠죠. 또 피부과 등은 치과보다 개원하기 쉽겠죠. 다만, 의대간다고 우리가 그 모든걸 다 전공할 순 없잖아요. 특정 한개만 전공하고 나오지...

    당직으로 남들 잘때 일하고, 낮에도 일하는 마취과 선생님이 같은 병원 치과의사는 힘들게 외과시술하면서 자기보다 훨씬 못번다고 치과 안좋다고 말하더군요. 근데, 전 밤낮 매일 바꿔가면서 일하는게 더 안좋아보였거든요.... 20개 넘는 전문과목 중, 치과보다 노동강도 낮은 과는 손에 꼽을거에요.

    그리고 금전적인 부분도 의대에서 무슨과를 전공하냐에 따라 다를텐데, 개원까지포함하면 추측컨데 의대 중앙값보다는 치대 중앙값이 좀 더 벌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