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수도권大 왔더니 역차별”… 공기업 지방대 할당제에 청년들 '허탈'
2021-02-14 19:18:33 원문 2020-11-06 06:03 조회수 3,333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217077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 채용시 지방대학 졸업자를 절반 가까이 뽑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힌 데 대해 청년들이 분노하고 있다. 수도권대학 출신들은 물론 일부 지방대 학생들도 공공기관 지방대 50% 할당제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달 30일 전북 부안에서 열린 당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전국 10곳의 혁신도시에 입주해 있는 공공기관들은 해당 지방대 출신자를 일정 비율로 이미 뽑고 있다"며 "여기에 추가로 20% 정도를 다른 지역의 지방대 출신으로 뽑는 방안을 검토하고 중"이라고 말했...
-
‘가짜 후기’ 판치는 인강… ‘맛보기 강의’ 들어보고 골라요
21/02/15 09:53 등록 | 원문 2021-02-15 03:02
1 2
학생들 수강평 보고 결정 경향 높아 ‘경쟁강사 비방댓글’ 학원강사 구속도 리뷰...
-
[단독] "'위안부' 개입 말라"…극우 인사들 미국에 메일 공세
21/02/14 23:59 등록 | 원문 2021-02-14 20:08
7 14
[뉴스데스크] ◀ 앵커 ▶ 최근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의 램지어 교수가 논문에서...
-
서울대 문과 하향 지원 ‘이변’… 농경제사회, 경영대 제치고 최고점
21/02/14 23:14 등록 | 원문 2021-02-14 19:34
3 4
정시 최초 합격 커트라인 살펴보니 ‘서울대 간판’ 노린 수험생들 몰린 결과...
-
“지방에서 수도권大 왔더니 역차별”… 공기업 지방대 할당제에 청년들 '허탈'
21/02/14 19:18 등록 | 원문 2020-11-06 06:03
11 41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 채용시 지방대학 졸업자를 절반 가까이...
-
21/02/14 17:21 등록 | 원문 2021-02-14 17:06
0 1
재수·삼수생 등 대거 몰리며 지난해 강남·서초 53% 달해 명문고 밀집·경제력도...
-
[시사스페셜]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3월2일 정상적으로 개학, 학사운영 시작"
21/02/14 15:26 등록 | 원문 2021-02-14 13:33
2 13
유은혜 부총리 “3월2일 정상적으로 개학, 학사운영 시작” “초등학교 1·2학년,...
-
KAIST, 제자 성추행해 징역형 받은 수학자 초청 세미나 논란
21/02/14 13:25 등록 | 원문 2021-02-14 13:13
4 2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제자들을 성추행한...
-
21/02/14 13:00 등록 | 원문 2021-02-14 09:26
0 3
[앵커] 인공위성은 자체적으로 만들어내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가 바로...
-
차기 야당 세종시장 출마 예상자 포함된 단톡방에 나체 동영상 게재해 '물의'…유포자 파문일자 사과
21/02/14 12:38 등록 | 원문 2021-02-14 12:10
0 2
야당 출마예상자, 유포자 사과에 “용기에 경의 표한다”…성폭력 전문가 “성인지...
ㄹㅇ ㅋㅋ
경희기만
ㅇㅇ
저 기사는 제대로 읽어본 거임?? 지금 취준생들이 역차별당하고 있다고 한탄하는 거잖아ㅋㅋ 그리고 지방에서 힘들게 공부해서 서울에 있는 명문대 간 사람은 지방인재가 아니고 서울토박이가 별로 공부 못해서 지방대학 가면 지방인재 취급해주는 게 말이 되나?? 지방인재 채용 필요한 거 취지는 당연히 인정. 그런데 안 그래도 요즘은 다 블라인드 채용 확대되고 있는데 지방인재 채용을 20-30%도 아니고 50%까지 확대해서 채용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역차별이 맞지. 본인들이 자발적으로 대학 선택하고서 역차별이라고 하시면 곤란하죠~~ 냉정하고 정의로운 척 죠죠 거리면서 입만 나불대네ㅋㅋ
근데 50까지 올라갈줄은 몰랐름 30대에서 멈출줄
50까지 간다 간다
모든 정치인이 말하는중인데?
이미 부산은 35퍼임
역차별이라곤안함 당시엔 50까지갈줄몰랐다는거지
아무도 역차별 언급은 안함.
아했구나
진짜 개같네
ㅠㅠ
애매한 수도권 갈바엔 지거국이 이득이죠
ㅇㅈ
어디 부터 애매한지는 알아서 판단하는거고
그렇다고 수능 점수 버리긴 아까움 ㅋㅋ
그래도 높은과는 매우 높아졌지 않나요?
혜택을 더 주고, 지방 기반을 더 단단하게 하면서 수도권 집중화에서 벗어나 균형발전을 추구해야지
지방대에 최저를 부여하면 안되나.. 그럼 역차별이라는 지적도 줄거 같은데.
최저 준다는게 어떤 의미..?
입결 최저를 주면 안 그래도 미달 문제 해결하야하는데 더 가속화 시킬테고, 소위 대학 급의 최저를 주면 나라가 나서서 대학 서열화를 하는건데..
일부 대학에 한정해서 입결최저요. 그러면 저정도 급의 학생들이 가는구나 하고 인식이 오히려 역전되지않을까요?

그것보단 혜택 등 다른 유인을 주는 등등으로 경쟁력 올리는게.. 그냥 단순히 최저만 딱 걸어버리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것 같음좋은 대학의 요건에 뛰어난 능력 있는 학우분들의 존재도 있잖아요..
그걸 인위적으로라도 보장할 수 없을까 싶어서.
그냥 블라인드 하지 별 지랄을 다하네
함정) 혁신도시에 있는 공공기관임 지방에 있는 모든 도시가 혁신도시는 아님
역차별은 역차별이지
이걸 시행하고 입결이 올라갔으면 몰라도 더 나락가는 중이기에 아아아주 심각한 역차별로 보이는데
올라가거나 유지중임
대표적인 지방할당 과들
부산대 상경 => 2년 연속 입결 상승 유지
경북대 공대=> 2년연속 유지
전남대 전기=> 상승
나머지 과들은 추락중
효과가 없는게 아님
효과를 보는 인원이 적은거지
저거한다고 수도권 쏠림이 해결될까요
절대 안됨 ㅋㅋㅋㅋ
이게 역차별은 아니지..
근데 지방할당제 늘리고나서 부.경대 상위과만 입결 올랐지 하위과는 점점 떨어지는중인게 문제인듯
그냥 블라인드 하라고 그럼 지방에 몰아주지 말고 할당제 ㅈㄴ 좋아함 아주
문재앙.
놀랍게도 이명박이 만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