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 [392856] · MS 2011 · 쪽지

2013-02-16 23:41:00
조회수 27,351

훌천에 재미있는 자료가 있어서 몇 개 소개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603458


90년대 중반에서 00년대 초반의 입시 자료들인데 지금 기준에서 보면 색다르게 느껴질 만한 것들이 많습니다. 나름대로 흥미로운 자료들이라 소개해봅니다.
이 당시에는 특차라는 제도가 있었는데, 많게는 정원의 100%를, 적게는 정원의 20% 정도를 특차로 선발했었습니다.
94학년도 입시부터 96학년도 입시까지는 특차를 통해 본고사 없이 수능과 내신 만으로 학생들을 뽑았었는데, 요즘의 정시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97학년도부터는 본고사가 폐지됨에 따라 내신의 반영없이 특차에선 수능 점수로만 바로 선발을 했는데, 이건 요즘의 정시의 우선선발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 당시 경희대학교, 포항공대 특차 자료와 기타 등등을 소개할까 합니다.

< 경희대학교 1994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한의예과 - 수능 185.2점
치의예과 - 수능 176.5점
의예과 - 수능 174.6점
약학과 - 수능
171.5점



전체 수석 - 한의예과 김원진 (27 / 부산고 졸 / 500점 만점에 482.3점)




< 경희대학교 1995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한의예과 - 수능 180.9점
치의예과 - 수능 171.8점
의예과 - 수능 170점
약학과 - 수능
164점
법학과 - 수능 162점
경영학부 - 수능 155점



전체 수석 - 한의예과 강종필 (19 / 경남 창원중앙고3 / 수능 192.5점) : 수능
전국 5등, 내신 1등급




< 경희대학교 1996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한의예과 - 수능 172.5점
의예과 - 수능 160.6점
치의예과 - 수능 160점
한약학과 - 수능
154.7점
약학과 - 수능 153.7점
법학과 - 수능 151.7점
신문방송학과 - 수능 149.2점
행정학과 -
수능 146.4점
경영학부 - 수능 143.9점
정치외교학과 - 수능 142.2점
경제학과 - 수능
142.1점



전체 수석 - 한의예과 김재홍 (26 / 수능 182.5점)




< 경희대학교 1997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한의예과 - 수능 331.8점 (커트라인 점수 : 수능 327점)
의예과 - 수능 310.9점 (커트라인 점수 :
수능 306.3점)
치의예과 - 수능 310.5점 (커트라인 점수 : 수능 308.2점)
약학과 - 수능 298점 (커트라인 점수
: 수능 292.9점)
한약학과 - 수능 297.4점 (커트라인 점수 : 수능 293.9점)



전체 수석 - 한의예과 강동완 (18 / 경남 통영고3 / 수능 345점)





참고로 1996학년도 수능에서 전국 대학 학과 중 가장 정시 평균 점수가 높았던 학과는 서울대 의예과이며, 수능 171.1점입니다. 2위는
고려대 법학과 수능 170.7점, 3위는 서울대 전기공학부 수능 169.4점입니다.

또 특차전형 합격자들의 학과별 평균 수능 점수는
연세대 의예과가 173.9점으로 최고를 기록했고 경희대 한의예과가 수능 172.5점으로 2위, 고려대 법학과가 170.4점으로 3위, 고려대
의예과가 170.1점으로 4위입니다.



< 포항공대 1994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180점 (전국 상위 0.36%)


전체 수석 - 물리학과 윤건수 (18 / 서울과학고3 / 1차 수능 194.2점 / 2차 수능 191점) : 2차 수능 전국
수석




< 포항공대 1995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179점 (전국 상위 0.26%, 합격자의 58.3%(70명)가 내신 1등급)



전자전기공학과 - 수능 182점
물리학과 - 수능 181점
전자계산학과 - 수능 181점
기계공학과 - 수능
181점
산업공학과 - 수능 179점
생명과학과 - 수능 178점
수학과 - 수능 176점
화학과 - 수능
176점
화학공학과 - 수능 176점
재료공학과 - 수능 176점


전체 수석 - 전자계산학과 김근호 (18 / 부산개금고3 / 수능 188점)




< 포항공대 1996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166.4점 (전국 상위 0.41%)



전자계산학과 - 수능 170점
전자전기공학과 - 수능 169점
물리학과 - 수능 167점


전체 수석 - 전자전기공학과 이재명 (24 / 서울 용문고 졸 / 수능 181.8점) : 서울대 의예과 2학년
자퇴




< 포항공대 1997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고교장 추천제)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320.8점 (전국 상위 0.57%) / 고교장 추천제 : 수능 302.0점



전자전기공학과 - 315.4점
기계공학과 - 314.3점
생명과학과 - 312.8점
물리학과 -
311.5점
화학공학과 - 301.2점


전체 수석 - 생명공학과 김종민 (18 / 서울과학고3 / 수능 353점)




< 포항공대 1998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고교장 추천제)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369.8점 (전국 상위 0.59%) / 고교장 추천제 : 수능 360.5점 (전국 상위
1.39%)



화학과 - 수능 376점
생명과학과 - 수능 373.9점
전자전기공학과 - 수능 370.6점
전자계산학과 -
수능 369점
기계공학과 - 수능 368점
물리학과 - 수능 367.7점
화학공학과 - 수능 366.8점
재료금속공학과 -
수능 366.6점
산업공학과 - 수능 366.5점
수학과 - 수능 354.7점




< 포항공대 1999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고교장 추천제)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386점 (전국 상위 0.44%) / 고교장 추천제 : 수능 382점 (전국 상위
1.06%)



전자전기공학과 - 수능 388점
생명과학과 - 수능 387점
기계공학과 - 수능 387점
전자계산학과 -
수능 386.9점
물리학과 - 수능 386.7점
화학과 - 수능 385.5점
산업공학과 - 수능 384.7점
재료금속공학과
- 수능 384.4점
수학과 - 수능 384.3점
화학공학과 - 수능 383.4점

전체 수석 - 전기공학과 김영준 (18 / 부산사대부고3 / 수능 393.5점)




< 포항공대 2001학년도 입시 평균 점수 (특차 / 고교장 추천제) >



전체 평균 - 특차 : 수능 393.4점 (전국 상위 0.58%)



컴퓨터공학과 - 수능 394.8점
전자전기공학과 - 수능 394.5점
생명과학과 - 수능
393.5점
물리학과 - 수능 393.5점





 


단순 퍼센트만 비교하면 이 시절의 포항공대가 현재의 지방 하위 의대, 치대와 비슷하다고 보면 됩니다.

퍼센트를 보면 알겠지만, 처음 수능 제도가 발족되었을 때는 평균 점수가 시간이 지날 수록 하락하는 것이 보일 것입니다. 00년대 후반으로 오면서 정시 입결로는 연세대 공대와 비등하게 되어버릴 정도로 추락, 현재는 그래서 아예 정시
모집을 하지 않습니다.






89학번 치의예과 장은유
90학번 치의예과 권순영
91학번 치의예과 김종걸
94학번 치의예과
임강순
97학번 치의예과 김연하 (원점수 311.6점)


11학번 치의예과 정광영








78학번 한의예과 송봉근
79학번 한의예과 이진흥
80학번 한의예과 박우순
81학번 한의예과
원진희
83학번 원불교학과 손동진
85학번 한의예과 조기열 (학력고사 315점)
86학번 한의예과 이금수
87학번 한의예과
이민계
88학번 한의예과 이용근 (학력고사 308점)
89학번 한의예과 김지용
90학번 한의예과 임정국 (학력고사
290점)
91학번 한의예과 최영수 (학력고사 302점)
92학번 한의예과 전진우 (학력고사 315점)
94학번 한의예과
장문수
96학번 한의예과 최미라 (원점수 167점)
97학번 한의예과 강기훈, 유형진 (원점수 325점)
00학번 한의예과
김용명 (원점수 388.8점)
01학번 한의예과 이정국 (원점수 만점)
02학번 한의예과 김미라


07학번 치의예과 윤제현
09학번 치의예과 「이름 누락」
12학번 치의예과 김일호





< 1997학년도 수능 특차 수석 >



연세대 - 의예과 윤경훈 (수능 345.2점)
경희대 - 한의학과 강동완 (수능 345점)


원광대 - 한의예과 강기훈, 유형진 (수능 325점)


전북대 - 치의예과 조정훈 (수능 310.6점)
단국대 - 치의예과 김진성 (수능
307.5점)

조선대 - 치의예과 김좌욱 (수능 296.8점)





 


그 당시 의예과와 치의예과가 모두 있었던 대학들입니다.






<90년대 중반 ~ 00년대 초반 원광대학교 각 학과 커트라인 점수>



1996학년도 수능 (원점수) : 한의예과 152점, 치의예과 144점, 약학과 143점, 의예과
141점
1997학년도 수능 (원점수) : 한의예과 309.5점, 치의예과 288.9점, 의예과 288.1점, 한약학과 280.9점,
약학과 278.2점
2000학년도 수능 (원점수) : 한의예과 384.2점, 치의예과 374.5점, 의예과 373점, 약학과 366.3점,
한약학과 366.2점 (내신 1등급)
2001학년도 수능 (표점) : 한의예과 392.84점, 치의예과 389.84점, 의예과
387.72점, 약학과 386.5점, 한약학과 385.2점 (내신 1등급)


그 외에도 재미있는 자료들이 많았습니다. 1996학년도 연세대학교 입시 결과라든가, 1994학년도 서울대학교 입시 결과라든가 지금과는 다르게 신방과와 건축학과가 초강세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