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약16 [602481] · MS 2015 · 쪽지

2021-02-02 16:54:03
조회수 4,341

약대 서열에 관한 개인적인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850329

약대 졸업반인 화석입니다 ..ㅎ

오르비 통해서 눈팅하다보면 약대 서열에 관한 글과 댓글이 보이더라고요.

사실 약대 서열은 크게 의미가 있지 않습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의대만큼 나진 않죠.

특히 중대 성대 연대 경대 이대 이정도 대학들이 많이 오르내리던데

솔직히 말씀드리면 아직 연대는 보여준 부분이 없습니다. 충분히 좋은 대학이고 많은 지원을 하고 있지만 기존 상위권 대학인 설중성이경에 비해 아직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가끔 댓글에 중대가 설대랑 비빈다. 와 같은 댓글도 본적이 있는데,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중대가 역사도 오래되었고 충분히 좋은 대학이지만 약사회에서 가진 힘이 설대를 이길정도로 크진 않아요.

그리고 성대와 중대도 많은 비교를 하는데, (성대생 입장으로선 성대가 더 좋다고 생각을 하지만) 객관적으로 보면 또이또이 입니다. 각 학교 모두 장점이 있고 둘다 좋은 대학임은 분명하고요.

(그리고 성대가 삼바때문에 많이 커졌다고 생각하시는 분 계신데전혀 관련 없습니다.. )

모든 약대들 각자에 장점이 있고 밀고 있는 분야도 다릅니다!

너무 서열에 신경쓰지말고 약대목표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enda · 945404 · 21/02/02 16:59 · MS 2019

    연구쪽으로 갈려면 학벌이 중요하다던데 하위권 정성대를 가서 대학원 석사과정을 밟는다해도 극복하기 어렵나요?

  • 성약16 · 602481 · 21/02/02 17:00 · MS 2015

    대학원을 타교로 진학하시면 됩니다.

  • renda · 945404 · 21/02/02 17:02 · MS 2019

    감사합니다 성약 부러워요
  • noonr · 897987 · 21/02/02 16:59 · MS 2019

  • 옝니이 · 936954 · 21/02/02 17:05 · MS 2019

    약사회만 봤을때는 보통 중대vs 비중대로 갈리는것 같아요. 의치한수는 서울대나 경한이 가장 많은 정원이라 인풋에 받쳐주는 아웃풋이 커서 탑인반면 약대는 서울대정원이 중대이대 절반밖에 안돼서 정치력이 약하죠. 학계는 서울대가 탑이지만 그만큼 임상분야에 진출하지 않았다는 뜻이라

  • 성약16 · 602481 · 21/02/02 17:11 · MS 2015

    약사회장을 보통 설중성이 번갈아가면서 보통하고 있죠.!
    약사회에 중대출신이 많은 자리를 잡고 있지만 정치력은 타대학들에 비해 중대가 앞도적으로 강한것은 아닙니다.

  • 성약16 · 602481 · 21/02/02 17:12 · MS 2015

    성대생이라 조심스럽지만
    중대도 충분히 좋은 대학이고 탑 대학교 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약사회 정치력에 대해 너무 과대하게 알고 계신거 같아 말씀 남겼습니다.

  • Johan · 854192 · 21/02/02 18:17 · MS 2018

    성대 이공계 인문계 학생들 글보면 부드러움 겸손 강한내공 고급스러움 높은지적수준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 성약16 · 602481 · 21/02/02 19:57 · MS 2015

    저를 그렇게 봐주셨다는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성대생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주줄 · 870311 · 21/02/02 21:26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손발팔팔 · 834546 · 21/02/02 21:39 · MS 2018 (수정됨)

    성공에서 의대 삼반수 실패하고 옆그레이드는 의미가 없어 9월 복학 대기중인데 마지막으로 한번더 생각중입니다. 의치한 반수 실패시 약대는 어떨까 생각중인데 진로상 전망이 어떤가요? 성약에서 학계. 제약사. 병원. 개원 비율은 어느 정도인지요? 그리고 일반적인 소득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요? 사반이라 내년에는 의대 합격해도 카투사나 공군 갈거고 실패시 2학년 진입할거라 연고공으로 갈 생각은 없습니다.

  • 너도밤나무 · 750775 · 21/02/03 01:11 · MS 2017 (수정됨)

    저도 같은처지고 궁금해서 와드해둡니다...

  • 성약16 · 602481 · 21/02/03 11:09 · MS 2015

    너무 질문이 많으셔서 답변드리기 어렵네요.
    당연히 약국의 비율이 가장 높고
    전망은 밝다고 말하긴 조심스럽지만, 저희가 살아있는 한 망하진 않을것 같네요..ㅋㅋ
    소득은 제가 예전에 쓴글 찾아보시면 될것 같네요
    졸업후 바로 페약을 한다고 치면 세후 평균 500 정도 받는다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개국하고 하면 더 벌겠죠?
    그리고 약사를 까는 글들에서 무슨 권리금이 15억이니 이런 글도 있던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약사 수 증가 되서 포화될 것이라는 말이 많은데 현재 피트체제 운영되어 인원수 증가된지 10년이 넘어갑니다. 그때도 약사페이 떨어질것이다 이런말들 계속 나왔는데 전혀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사실 소득, 전망 이런 부분은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습니다. 어떤말을 해도 불편하시는 분글도 계셔서요.
    본인이 잘 고민해보시고 결정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다싶고보 · 896464 · 21/02/03 00:26 · MS 2019

    성약이랑 중약이랑 또이또이하다는건 개인적인 생각이신가요? 아니면 다른분들생각도 그렇나요??

  • 성약16 · 602481 · 21/02/03 10:55 · MS 2015 (수정됨)

    약대생, 중대생 포함해서 물어봐도 저와 같은 생각입니다.
    물론 아니라고 하시는 분도 계시겠죠.
    제글의 요지를 잘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 깔라비 · 703874 · 21/02/03 06:26 · MS 2016

    차라리 설약이랑 중약이 또이또이지.. 중약이랑 성약이랑 또이또이는 아닌 거 같은데;; 약대는 설중 투탑 아닌가..

  • 성약16 · 602481 · 21/02/03 10:58 · MS 2015

    약대생이신가요?
    저는 중앙대와 서울대가 투탑이라는 말을 오르비에서 처음 들었습니다.
    물론 개국계에서 중대가 큰 영향을 주곤 있지만 이점우로 설대급으로 인식이 되진 않을 것 같네요

  • Johan · 854192 · 21/02/03 07:07 · MS 2018 (수정됨)

    글속에 모든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데.....................

  • 약대딱대 · 867042 · 21/02/04 20:07 · MS 2019

    중대는 제약쪽 아닌가요? 무시무시한 인원과 마치 고대같이 서로 밀고끌고 하는게 좀 많다던데
    제가 알기론 제약회사쪽에서 중대 영향력 무시 못한다고..

  • 학벌보단재산 · 1089062 · 21/11/20 22:37 · MS 2021

    약대는 설중 투탑이 아니라 설중성 쓰리탑이라고 보시면되고 중성은 일반과 연고,고연 정도로보시면될듯? 중약 성약 또이또이한건 ㅇㅈ하는데 중약 사람이 워낙많아서..(중피아ㅋㅋ)
    제 생각엔 중약이 아주조금 우세한거같네요 뭐 결론은 또이또이ㅇㅇ

  • 샤대생 · 1207042 · 23/02/10 17:39 · MS 2023

    국내 약대 선호도 순

    1군 → 서울(본), 중앙(본), 성균관(이), 이화여자(본), 경희(본) 순.

    2군 → 숙명여자, 동덕여자, 연세(이), 가톨릭(본), 한양대(분) 순.

    3군 → 동국(이), 삼육, 덕성여자(본), 아주, 가천(이) 순.

    나머지는 지잡이라 거거서 거기.(단국 약대는 이원화 캠퍼스라 지방이지만 근처에 1호선이 있음.)

    서울 약대는 국내 약대 부동의 원탑. 3차병원(서울)을 소유.

    중앙 약대는 국내 약대에서 전통이 제일 깊음. 두산 재단이며 3차병원(중앙)을 소유. 단 유급제도가 있음.

    성균관 약대는 수원에 있고 그 이원화 자체가 남초가 심한 편이지만 전통이 깊음. 삼성 재단이며 3차병원(삼성)을 소유.

    이화여자 약대는 전통이 깊으며 국내 약대 중 교통과 주변 인프라가 압도적으로 좋음. 3차병원(이화여자)을 소유.

    경희 약대는 3차병원(경희)을 소유. 단 유급제도가 있음.

    숙명여자 약대는 교통과 위치가 괜찮은 편.

    동덕여자 약대는 교통과 위치가 괜찮은 편.

    연세 약대는 교통은 괜찮은 편이나 해당 대학에서 인천 번화가 중 제일 가까운 구월동에서도 먼 편이며, 서울은 훨씬 더 멂. 3차병원(세브란스)을 소유.

    가톨릭 약대는 서울이 코앞. 천주교 재단이며 3차병원(성모)을 소유.

    한양 약대는 곧 한양대병원과 특목고를 분교내에 지을 예정(의대를 따로 신설하진 않음.)이며, 현재 교내에 카카오 데이터센터를 포함해서 여러 회사의 고층 빌딩이 지어지고 있음. 2025년 4월에 개통 예정인 신안산선만 준공되면 교내 안에 설치될 '한양대에리카'역에서 '여의도'역까지 25분 거리. 해당 재단이 3차병원(한양)을 소유.

    동국 약대는 서울에서 해당 학교까지 직행으로 가는 버스가 몇 대 있고, 제일 가까운 노선이 해당 학교에서 걸어서 30분 거리인 경의선의 '풍산'역에서 '홍대입구'역까지 25분 거리. 해당 대학의 의대와 한의대는 모두 분교 소속이지만 모두 본과 때 해당 캠퍼스로 오게 되기에 해당 캠퍼스가 남초인 거. 불교 재단이며 3차병원(동국)을 소유.

    덕성 약대는 서울에 있고, 제일 가까운 전철역에서는 가까우나 해당 지역 자체가 고립된 지역.

    아주 약대는 제일 가까운 노선인 신분당선의 '광교중앙'역에서 '강남'역까지 45분 거리. 3차병원(아주)을 소유.

    삼육 약대는 해당 대학 포함 서울 공릉동에만 4개의 대학이 있으나 그 일대 자체가 별거 없음. 해당 학교는 제일 가까운 역에서도 가깝지 않은 편.

    가천 약대는 교통은 괜찮은데 주변이 별로이고, 가장 가까운 번화가인 구월동에서 멀고 서울에서도 멂. 3차병원(길)을 소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