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vigne [402637] · MS 2017 · 쪽지

2013-02-07 08:40:15
조회수 3,895

** 고3의 의대 준비하기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82150

오랜만에 컴백하네요^^
좀 있으면 학교에서 볼링치러 가는 데 심심해서
후배들이 의대를 어떻게 준비해야하는 지 대강의 outline을 잡아드리려합니다. (특히 고3)

***************************************************************************************************

수능 : 아 난 드디어 실질적인 고3 이 되었어요.

12월~2월 : 기출문제 죽어라 푼다. (수학 선행은 끝내는 편이 좋음.)

3~4월 : 수능특강 풀기
           입시계획 outline 세우기
            => 의대가는 방법 4가지 : 입사제, 학생부우수자, 논술, 정시
           논술로 정했으면 바로 매일매일 논술공부 시작.

5~7월 : 수능완성,ebs 인터넷수능,고득점 풀기.
           입사제나 학생부우수자의 경우 자소서 쓰기 시작하기.


7~8월 : 논술공부를 혼자서 했던 사람은 이 때는 학원도 다니면서 병행하기.
           자소서 쓰기.
           연계교재는 계속 풀기.

9월 : 9월모의 보고 멘붕금지하기.
       논술보는 사람은 역시 계속 논술공부하기.
       특히 연대논술 보는 사람은 적어도 3시간 논술공부하삼.

10~수능 : 연대도 끝났으니 수능에만 올 전념.
              ebs 연계, 기출문제 무한 복습 (제일 지루할 시기)
              이 때 한양대 학우 우선선발같이 미리 합격 받고 기뻐하면 안됨. 
              그냥 떨어졌다 생각하고 수능에 전념. 최저 맞추삼.

수능~11월 30일 : 의대의 입시는 이제부터 시작임.
                        면접준비, 논술준비 계속하고, 시험보러 다니고
                        최저 안 맞췄다면 바로 재수할지 정시로 공대라도 갈지 고민하시고.

12월~2월 : 정시생들의 마음이 쫄리는 시기. 수시생들은 정시생들 놀리면 안됩니다. 진짜 마음 쫄리대요.(들은 얘기)

3월 : 재수 or 천국의 예과 생활.

********************************************************************************************************

간단하게 정리 해봤습니다.

질문 사항 있으시면 질문해주시구요^^

그 외의 질문사항은 무.조.건. 댓글로만 받습니다.
(쪽지는 과외관련 쪽지가 아닌 이상 다 무시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TakeMyHand · 368164 · 13/02/07 11:30 · MS 2011

    과탐 모의고사 책 추천해주실수 있으세요? 화2요.

  • Lavigne · 402637 · 13/02/07 16:13 · MS 2017

    전 자이가 좋다구 생각합니다.^^ 마더텅도 괜찮은데 들고 다니기 힘들어서...ㅎ

  • TakeMyHand · 368164 · 13/02/07 16:53 · MS 2011

    기출, 연계교재 이외에는 안푸는게 낫나요?

  • Lavigne · 402637 · 13/02/07 17:19 · MS 2017

    그것 푸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할 겁니다.
    사설도 비추구요. 만약 시간이 남는다면 그냥 복습을 추천합니다.

  • TakeMyHand · 368164 · 13/02/07 18:03 · MS 2011

    감사합니다.

  • 256289 · 256289 · 13/02/07 11:47 · MS 2008

    의치대 논술공부는 어떤책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학원다닐 수 없는 형편이면

  • Lavigne · 402637 · 13/02/07 16:15 · MS 2017

    오르비에서 올라온 sky pass 도 좋고, 논술학원 중에서도 인강도 있습니다.(비싸긴 하죠 인강도)
    또,여상진 수리논술에서 나온 서연고 기출문제집으로 푸세요.

  • 수능 뒷바라지 · 428839 · 13/02/07 12:19 · MS 2017

    수시 1차 2차 3차 구분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 Lavigne · 402637 · 13/02/07 16:14 · MS 2017

    수시 모집 전형 시기에 따라 구분하는데요 사실 구분의 별의미가 없답니다.

  • 마리짱 · 257478 · 13/02/07 16:27 · MS 2008

    과탐은 정말 인강이 진리일까요? 개념서랑 기출문제로만 만점은 어려울까요? 제가 방학동안에 하이탑이랑 기출문제로 화학1을 공부하였는데 모두들 인강이 갑이다 하셔서 다시 학기중에 반복할때 인강을 들으면서 공부할까 고민중이거든요....그런데 학기중에 인강을 듣자니 시간이 많이 걸릴까봐 걱정이에요 ㅠㅠ

  • Lavigne · 402637 · 13/02/07 17:18 · MS 2017

    그렇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은 선생님이 있어야한다는 거에는 동의하지만, 인강이 필수적이진 않습니다. 학교 선생님으로 충분할 거 같구요. 또, 님께서 혼자서도 충분히 이해가 가신다면 구지 안하셔도 됩니다.

  • 츠유시 · 405674 · 13/02/07 21:33 · MS 2012

    메이저 의대(서연고울성한) 수시 논술준비하는데요.. 수리는 나름 꽤 자신이 있고 여상진인강+SkyPass 충분히 돌리고 있습니다.. (방학때 학원다니는 것도 고려중입니다...)
    과학논술이 쫌 걸리는데..ㅜㅜ 울의 의학논술은 따로 준비안해도 된다는 말도 있어서 해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민됩니다..
    꽤 유명한 자율고라 특강으로 샘들이 해주는게 있긴한데 많이 부족한 것 같아서요...
    메가 인강같은거 들을 필요가 있을까요??ㅠㅠ

  • Lavigne · 402637 · 13/02/08 12:55 · MS 2017

    과학 논술의 경우 물화생 1 + 화2 내용 숙지하는 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못 쓰으시겠으면, 인강을 들을 필요가 있구요.

  • yangs · 360334 · 13/02/07 22: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airbum · 402326 · 13/02/10 19:02

    연대 작년 4번 문제나 꼭 보면 한 문제가 킬러식으로 나오는 논술 시험이 있는데요 그런 경우는 어떤방식으로 대처해야 하나요?
    막판 보스형님들을 만나면 어떻게 풀지 아이디어가 안 떠오를 때가 있는데 말입니다

  • Lavigne · 402637 · 13/02/11 01:06 · MS 2017

    구하려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생각의 연쇄를 물어나가는 사고를 합니다.
    A를 구하려면 B를 구해야되고 B를 구하려면 C를 구해야되고...
    이런 식으로요.
    처음엔 불편하지만 나중에는 그냥 머릿속에서 알아서 되서 생략된답니다.

  • overcoming · 427793 · 13/02/10 19:17

    얘비고2 이과학생입니다. 이번에 자이가 약간 망작이라는평이 많던데 어떤걸 선택하는것이 좋을지 의문입니다.
    커리를 마플을 겨울방학부터 미친듯이 반복할 생각중이고 원래 자이를보려고 했었는데,,
    다호라를 봐야 할까요? 기출문제집 추천부탁드립니다.

  • Lavigne · 402637 · 13/02/11 01:05 · MS 2017

    저는 일단 자이를 봤는데요...
    망작이라면....
    개정 전 세대라 여기까지만 말씀드리네요..ㅠ

  • 기하와벡터 · 407670 · 13/02/11 11:33 · MS 2017

    이제 고3올라가는 학생입니다 수리는 그냥 기출만 돌리고 문제 계속 풀거고 수리논술도 여상진 들을건데요 과탐논술은 ...감이 잡히질 않네요 제가 수능때 화1생2를 할예정이라 그 두개는 할 자신이 있는데 도무지 배운적도 없는
    물1 화2 물2는.. 너무 막막합니다 ㅜㅜ.. 아 그리고 수리논술이나 과탐논술은 어느 시기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지금 당장해야하나요? 아니면 기출다 돌린뒤 3월정도 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선배님ㅎㅎ

  • Lavigne · 402637 · 13/02/11 17:24 · MS 2017

    물2는 구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화2는 필요한 듯합니다. 따로 공부를 하셔야할 듯 싶어요.
    수리논술로 승부를 보시려면 모의성적이 잡히는 대로 바로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아직 안 잡히셨다면, 일단 수능에 주력하시길-논술도 최저 싸움이니까요.)
    과탐논술은 전 따로 시작하지 않고, 기출문제 본 것 밖에 없었습니다.

  • 기하와벡터 · 407670 · 13/02/11 19:10 · MS 2017

    감사합니다 근데 님 과탐 화2나 물1 등 수능때 응시하지 않은 과목을 공부하지 않고서 과탐논술 기출문제만 봤다는 건가요?

  • Lavigne · 402637 · 13/02/12 09:36 · MS 2017

    물화생 1 화2 는 공부했습니다.

  • 의대은지 · 443036 · 13/03/23 15:25 · MS 2013

    저는 지금고1인데 고1도 저런식으로 써주시면 안될까요? 어떻게공부해야도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