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788926
이차함수는 이차식을 그래프화 해놓은거라고 받아들였습니다.
그래서 y=ax²+bx+c의 x절편은 y=0과의 교점을 말하는 것이리나는 것까지 이해가 되는데요
이차함수와 직선과의 교점을 구할때 왜 두 함수식을 항상 같다고 두어야 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천대 의예과 24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안녕하세요, 가천대학교 의예과 제 9대...
-
수학 2
겁나 어려운 브릿지 같은 하프모고 있음? 타임어택 겁나 심하게
-
정시 다군으로 넣을수 있나요? 작년기준 추합포함 컷이 어느정도에서 짤렸나요?
-
토요일 오전에 경희대학교 한의예과 논술이있고 오후에 서강대학교 논술이 있고 일요일날...
-
대가대 점수가582.684 입니다..가능할 점수인가요?
-
의대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아...죄송요 글을 잘못 썼네요
그러면 이차함수와 직선광 교점을 구할 때는요?
아~그러네요 감사합니다
음?
ㅎㅎ 수정 했습니다
약간 헷갈려하시는거같아요 그냥 함수 하나가 있을 때 실근을 가지거나 중근이면 x축에 접하거나 서로다른 두 실근이 있거나 허근이면 x축에 닿지 않는거고,두 함수의 교점이면 두 함수가 겹치는 부분이기 때문에 f(x)=g(x)라고 두어서 만나는 교점을 찾는거지요 조금 다른 얘기 같습니다
교점을 보는 거예용
x축도 하나의 직선이라고 생각하시며 됩니다
네 저도 그점은 이해가 가는데 직선과의 위치관계가 약간 헷갈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