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전 풀커리를 따라간게 아닌 작년 독서의 시작, 올해 뤼미에르, 앙가르드 까지만 들었다는 점 알아주세요
사실 수업 방식 자체는 되게 심플하세요. 선생님 본인이 생각하고 밑줄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학생이 그대로 담습하는 방식이라 수동적으로 공부한다는 느낌이 생길 수 있어요. 저는 오히려 많은 힘을 안들이고도 효율적으로 실력을 높일 수 있어서 좋았지만요ㅎㅎ (사바사인듯...)
독해 방식은 그읽그풀로 유명하신데 어느정도 맞말같아요. 스팟을 잡고 지엽은 표시하고 이해할것만 이해하고 빠르게 넘어간 뒤 문제 푸는 스타일이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 이건 지문마다 읽는 법이 달라서 수업 들어보시면 이해될거에요. 간단히 정의하자면 스팟은 이 지문이 말하려고 하는것? 정도 되겠고 안구운동은 문제를 보고 스팟중심으로 얘가 뭘 묻는지 생각 후 정확한 지점으로 돌아가는 것 정도로 보면 될거 같네요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저도 아직 김민경t를 완전 체화했다는 느낌은 들지 않거든요....제가 듣고 느낀 선에서 정리한번 해봤습니다
게이 나랑 같은조합이누

뭘 좀 아네ㅋㅋ김민경 풀커리 탈 예정인데 피램문학이랑 같이 하면 충돌없이 시너지 괜찮나요?
흠...전 김민경T 독서만 들어서 잘 모르겠네요...근데 저는 문학은 피램만으로 커버 가능하다 생각하기때문에 피램하실거면 굳이 김민경T문학까지 따라가는건 부담스럽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팡일이가 구속되어서 대체강의 찾고 있는데 김민경 샘 비문학수업 방식 특징 좀 알 수 있을까요? ㅠㅠ 스팟하고 안구운동 강조하신거 같은데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일단 전 풀커리를 따라간게 아닌 작년 독서의 시작, 올해 뤼미에르, 앙가르드 까지만 들었다는 점 알아주세요
사실 수업 방식 자체는 되게 심플하세요. 선생님 본인이 생각하고 밑줄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학생이 그대로 담습하는 방식이라 수동적으로 공부한다는 느낌이 생길 수 있어요. 저는 오히려 많은 힘을 안들이고도 효율적으로 실력을 높일 수 있어서 좋았지만요ㅎㅎ (사바사인듯...)
독해 방식은 그읽그풀로 유명하신데 어느정도 맞말같아요. 스팟을 잡고 지엽은 표시하고 이해할것만 이해하고 빠르게 넘어간 뒤 문제 푸는 스타일이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 이건 지문마다 읽는 법이 달라서 수업 들어보시면 이해될거에요. 간단히 정의하자면 스팟은 이 지문이 말하려고 하는것? 정도 되겠고 안구운동은 문제를 보고 스팟중심으로 얘가 뭘 묻는지 생각 후 정확한 지점으로 돌아가는 것 정도로 보면 될거 같네요
도움이 될런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저도 아직 김민경t를 완전 체화했다는 느낌은 들지 않거든요....제가 듣고 느낀 선에서 정리한번 해봤습니다

음..그렇군요 친절한 답변 감사하고 참고하겠습니다피램 문학 괜찮나여? 인강안듣고 피램만 해도 될지 궁금하네요, 아 그리구 피램 비문학은 어떤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