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역대급 천재 10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37176

(알렉산더 그로센딕. 함수해석학, 호몰로지 대수학, 대수기하학 등에서 역대급 업적)

(스티브 워즈니악. 스티브잡스와 애플 공동창업 후 애플 II, 매킨토시 등을 설계)

(팀 버너스 리. www의 하이퍼텍스트 시스템 개발. URL, HTTP, HTML 최초 설계)

(에드워드 위튼. 초끈이론의 선두주자이자 필즈상 수상자)

(니콜러스 네그로폰테. '디지털이다' 저술. MIT미디어랩 설립. 멀티미디어 개념 창안)

(머리 겔만. 소립자의 8중도 모형. 소립자들이 쿼크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설 제창)

(솔 크립키. 가능세계 의미론을 고안하여 참인 진술의 가능성과 필연성을 수학적으로 증명)

(앤드류 와일즈. 358년 간 난공불락이었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그리고리 페렐만. 소울 추측과 밀레니엄 난제인 푸엥카레의 추측을 증명. 필즈상 거부)

(슬라보에 지젝. 모순어법적 사유방식, 경제의 재정치화 주장. 잉여쾌락 이론으로
동유럽의 기적이라 불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답변 감사합니다.
-
서너달 지냈고 정보가 많이 없더라고요 생각나는 거 다 쓸 거라 깁니다 이글도 서치가...
-
아침 8시부터 밤10시까지 n제, 과제 벅벅하기..흐흐... 옛날에(?)...
-
외쳐 대킹버드 0
오르비의 정상화 대 킹 버 드
-
수분감 다음 2
뉴런 하는게 정베인가요? 스텝1까지만 다품
-
우흥~
-
영어는 고정1임
-
개추 1
드디어 풀렸구나
-
게이밍 노트북왔다 18
-
센츄... 0
리 스프!!!
-
나도 뱃지 달면 1
은테 벗어날지도..? 칼럼도 쓴다면..?
-
꼭해야함
-
나는 왜 이럴까..
-
재수학원 0
아파트 1층부터 건물 앞 신호등까지 5분
-
1+1=3
-
자율전공인데 성적제한이 있음 그레서 내가 1지망으로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수 있을지...
-
원래 있던 영언진 아는데 갑자기 막 어느순간부터 유행어처럼 쓴거같은데
-
올해안에 금테 1
가능할까여?
-
집중 안되는건 제가 이상힌게 아니겠죠?? 어려운 응용뭊제 풀때 계속 기침하면 절대...
-
그냥 피지컬로 맞춰버리는데 이래도 되는걸까요..? 재수때 삿던 뉴런 이번에 수능...
-
8시간 하니까 4
못하겠다 쉬면서 오르비에 글싸지르고 다시 수학하고 ㅠㅠ죽겟네
-
생명과학 좋아해서 생1 공부할 때 내용자체는 재밌어하는 반이과틱?한 사람인데 윤리,...
-
사망직전 2
-
숟가락이 바닥으로 떨어짐.. 나도 너무 당황해서 미안하다는 말을 못함 얼굴도 기억이...
-
서로 비밀로 하기로함 ㅎㅎ
-
[단독] 미국행 러시는 없었다…'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2
[앵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사이에선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를 하면 된다는 반응도...
-
특정되도 알빠노? ㅋㅋ 진짜 특정되면 좆되는 새끼는 장수생에 병신일베페미글 싸지르는...
-
제가 뉴런 내용을 확실하게 체화 하고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쉽지 않나요 심지어 프사도 같은걸로..
-
공부 많이 했는데 오늘..
-
다들 공부하다가 0
한번씩 정신병 올 것 같을 때 어떻게 대처하나요?
-
매일같이 특정당하는중 20
이제는일상과도같음
-
"대학 절반만 갈래?"
-
뀨
-
왕복 두시간임 광역버스 타고 지하철 갈아타서 가는 학원은 수능날까지 체력이 너무...
-
불쌍하네
-
아무리봐도 안할 이유가 없는데
-
다른과목 봐도 서울대갈정도의 실력이 아닌거같은데 허구한날 내신 cc인가요 bb인가요...
-
맞팔구 2
ㄱㄱ
-
은테? 5
이쁘당
-
전담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외계인 느낌남 에일리언도 아니고 ㅡㅡ
-
고1~고3까지 국영수(미기확 다) 통과 통사 포함하여 수능보다 쉽게 봐서 평가하는...
-
https://orbi.kr/00072134399#c_72134635 요거 쓴...
-
매수업마다 덤앤더머찍음 어이거왜안되지 어이거왜계산안되지 어뭐지...
-
전 사격선수 하고 싶었는데, 가정을 부양해야할 의남자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혹은 자기...
-
걍 해설지랑 책 n회독하면서 중요작품 열심히 공부하면 굳이 살 필요 없긋죠?
-
이미지 적어드림 30
밖에 있는데 배터리 없어서 응답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
워즈니악 이 역대급천재였나요?? 그정도인줄은 몰랐네요 ㄷㄷ
워즈니악 없었으면 지금의 애플은 없었고
우린 스티브 잡스가 누군지도 몰랐을 거라던데요 ㅋㅋ
확실히 컴터계의 천재는 맞아요 .. 업적 보면 ..
역대급천재라고 알고있어요 ㅋㅋㅋ 무슨 글 봤었는데 까먹었넹..
대딩 때 전화 시스템 해킹해서
교황한테 장난전화를 걸었다는 전설이 있죠ㅋㅋ
워즈니악이랑 버너스리 밖에 모르겠네요
워즈니악이랑 와일즈 밖에 모르겠네요
우리나라에서 태어낫으면 의사가되엇을듯..ㅠㅠㅋ
공감,,
다시 생각해보면
지금 이순간에도 저런 역대급천재가 될만한 사람들이 우리나라에도 적지않게 있을텐데..
우리나라가 이공계에 대한 그런...뭐랄까 관심? 투자? 가 좀 부족해서..
결론은 이공장 인원늘려라 ㅠㅠㅠㅠ!!!!!!!
ㅎㅎㅎㅎㅎㅎㅋ굿굿....
우리나라 시스템과 문화를 고발하는 전형적인 클리셰인데요.
천재들은 의학에 매료될 가능성 보단, 수학이나 물리학 등의 순수과학에 매료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고로 하등 걱정할 이유가 없습니다.
의대를 간 사람들은 일반인들 보다 똑똑한건 확실하지만 천재가 아닌 것도 확실합니다.
장담하는데 10년 안에 우리나라 수학자, 물리학자가 필즈메달이나 노벨상 탈겁니다.
순수과학 쪽에 잘하는 사람들 충분히 많고 충분히 다들 알아서 하고 있는데 오르비에서 보이는 작금의 입시행태를 보고 예단하실 필욘 전혀 없습니다.
전형적인 클리셰라.. 근데 과학고에서조차 의대진학률이 꽤 되는것보면 이게현실이구나.. 라고생각하는게사실이죠 그래서 국가에서도 이공장을 만든거아닐까용 천재들도 현실의 재정적문제에서 예외는아니죠 그러니까 핵님의 의견을 완전부정하는건 아니구요 결론은.. 이공장 늘려달라구요 이 대한민국아ㅠㅠ
천재는 선천적으로 결정되는 게 아닙니다.
아이큐 210의 두뇌로 평범하게 사는 것도 어렵지 않은 일이죠.
천재성이란 특정 분야에서 광기에 가까운 집중을 보이는 것을 뜻합니다. 초월적 두뇌를 가졌냐는 2차적 문제임.
다시 말하면, 뛰어난 두뇌가 물리학에 광기에 가까운 집착을 보이면 그게 천재가 되는 겁니다.
아이큐 210이라고 해도 적당히 집중하고서는 새로운 이론은 커녕 현존하는 물리학을 채 이해도 못하고 죽을겁니다.
근데, 현실이 어쩌니 돈이 어쩌니 하는 순간 그건 천재가 아닌거에요.
요컨대, 평균 이상의 우수한 두뇌와 광기가 합쳐져야 천재가 탄생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천재적 두뇌를 가진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이 있는데 a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부 명예 등등을 누리고 살수도 있는 거고
b라는 사람은 스님이 수련을 하듯 공부만 할 수도 있는 건데
여기서, 이공장을 수여하는 식의 시스템 변화로 b가 양산되진 않습니다.
천재도 평범하게 살수잇다하셧는데 그럼 의사로간 인원중에 천재가 될만한 인재가 없다고 어떻게 장담하시는지요..; 의사될정도 머리면 그런인재가 잇을확률이 다른모집단에비해 월등히 높다생각합니다만...
말귀를 못알아들으시네요
수학이랑 물리학에 대한 광기에 가까운 집착이 이공계 천재의 전제 조건이라는 겁니다.
그게 없으면 아이큐가 200이어도 안된다는 거에요.
따라서 리처드 파인만이 아이큐 128임에도 불구하고, 누구보다 재치있는 강의를 하고 노벨 물리학상 타는게 이상한게 아닌겁니다.
저기 위에 머레이 겔만이라는 이휘소박사와 가장 친했던 사람은 아이큐 200이 넘었지만, 리처드 파인만과 같은 명성은 누리지 못했죠.
(업적의 우열은 따질수 없지만)
훗날 과학도를 꿈꾸는 청소년 대학생들에게 더 큰 영감을 준건 리처드파인만임에 확실하죠.
어쩄거나 요지는 그러한 광기가 이공장을 주는 따위의 시스템으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다시 쉽게 말씀드리면, 순수과학 천재는 머리도 당연히 좋아하지만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수학 물리학을 미친듯이 좋아해서 천재인 겁니다.
요컨대, 순수과학 천재는 알아서 순수과학 공부하게 돼 있습니다.
천재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우리나라 입시를 겪다 보면
현실에 맞춰 의치한 쪽으로 빠진다는 소리를 하는거에요. 그래서 이공계에 대한 투자를 더 많이 해달라는걸 이공장을 늘려달란 식으로 얘기한거구요. 알면서 이러시는 건지 그 뜻을 모르시는건지.
그리고 지금 예단할 필요가 없다뇨.. 지금 우리나라에서 필드상/노벨상(자연과학분야) 탄 사람이 있나요? 이런거 가지고 말하긴 뭐하지만 우리나라 평균 IQ도 상위권에 속하는데요? 그 사람들중에 천재성을 가진 사람들이, 우리나라 입시를 겪어도 다 이공계에 매진할 수 있을까요?
이휘소박사가 살아있었으면 노벨물리학상 100% 수상입니다.
그리고 제가 무슨 말 하는지 다시 읽어보시길
님도 말귀를 못알아들으시네요
뭐.. 님들 경험으로 제대로 알아들을거라는 생각은 안합니다만.
Hack님의 말도 맞지만 순수과학을 지원하는 환경조성을 한다면 우리나라가 노벨상을 받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겠지요.
hack님은 진짜 천재라면 경제적 여유와 상관없이 수학과 물리에 올인하게 되어있다는걸 말씀하시는거 아닌가요? 그러니까 우리가 게임할 때에는 밥먹는 것도 잊고 매달릴 때가 있는 것처럼, 이런 역사적인 천재라면 자기가 가난하거나 그렇지 않거나 결국 수학과 물리에 필연적으로 집중하게 된다는 말 같아요. hack 님 말씀대로라면 천재에게는 자기가 가난하다고 해서 의대를 가는게 말이 안되는거죠. 우리가 숨을 쉬는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 처럼 그 천재에겐 자기의 삶을 수학과 물리로 채우는게 당연한거죠.. 이런건 누가 억지로 시킬 수도, 억지로 멈추게 할 수도 없는 거니까 이공장을 늘리는게 그 대책이 될 수 없다 말씀하시는 것 맞나요?^^
결국 소위 말하는 '넘사벽' 급의 천재는 국가에서 환경을 만들어준다고 해서 인위적으로 만들어 지는 것도 아니며, 반대로 환경이 좋지 않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드러나게 돼 있는 , 마치 낭중지추 같은 존재라고 봐도 될까요? 일리있는 말씀이네요..
겔만이 살아있네ㄷㄷ
슬라보예 지젝이 저런 사람이었구나;; 몰랐네...
근데 왜 나는 안들어가있지;;
지젝이 들어갈 자리는 아닌듯..
그레고리.. 진정한 수학신..
필즈상 거부;;;
그로센딕이 아직도 살아있다니... 수학계의 패러다임을 바꾸신분인데... 위튼은 말할것도 없고 나머지는 뭐...
지젝은 왜 있엌ㅋㅋㅋ
페렐만...수학의 신이죠...
그로센딕,페렐만,와일즈,위튼은 맞는거같은데 .. 딴 사람은 잘 모르겠음
지젝은 들어는 봣는데 저정도임 ? 그냥 마르크스,헤겔 좋아하는사람 아님 ?
맨 위에분 한석원쌤이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