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영어의 국어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209663
이게 무슨 소리냐 싶죠? 올해 수능 영어 24번 선지를 자세히 분석해보시면 제목의 의미를 명쾌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우선 문제부터 보시죠
이 문제 의문사하신 분들 꽤 있을 것입니다. 지문 자체의 내용을 이해하는 건 쉬웠지만, 선지 판단에 애를 먹어서 틀린 분들이 꽤 됩니다. 메가스터디의 선지별 선택 기록을 보겠습니다.
대의파악 문제임에도 오답률이 3번째로 높고 46%나 됨을 알 수 있습니다. 1번과 4번, 그리고 5번 선지가 선택률이 10%가 넘고 그리고 4번 선지는 선택률이 20%나 됩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1번과 4번 선지입니다. 사실 5번 선지는 글의 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고른 선지일 확률이 높습니다. 반면에 1번과 4번은 글의 요지를 제대로 이해해도 선지 파악에 실패하면 충분히 고를 수 있는 선지입니다.
우선 1번 선지부터 보시죠. 1번 선지는 무엇 때문에 틀렸을까요? 바로 Humanity 때문입니다. 1번 선지의 of 앞부분은 맞는 말이지만 of 앞부분의 의미를 of 뒤의 Humanity가 한정시킴으로써, 1번 선지와 of의 앞부분은 완전히 다른 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죠. 따라서 1번 선지를 꼼꼼히 해석해보면, 윗글의 제목으로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4번 선지입니다. 4번 선지는 무엇 때문에 틀렸을까요? 혹시 4번 선지에서 Touch와 Time의 자리를 바꾼 다음 뜻을 해석해볼까요? 4번 선지를 해석하면 '시간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촉각의 역할'이라는 뜻이고 자리를 바꾼 말의 뜻을 해석하면 '촉각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시간의 역할'이라는 뜻입니다. 둘의 위치만 바꾸었음에도 상당히 다른 뜻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둘 중 하나가 이 글의 제목이 된다면 어떤 것이 더 적절할까요? 당연히 '촉각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시간의 역할'이 더 적절할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 선택지에 후자가 들어갔다면 당연히 복수정답일 것입니다.
솔직히 분석하면서 출제진이 좀 쪼잔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나요? 단순히 한 두 단어가 잘못 들어감으로 인해서 유력한 정답 후보가 한순간에 오답으로 바뀌어버리니까요. 그런데 저는 수능이 끝나고 이 문제를 왜 많이 틀렸나하고 자세히 살펴보니 소름이 돋았습니다. 사실 1번과 4번 선지는 수능 국어에서 자주 활용하는 선지 기법인 A의 B 함정을 이용한 것이었습니다.
지문에서 A라고 했고, 문제에서 A가 적절 여부를 묻는다면 당연히 적절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지문에서 A라고 했는데, 문제에서 A의 B가 적절한 지의 여부를 묻는다면 이는 A의 적절 여부를 묻는 것하고는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A의 B는 원래 상대적으로 큰 개념인 A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개념인 B로 한정시켜준 말입니다. 따라서 이 말은 A와 뜻이 다른 것입니다. 그래서 국어 출제진은 교묘히 A는 적절하지만 A의 B는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서 A의 B의 적절 여부를 판별하도록 합니다. 문제가 어려울 때는 많은 수험생이 틀리는 이유가 되기도 하지요.
1번과 4번 선지를 다시 한 번 볼까요? 1번은 Humanity로 of 앞부분을 의미적으로 한정시킴으로써 적절하지 않은 선지를 만들었고, 4번은 선지를 분석해보면 The Role of X in Forming the Concept of Y에서 X에 Touch를 대입하고, Y에 Time을 대입함으로써, A의 B에서 B에 들어갈 부분을 서로 바꿨습니다. 특히 4번 선지의 오답률이 높은 이유는 이 글의 핵심 키워드인 Touch와 Time이 모두 쓰였기 때문이죠
저는 올해 쉬웠다는 영어에서도 방심하면 안되는 것을 꼽으라면 단언코 이 문제를 꼽을 것입니다. 이 문제의 의의는 앞으로 평가원이 언제든지 영어에서도 이러한 선지 기법을 자주 사용하겠다는 것을 암시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사실 미국 로스쿨 입학시험 LSAT에서는 자주 쓰는 근본있는 출제기법입니다. 따라서 연계율 축소 및 직접연계 페지(?)로 기존보다 더 높은 독해 피지컬을 요구하는 앞으로의 수능 영어를 공부함에 있어서, 소홀히 공부하면 안될 것 같고 영어를 국어 비문학처럼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0 XDK (+100)
-
100
-
손가락 잘걸면 시간단축 개꿀인데 손가락 잘못걸면 손가락 잘림;;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스킬 뭐냐고
-
고1 종합 5 고2 1학기 중간/기말 4.2/3.6 모고는 2후반에서 ~3.1정도...
-
설교보다도 높게 나오는데 교원대가 이렇게 높거나오는 이유가 뭔가요?
-
33333 뜨면 지방교대 갈 성적 되나요?
-
생기부는 수학선생님을 희망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쓰여있습니다.수학에 대학 열정이...
-
우선 1개는 썼고,,, 나머지 카드 고민 중입니다.. 내신이.. 부족한 거 알고...
-
3학년 올라와서 갑자기 교대에 너무 가고 싶어졌습니다. 제가 교대 간다고 하니 현재...
-
어쨌든 목표는 교대입니다! 1. 수시로 높은대 낮은과 써서 (적정 라인으로) 한...
-
첨 뉴스 나왔을때 진짜 여기 다 엄청 난리였었는데 막 시위? 까지 한다 하고...
-
표준편차 20점대 중반 정도 나오는 일반고 입니다전교과 내신 2.18이고 국영수과...
-
개재미없다 진짜로.... 2강 보다 유기해버림 후
-
교사vs회계사 7
되게 해준다면 어딜 택?
-
어디가 더 후회적음?
-
주변보면 교회에서 만난분들끼리 결혼 엄청 많은듯
-
다글로 라는 앱인데 수업시작하면 녹음기 켜놓고 수업 끝나고 녹음기 끄면 자기가...
-
통합된다는데 내년입학해도 중간에 통합되면 부교대 졸업이 되는건가요?
-
어느 교대나 사범대가 유리한가요 ? 부산 + 양산 이 연고지라서
-
작수 기준 (표점/백분위) 언매 126/95 미적 132/94 영어1 생1...
-
한양대 국문 vs경북대 국교 vs 성대 불문
-
아는 분이 13학번인데 본인 시절엔 여학생들 중 공부잘하면 거의 교대...
-
초등학교 교실붕괴 얘기하고 있는데 뜬금없이 정시백프로니 학교폐지하고 메가패스...
-
교사 관련된 글에 달린 극도로 편향된 댓글에 좋아요가 굉장히 많이 찍힘
-
어휴 이러니까 상황이 이따구지 아무리 여기가 입시커뮤고 지가 명문대뱃지 달고 에피...
-
교대 질문받음 7
질문할 사람은 있냐? 일단 교대 뱃지 없어졌으면 좋겠다 이제 오르비에서 교대 마크 쪽팔리네
-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086483...
-
방금 듣고왔는데 현직 초등교사라 하셔서 깜놀.. 근데 더 대단한건 수업 진행능력도...
-
수교과 논술 1
모든 논술이 그렇겠지마는 수교과/수학과 여기는 특히 수학에 진심인 놈들이 많을 것...
-
고3 이야기인데 xx가 뭐냐면 과탐은 그냥 개념 시작도 안했음 1월초에 사다준...
-
왜 앞이 뚫려있음? 개신기해서 구경중 ㄷㄷㄷㄷㄷㄷ
-
운좋게 앉았는데 교대역에서 내려야하는데 어떻게 내려야할지도 몰루겠을정도로 빽빽해짐 ㄷㄷ
-
요새 인스타 스토리에 이거 엄청 올라오던데 ㅋㅋㅋ 답 아시는분 있나요
-
이건 기회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