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상에 학벌이 의미가 있을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082439
가서 열심히 하고 있고 잘하고 있다고 해도 문득 그런 생각이 들어서요.. 제가 다른 커뮤를 몰라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리고 지구과학1 시발~~~~!!!
-
근데 양의학 거리는 사람들 실제로 본적 없는데 나만 그럼? 1
이상하리만큼 ‘양의’학 거리는 사람들은 왜 .. 주변에서 병원간다 하지 양의원간다...
-
진짜궁금함 교대 사례만 봐도 ㅇㅇ
-
https://orbi.kr/0006842643 지금 관점에서 보면 서로가 서로를...
-
왜 명강인지 알 것 같네요 션티로 광명 찾고 션티로 23영어 97점 맞고 대학...
-
고2이고 중간고사 끝났음 내신&수능대비로 수2뉴런을 할까 아니면 미적분 시발점을...
-
팬도 못믿는 중
-
ㅅㄷㄹ 발작버튼 4
ㅎㅎㅎ
-
예전에는 진짜 의사들과 한의사들의 싸움이였고 댓글이 바로200개이상 올라가는 떡밥이었음
-
사탐럼) 사탐공부 지금부터 시작한다면 생윤은 오바인가요? 6
국영수 3젇도인데 사문은 이미 하고잇고 한지 ㄷ 생윤 고민이네요ㅠ
-
현역 수시 병행임 무지성 암기 약함 4덮 국영 무보 1 사문 한지 런하고 사문은...
-
"비교 스펙트럼" 이라는 용어가 기준파장만 보여준다는 뜻임? 개념에 있는건데 내가...
-
해체해해체해
-
지금 낮4 300시간 정도 투자해서 워마 고등 베이직 2회독 워마 수능2000...
-
사랑합니다 0
댓글에 작성 실시
-
버스 놓쳣다 0
15분 기다리래 하하하
-
국어 2컷 수학만점에 탐구원원
-
군인요금제 말고 그냥 알뜰폰 쓸 것 같은데 원하는 조건으로 찾기가 힘드네
-
ㅇㅂㄱ 2
-
안녕하세요 5
.
-
4덮 성적 0
화작 81 미적 84 영어 85 생윤 47 사문 42 수학 어느정도로 받아야...
-
재밌더군요 근데이거 얘네가 원본이었나
-
일어나기 귀찮아서 안봤는디
-
광물 결정 크기 조립질이 큰거고 세립질이 작은거 맞죠?
-
23년 6월 수학 92점. 존나 주작 같네 현장ㅊㅇ를 많이타나
-
국어 문학 기출 몇몇 작품들 선택해서 pdf 만들 수 있는 사이트는 없나요? 0
원하는 작품들 뽑아서 보고 싶은데
-
난병신이네 4
ㄹㅈㄷ군
-
인설 공대 목표로 사탐 표점 같은거 많이 중요한가요 5
목표가 인설 공대인데 사탐 선택을 해야하는데 표점이 많이 중요한가요? 목표가...
-
흐아암 2
약을 먹어도 나아지지 않는구나
-
선착순 10명 20000덕코 뿌림
-
작수 미적이었다가 올해 ㅌㅌ한 허수 통통인데 킬캠 100분잡고 풀면 다 못풀고 그냥...
-
. 0
과학철학 시간에 읽은 침술(아큐펑쳐) 관련 논문...
-
잼민이가 없으니 6
내가 잼민이가 되야겠어
-
25버전 이개다로 공부했었는데 올해 또 새로 사야할까요? 통계가 많이 바뀌었을라나..
-
잼이 없으니 2
마트를 가야겠어
-
재미가 없으니 1
다시 재밌는 공부를 하러가겠음
-
갑자기 궁금함
-
파워레인저는 0
엔진포스가 근본
-
이건 카페에서 힐링하며 풀어도됨 고난도아님
-
시도하시는 건가
-
20 21때 가형과탐 이과 입시했고 현직 초등교사입니다 퇴근 후 남는시간 +...
-
생각해보니까 2
생각이 안나
-
방금 씻고왔음 4
시원해
-
.
-
아무도 없나
-
복귀까지 30분 1
이번달은 진짜 퇴소한다 한달을 어떻게 버티냐ㅋㅋㅋ 공부 하기 싫은것도 싫은건데...
-
오늘도 0
출근하자마자 가고 싶네
-
선수들은 그렇게 안풀죠
-
와 님 카리나 어쩌고
여기 학벌지상주의라 물어보셔도 답이 뻔할 걸요..
그렇네요..
여기 분들도 사회를 나가보지 않아서 유의미한 답변을 기대하긴 힘들 것 같음
근디 간판 그 자체보다는 좋은 대학에서 더 좋은 환경으로 미래를 대비하는거니 의미가 있지않을까요
어차피 다들 실력 좋고 노력한다는 점은 똑같으니까 학벌도 고려대상이 된다고 생각해요
의미없어요 실력을 보장하지 않아요 결국 대부분은 상위권애들이 채워주는 실적에 열등감만 느끼게 할 뿐
조금 긴 이야기가 되겠지만, 군필의 입장입니다.
과거에는 대학을 나오는 것이 성공의 보증 수표였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좋은 고등학교를 나오면 좋은 대학에 수월하게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어떤가요?
좋은 대학을 나오는 것이 성공의 보증 수표인가요?
아니지요.
저는 현재의 대학의 역할은 과거의 고등학교의 역할과 동일하다고 봅니다.
바로 더 나은 삶(전문직, 안정성, 취업, 창업, 기타 등등)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고 보는것이지요.
그렇기에 대학을 어떻게 갔는냐가 중요한 것이 아닌, 대학에 가서 무엇을 하느냐가 훨씬
중요한 시대가 온 것 같습니다.
대학이 성공의 보증수표가 되어주는 것이 아닌 성공을 하기 위한 발판인 셈이지요.
노력은 본인의 역할 입니다.
sky처럼 좋은 댜학을 다니고 있지는 않아서 조심스러운 사견입니다만..! 학벌이 높을수록 주변사람들도 다 열심히 하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자연스레 열심히 할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또한 열심히 한 만큼 좋은 직업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지니 향후 인맥에도 좋지않을까 생각합니다.
학벌보단 뭐해서 먹고 사니가 젤 중요한거 아닌가요.. 연봉은 얼마고 워라밸은 어떻고 안정성은 좋은지 직업 만적도는 괜찮은지 등등이요.. 서울대학교 라는 것 자체가 이런 것들을 공짜로 가져다주진 않잖아요. 요즘은요. 대학 입학 후 개인 노력이 가장 중요한 시대가 아닐까 생각합니당
평균적으로 좋은 환경이 장점이지 않을까요
스타트업을 한다든지 뭘 하든지
갖춰져있는 시스템이 좋다는거?
로스쿨이나 회계법인 좋은 곳은 여전히
학벌을 보니깐.. 뭐 그쪽으로 가시려면
연대학벌은 충분히 이점을 가져다 줄 거 같아요
과도기인거 같아여
진짜 필요한 대학들만 남아서
학벌이 의미가 없는 사회가 됐으면.,, 싶기도 하고요
분야에 따라 다르죠.일반 대기업은 의미없어요
들어가는게 중요하죠.그때는 오히려 전공+학점+면접 등이 더 가치 있음
정계.법조계.언론계는 나름 출신학교가 중요함
그리고 사실 학벌보다는 인맥이라는 표현이 더 맞고
여기에는 개인성격.교우관계 등이 의미 있죠.
집단에 따라서는 소위 낮은 학교가 더 메인 학벌인 경우도 많음
예전보다 영향력이 줄어들었을뿐 학벌은 꽤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꽤 큽니다. 리크루팅 회사, 횟수등 차이가 유의미합니다. 그리고 금융권에서는 서성한 밑으로는 거의 없습니다.
물론 학벌이 모든 걸 해결해주진 않지만, 학벌이 좋은 사람이 우선적으로 얻게되는 기회는 의미가 있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