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소비자 7.8 :1 어떻게 보시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5032716

3개년간 예측치랑 가장 크게 벗어난 수치던데 (3.6 > 7.8)
그냥 직전경쟁률이 0.9라 허수표본이 몰린걸까요?
아니면 경영이나 사과대에서 하방으로 내려 온 사람도 많을까요?
여러분들은 이 경쟁률 수치가 컷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거라고 생각하시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심지어 시대인재 n수들은 미응시라고 하네요
-
삼차함수를 삼각함수로 읽고 코사인 사인 탄젠트로 케이스 나눠서 풀고있었음 답...
-
더프 화2 25인거 보고 빡쳐서 바꾸고 싶은데.. 아직 4월이니까 해볼만한가오...
-
? 4
첫 이륙글이 왜 이딴거지??
-
아까 ㅇㅈ사진 10
제가 좋아하는 망돌입니다 잘생겼죠
-
바보야 이걸 헤매고있네
-
그냥 양을 늘려서 대학교 내용까지 끌어왔으면 좋겠음 특히 수학 과탐 제가...
-
ㅇㅈ 6
전 키보드를 좋아합니다..
-
어떠냐 10
-
난리났네 난리났어~
-
앱르비 ㅈ같은점 4
사진 여러장 한번에 못올림 하나하나 따로 해야함
-
sm캐스팅 5
오르비에서 한명 더 나올거 같은데 진짜면 ㄹㅈㄷ네 와ㅏㅏ..
-
확통런 0
현역 고3 정시런데 수학 선택과목 뭐할지 도와주세요.. 미적분 이번 3모 기준 21...
-
근데 그사람이 동성이노
-
문헌연구법은 양적 연구 방법에 해당한다고 하면 틀리나요? 9
양적 질적 모두에서 활용되는건 아는데, 이걸 양적연구 방법이다 질적연구 방법이다라고...
-
ㅇㅈ 20
-
스블 듣다가 넘 좋아서 스블 체화 열심히 하다가 범준쌤 파이널 현강 가는게...
-
랜덤짤 투척1 0
-
배속으로 보면서 문제푸는 요령 정도만 배울려고요 메가 대성 다 ㄱㅊ아여
-
보고싶은 사람들이 몇명있어요
-
NeuroMatch Academy - 예비 뇌과학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1
이번 시간에는 한국에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고 저도 뇌과학 공부를 하고 진로 진학...
-
내일 재검이라 뽑아왔는데 눈을 마주치지 않는다 눈을 거의 마주치지 않는다 이런거 다...
-
결정했다 1
앞으로 내 목표를 이루기 전까진 내 모든 걸 걸고 행복 따위는 안 바란다.
-
강사색깔 0
배성민:사파 한석원:정파 차영진:친젏한 한석원(정파) 현우진:사파인듯한 정파?...
-
아이돌 출신 조혜원님 키는 175 정도 되는듯
-
또 나만
-
우리집고양이ㅇㅈ 8
-
하...
-
28,30만 고정으로 틀린다고 가정하면 공부 시간 고려해서 확통런 하는게 맞음?...
-
쪽지왔는데 당황스럽네 15
-
풀이가 실제로 있더라죠 이거 기울기함수로 해석해서 푼사람은 ㄹㅇ 조건해석스탯이...
-
허수인구수보고 생윤 사문런하는 작금의 실태가 정상은 아니잖아
-
여기서 갬성글쓰면 10
욕먹는구나
-
아 개궁금한데 진짜
-
교육청 모고 개쓸모없음 12
교육청에선 의머생이던 내가 이세계에선 경희대생
-
이게 지방 약수고 이게 지방 의대인데 둘이 차이 좆도 안나잖아
-
물1화1 붐은온다
-
중학수학 0
개념 좀 다시 잡으려는데 50일수학말곤없음요??
-
공부양은 진짜 많음
-
작년 9모 수학 1
21번 이거 처음에 기울기함수인줄알앗음...
-
무보정으로 211212 뜸!
-
30번 빼고 29문제 60분컷 30번 답을 분명 제대로 구한거같은데 답이 분수나옴...
-
갬성시 써봤어요 14
열심히 공부를 하고 독서실을 나올때 느끼는 5초의 뿌듯함 그 짧지만 강력한 행복을...
-
야식 뭐먹지 7
흠
-
건방진 고양이 5
는 우리집 상전
-
확정 아니고 바뀐다는 말이 있던데 수의대는 변동 있을까요? 2025에 비해 나한테...
-
‘공부를 안 하기 때문’이다. ...라는 내용의 글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습니다....
-
선지 판단 팁 좀 생윤 장난질 심하다고 해서 비문학처럼 선지 판단하니깐 다...
하방이동이 많을 거라고 보고 따라서 폭 예측해봅니다
확실히 경쟁률 관련 가장 유의미한 지표는 예측경쟁률-체종경쟁률 차이겠죠?
음음 그거보다는 예전 경쟁률 -> 입결 대조를 참고하시는 편이...어떤가요
일례로 18학년도에 경제에서 소비자로 많이 내려와서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했었는데 그때 자료 참고해보셔도 될 듯 그런데 기억상 당시 소비자 경쟁률이 ㅂㅣ정상적이진 않았던 거 같아요
저도 여기서 소비자 5.58 나오길래 유의미한 지표인가 했는데
또 경쟁률이 터진다 해서 꼭 입결상승으로 귀결되는건 아니더라고요..
그건 맞아요 그런데 상위입결과의 소신지원을 직접적으로 바로 아래서 받ㅊㅕ주는 단위는 경쟁률 상승이 입결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히려 하위입결과의 경우는 경쟁률 상승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펑크가 나오기도 하고여..
이번 서울대 정치외교 동향은 어떻게 보시나요?
예측치 3.3 > 실측치 2.9후반으로 내려가긴 했는데
이게 호재인지도 명확히 판단하기도 어려운데
또 항간에 들리는 소리로는 상경쪽이 비었다해서..
그럼 하방 유입은 정외 사회 심리 농소가 아닐까 조심스래 예측하고 있거든요..
특히나 소비자 같은 경우는 단위명 때문에 상경과는 관련이 적은 학문임에도 서울대 상경 소신러들의 직하방이동을 많이 받는 편이라 타대학, 동대학 타단위보다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아 저가 근래 말씀 나눠봤던 분들 중 가장 내용이 알차네요..
이거 올해인가요? 헐
네네.. 저도 이게 뭔일인지 참..
0.9대1 아니었나요? 전 겁나서 넣지도 못하겠던데 무섭네요ㅜㅜ
다른 쪽은 자세히 살펴보지 않았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설정외 펑크는 17학년도에 있었던 걸로 기억하고 그것보다 살짝 늦게 있었던 시험에서 폭도 기록했던걸로 기억해서 그쪽 자료도 보심좋을것같네요
감사합니다.. 적어도 소비자처럼 컨설턴트분들 눈에 크게 벗어날 정도의 이상현상은 없나보네요.. 저는 gs나 페이트 ,낙지 예측으로 수렴했으면 합니다 .. ㅜㅜ
저 피카츄님 또 여쭤보고 싶는게 있는데 gs랑 19 18입시 실측컷이랑 오차범위가 어느정도 되는지 아시나요? 20서울대는 gs찐초기준으로 전원합격으로 알고있는데 그 이전기록들은 구할 수가 없네요..
거기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