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컴 질문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872001
정시 고민러들
복전 적성 진로 이런것만
하나만 미리답변하자면
xxx점인데 붙나요? >> 모릅니다, 붙으시길 기원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872001
정시 고민러들
복전 적성 진로 이런것만
하나만 미리답변하자면
xxx점인데 붙나요? >> 모릅니다, 붙으시길 기원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xxx점인데 붙나요?
ㅋㅋㄹㅋㅋ
자전으로 들어오는 분들 잘 적응하시나요?
넹 근데 자전분들 잘 안보여요
지하철 타고 한강 건너면 고컹 고컹 이런 소리 나던데 진짜인가요?
고컹고컹ㅋㅋㅋㅋㅋ
화반님 잘계시나요?
만나뵙고싶습니다 화반좌
고대 복전 많이 어려운편인가요??공대요
공대가는건 보건대->공대가 치열하고 나머진 널널합니다
감사합니다
규정 본적 있나오
그렇게 화석은 아닙니다 ㅋㅋㅋ
고컴은 의대 버리고 가신분 꽤 많죠?
수시정시 다 많아요 ㅋㅋ
졸업후 진로가 어떤가요? 선배들 기준
IT기업(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 10%
제조업(삼성LG) 30%
금융업(은행증권사) 10%
스타트업 10%
SI 10%
대학원 30%
고컴 상위 10퍼 아웃풋이 어느정도인가요?
실리콘밸리에 계시거나 스타트업으로 돈 쓸고계시거나
와 그저ㅇ도에요?
지사의 버리고 고컴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ㅋㅋ 의르비에선 의사와 비교하는거 큰일납니다 말을 아낄게요
ㅋㅋㅋ넵
문과로 들간분들 적응잘하시나요
1. 차별없음
2. 물화생지 안하고 수학만 1학년때 교양으로 2과목있는데 선형대수학은 행렬이라 이과도 안배우고 들어온거고 확통은 ㅋㅋ 알죠?
3. 인문출신 4.0 넘는사람 많아요
답글감사합니다
고컴 진로희망하는 학생입니다. 몇가지 더 여쭙겠습니다
1.20대중후반 입학케이스도 있나요?
2.케바케 추상적인 질문이지만 졸업생들 대~략 연봉이 어느정도로 추산되나요?
1. 중반이 25살 이상이면 한분 봤습니다 제가 많이 만나질않아서 ㅋㅋ 더 있을거에요
2. 위에 써놓은 것처럼 분야가 너무 많아요 그리고 개발자라면 실력따라 연봉도 천차만별이고 연차따라 또 다르구요! 연봉 average나 median을 컴과 사람들도 모릅니다. 관련해서 올라오면 논쟁도 있고요
나군에 고컴 적을까 생각하는 문과생입니다
원래 이과계열 학부다 보니 수학이나 과학쪽 공부가 필요할 것 같은데 고등학교 수준에서 어느 정도까지는 숙달이 되어있어야 하나요?
확률과 통계만 알고있으면 충분합니다. 전산학, 데이터과학에서 제일 중요한 수리과학적 백그라운드는 선형대수학, 확률과통계인데 전자는 어차피 고등교육과정 밖이라 누구든 새로 배우는 것이고, 후자는 고교과정이 계속 확장되는 구조에요. 미적분이나 물화생지도 필요없습니다
로스쿨 진입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컴과가 다른 과에 비해 수업 따라가기도 힘들고 학점도 따기 힘들다는 인식이 있어서요ㅠ
준비하는 분들도 있어요 정보통신 법률문제와 연관짓기에 좋다고 하더라구요
학점을 안준다기보단 A+이 좀 짜다는게 지론입니다
스타트업을 하는 경우 고컴 출신끼리 공동창업하는 경우가 많나요? 그리고 보통 이런분들은 원래 컴퓨터를 잘하시는 분들인가요? 제가 컴퓨터 하나도 모르는데 노력하면 따라갈 수 있는 수준일까요,?(나중에 스타트업쪽으로 가고 싶어서 의대 버리고 선택하려는데 고민 많이 되네요ㅠㅠ)
1. 네, 특히 고컴 내 융합전공에 소프트웨어벤처융합전공이라고 있는데 여기서 공동창업 많이 이뤄집니다! 크림슨 창업단에서 지원도 해주고요
2. 아뇨 꼭 그렇진않아요 그리고 스타트업과 현직에서의 능력과 학교공부는 독립시행이에요
3.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어요 ㅋㅋ 코딩경험없이 입학하는 비율이 50%쯤 됩니다! 할수있어요
감사합니당! 처음부터 스타트업 쪽으로 진로를 잡은 학생들은 입학할때부터 관련 동아리 같은게 있나요?
인사이더스라고 고대-연대 연합창업학회 등등 여러가지 있어요 :)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혹시 입학전 적성에 맞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언어 있을까요? 또 고컴 작년에는 풀로 싸강이었나요? 또 장학금 잘 주는 편인가요? (질문이 너무 많아서 너무너무 죄송해요ㅠㅠㅠ)
c언어 한번 해보세요
그리고 저는 작년에 강의는 풀싸강, 시험은 대면으로 봤습니다. 2학기 기말고사때는 코로롱이 심해져서 시험도 비대면으로 봤습니다.
장학금은 제가 해당되는게 없어서 못받아봐서 모르겠는데 받으시는 분들 보면 많이 받는 것 같기도 하고.. 여튼 소득분위 보는 장학금이 대부분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할려고 하는데 경영하고 컴중에 어디가 더 유망해보이시나요?
드라마 스타트업에 이런말이 나와요 “개발자와 경영인 중 하나를 선택해야한다” 그리고 주인공들이 개발쪽을 택하죠 스타트업의 핵심은 개발입니다. 어느정도 고성장을 이뤘을때 전문경영인을 고용하거나 본인이 공부를 해서 경영인이 될수도 있겠죠. 하지만 역은 힘들거에요. 답이 되었을까요?
인공지능 분야 공부하고 싶어하면 데이터과학과가 컴퓨터학과보다 나은 선택일까요? 아니면 큰 차이가 없을까요?
AI만 두고 볼때 학부만 졸업하고 취직하실 생각이라면 데과, 석사 이상을 하실거라면 컴과를 추천드리는데 AI 시장은 석사 이상은 필수라는 걸 감안하셔야할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혹시 왜 대학원 진학시에는 컴과가 유리한지 알 수 있을까요?
컴과가 데과보다 컴퓨터에 대해서는 더 깊게 배워요
데과는 그 시간에 인공지능 이론을 더 배우고요
대학원에서 인공지능 학과도 있는데, 인공지능이론을 더 배우면 이 쪽으로는 가는데 유리하지 않나요? 대학원 진학은 잘 몰라서... 질문을 계속하게 되네요
대학원가서 어차피 새로 배워야하기때문에요
인공지능이란게 적용에선 컴퓨터의 수많은 분야와 연관되는데 general하게 알아두는게 더 좋다고생각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입학하기 전에 해놓으면 좋을 공부가 뭐가 있을까요? 문과에서 들어가는 거라 수학도 걱정이고ㅠㅠ
제발 노세요 ㅠㅠ 굳이 꼽자면 C언어?
고컴 스타트업 10%정도라하셨는데 그중 성공해서 돈 많이 버는 분들도 많나요??
그럼요~
컴퓨터는 성적이 애매해서 데이터 과학과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신설과라 조금 고민되는데 괜찮겠죠?
그리고 데이터 과학과에서 배우지 않는 컴퓨터 학과에서만 배우는 과목은 뭐가 있나요?
네, 컴퓨터구조 네트워크 운영체계 정보보안 회로이론 이런 과목들은 데과에서 못듣는건 아닌데 본전공때문에 결국 안들을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