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nka · 413624 · 13/01/05 14:21 · MS 2012

    헐킈

  • 후생가외 · 428076 · 13/01/05 14:57

    오미 지린당ㅋㅋ 드뎌 이상기체에서만 성립하던게 깨지는구나 ㅋㅋ

  • acrase · 421333 · 13/01/05 16:36 · MS 2012

    헐 뭐지.....

  • 포트 · 428644 · 13/01/05 17:26

    책을 갈아엎지는 않을 듯 하네요..... 음의 굴절률 가진 메타물질 만들었을 때도 조금더 확장한 개념이 등장했죠 아마 이번에도 그럴 듯

  • 레바 · 383645 · 13/01/05 17:28

    일단 절대온도가 0도 아래로 갈 수 없다고 전제하고 쓴 정리들은 뒤엎어야겠죠..?? 저게 사실이라면요

  • 루이비늄 · 411455 · 13/01/05 18:37 · MS 2017

    이상기체 상태방정식 ㅃㅃ....

  • 카얀 · 426480 · 13/01/05 20:05 · MS 2012

    포트님말씀대로 확장된 이론을 만드려고 애쓰실듯..
    그렇게 따지면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나 뉴턴법칙은 백년도 더전에 이미 사라졌어야... 대충 맞으니 쓰는거죠 (진지 ㅈㅅ)

  • 설대물천14 · 411580 · 13/01/05 21:11 · MS 2012

    저게 워낙 특정한 조건에서 성립되는 거라서... 갈아엎어야할지는 두고봐야지 알수있는거 같네요..
    작년에도 빛의속도 넘는물체 발견됐다면서 호들갑떨다가 알고보니 실험상의 오류였다잖아요. ㅎㅎ

  • 설대물천14 · 411580 · 13/01/05 21:13 · MS 2012

    물론 이번엔 실험상의 오류가 있을거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갈아엎으려면 비슷한 실험을 많이 해보고 비슷한 결론이 나와야할듯..

  • 나교수 · 388083 · 13/01/06 10:29 · MS 2017

    음...
    그래도 고등학교 교과과정이
    변할 가능성은 없다고 봅니다ㅋㅋ

    현대과학의 수준은
    고등학생의 능력으로는 이해불가능이기에
    17세기 수준의 화학을 배경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설령 17세기의 화학이 뒤집힐수도
    있겠지만 그 오류의 과정조차도
    학문의 발전과정이기에
    이전의 방식이 어느정도...ㅋㅋ

    수학교과서도 100퍼센트
    엄밀하지는 않으니까요

  • Titan · 363016 · 13/01/10 01:44 · MS 2018

    갈아엎을 필요는 없습니다. 음의 온도라는 게, 이론적으로는 당장 물리학과 학부생 과정에서도 (엄밀하게는 아니지만) 대충은 소개되는 개념이라고 하네요. 다만 실험으로 발견된 것(+ 알파로도 뭐가 있다는데 저는 잘 모르겠고)은 놀라운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