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국어 [720978] · MS 2016 · 쪽지

2021-01-02 22:22:55
조회수 966

어제 답이 안 나와서 한 번 더 올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650684

국어 강사분이나 칼럼러가 답하셔도 좋지만 웬만하면 수험생 분들만...ㅎㅎ



이 지문의 3번째 줄을 봅시다.


평가원이 운용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논리적인 글의 전개상 저 단어가 사용될 수밖에 없습니다.





기출 분석은 이렇게 단어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 세밀하게 하는 습관을 들이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올해 수능에서 무너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텍스트를 대하는 피지컬, 사고력 자체를 늘려야 합니다.


화이팅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noonr · 897987 · 21/01/02 22:24 · MS 2019

    마지막 문단에 답이 있네요

  • 재이재이 · 1001257 · 21/01/02 22:25 · MS 2020

    이에 대해서는 ~ 지배적이었다 이부분을 운용이라고 표현한거 아니었나여

  • 재이재이 · 1001257 · 21/01/02 22:26 · MS 2020

    하루동안 답안나오면 그냥 모르는거에여 그냥 답알려주면안됩니까 현기증나는데에ㅜ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26 · MS 2016

    2문단과 3문단의 내용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는게 힌트?

  • 에이이게중요하나 · 851256 · 21/01/02 22:25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에이이게중요하나 · 851256 · 21/01/02 22:26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빵떡 (◞ꈍ∇ꈍ )◞⋆*✚⃞ · 986069 · 21/01/02 22:26 · MS 2020

    ㅇㅇ 저도 그렇게 생각함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27 · MS 2016

    좀만 더 정확하게...! 왜 운영과 사용을 표현해야만 했는지..?

  • 에이이게중요하나 · 851256 · 21/01/02 22:29 · MS 2018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재이재이 · 1001257 · 21/01/02 22:30 · MS 2020

    투자해서 이익뽑아내는게 운용이니까 운용아입니까 ㅠ

  • border collie · 947694 · 21/01/02 22:26 · MS 2020

    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자금을 사용하다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30 · MS 2016

    거의 맞습니다! 그게 어떻게 구현됐을까요

  • border collie · 947694 · 21/01/02 22:36 · MS 2020

    아 투자 자금으로서 사용한다는 건가
    사실 신문에서 연금을 운용이라는 말을 접하고
    운영하고 사용(활용)한다로 자연스럽게 이해해서
    이렇게 뜻을 찾아보는게 어렵네요

  • 논술뚫는다 · 989567 · 21/01/02 22:27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29 · MS 2016

    운용을 자본이나 기금따위에만 한정하여 쓰진 않아요! 그래도 좋은 접근인 것 같습니다 ㅎㅎㅎ 좀 더 수능국어적으로 생각해보시면 더 좋을 거 같아요

  • 0419k · 947779 · 21/01/02 22:27 · MS 2020

    돈과 관련된 것이라서..?

  • 말랑CAU · 651922 · 21/01/02 22:29 · MS 2018

    수험생 관찰중

  • 단무지하게 · 529473 · 21/01/02 22:30 · MS 2014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 저보면 공부하라 해줘요 · 998037 · 21/01/02 22:32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수능만점기원@ · 949229 · 21/01/02 22:34 · MS 2020

    규모적으로 포괄하는 의미의 범주가 운영이 운용보다 상대적으로 좁기때문 아닌가요?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37 · MS 2016

    이것도 맞습니다! 그렇다면 운영이 아닌 운용을 썼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수능 국어적으로 한 번 생각해봅시다 ㅎㅎ

  • @수능만점기원@ · 949229 · 21/01/02 22:43 · MS 2020

    운영이라는 단어가 쓰이는 맥락은 주로 제도나 대회 등 어떤 특정한 무언가 이고 운용은 주로 그런 무언가를 위해 이동하는 것을 표현하는데, 공적 연금 제도 라는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연금 기금을 국가의 책임으로 운용하기 때문인거 같습니다.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49 · MS 2016

    맞습니다! 그게 2문단과 3문단에 구현되어 있어요. 천천히 읽어보세요 ㅎㅎ

  • 23현역 · 970641 · 21/01/02 22:38 · MS 2020

    저금이 아닌 어디다가 사용을 한다를 어떤 사업같이 바라보아 나중에 돌려줘야하기도 하고 펀드같이 이를 이용한다는 표현보다 운용 한다는 표현을 사용하여 시장 체제의 일부인 것을 나타낼려고 그랬던것 같습니다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53 · MS 2016

    조금 더 수능 국어적으로 생각해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ㅎㅎ

  • hi8896 · 832634 · 21/01/02 22:38 · MS 2018

    투자 자금과 신탁기금의 차이를 구별하려고?

  • 논술뚫는다 · 989567 · 21/01/02 22:38 · MS 2020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나국어 · 720978 · 21/01/02 22:52 · MS 2016

    평가원이라면 3문단의 '투자'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을 거예요. 물론 '기금'이라는 측면에서 운용을 사용한 것도 정말 맞는 해석입니다! 2문단의 내용과는 어떤 관련이 있을지 생각해보면 좋겠네용 ㅎㅎㅎ

  • TheN · 985038 · 21/01/02 23:02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패션잡지 오르그 Editor · 892098 · 21/01/03 17:41 · MS 2019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chacha05 · 836970 · 21/01/05 10:21 · MS 2018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제도'와 '기금' 을 분리해내어 둘 사이 관계성을 찾는 게 핵심인 것 같아요. 2문단에는 제도를 둘러싼 설명이, 3문단에는 기금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두 문단은 사회적 연대를 위한 제도 - 사회 발전을 위한 투자 기금 / 경제적 성과를 위한 제도 - 노후의 소득 보장을 위한 신탁 기금 이라는 1:1 관계가 존재하구요.

    2문단 시작할 때 보면 제도를 '운영'한다는 말이 있고, 기금은 '운용'한다고 표현하였으니, 제도와 기금을 분리하여 보되 관계성을 찾는 것이 지문의 핵심 즉 출제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궁금해서 문제를 찾아보니, 실제로 딸린 문제 3개 중 하나는 제도, 하나는 기금, 하나는 둘의 관계성에 대해 출제 되었더라구요.

  • chacha05 · 836970 · 21/01/05 10:22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chacha05 · 836970 · 21/01/05 10:43 · MS 2018

    도출된 결론을 말하자면, '제도'와 '기금' 을 분리해내어 둘 사이 관계성을 찾는 게 핵심인 것 같아요. 2문단에는 제도를 둘러싼 설명이, 3문단에는 기금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리고 두 문단은 사회적 연대를 위한 제도 - 사회 발전을 위한 투자 기금 / 경제적 성과를 위한 제도 - 노후의 소득 보장을 위한 신탁 기금 이라는 1:1 관계가 존재하구요.

    단어의 포인트로 보자면, 2문단 시작할 때 보면 제도를 '운영'한다는 말이 있고 기금은 '운용'한다고 표현하였는데 이는 제도와 기금이 분리되어 쓰인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을 둘러싼 상반된 입장을 매칭하는 것이 지문의 핵심 즉 출제 포인트라고 생각해요. 제가 궁금해서 문제를 찾아보니, 실제로 딸린 문제 3개 중 하나는 제도에 대해, 하나는 기금에 대해, 나머지 하나는 섞어서 출제 되었더라구요.

    덧붙이자면, 1:1 관계로 매칭시키기가 쉬운 지문이기에 단어의 표현에 집중하지 않아도 틀만 잡고 읽었다면 문제는 충분히 풀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당 단어가 논리적으로 쓰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글을 쓸 때 작성자(출제자)가 개념과 구조를 어떻게 잡고 있었는지와 직결된 것이란 걸 깨달을 수 있어 의미있는 분석이었어요 :)

  • chacha05 · 836970 · 21/01/05 10:45 · MS 2018 (수정됨)

    수정이 안되어 새댓글로 남겼습니다! 저도 학생이라 옳게 분석했는지 궁금한데 평가해주실 수 있을까요??

  • No.99 Aaron Judge · 919199 · 21/01/09 20:25 · MS 2019

    이야....댓글 보니까 다들 대단하시네요 ㄷㄷ
    전 걍 그렇구나 하고 넘겼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