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교훈 1
계속 나댈 거 아니면 나대지 말자
-
그냥 같이 다니면 다니는거고 아니면 아쉬운거고 어차피 또 새로운 사람 만나면돼 이마인드
-
야구 개막 기다리는 중
-
그런 놈이 왜 또 새터를 기어들어와?
-
꼭 마주치는 듯 전 같은 관 같은 층 사람도 만남 ㅋㅋㅋ 윗쪽 의대일수록 더 그렇다고...
-
그 1명도 내 비계임...
-
난 또 1학년 새내기임
-
노래는 좋은데 누가 리메이크 좀 해주면 좋겠다
-
해도 볼 사람이 없음..
-
전적대 동기들이 프로필 보면 좀 놀랄듯
-
와 핑크.. www.youtube.com/shorts/3zwuOxVQUwE
-
돈 누가 가져가는거임? 운영진들이 다 먹는거임? 그럼 스캔러들이 호구인거아님?
-
학교 인스타를 모름
-
그러나 현실의 벽이 높다
-
난 잠시그녈지켜줄뿐야 아무것도 바라는 것 없기에 그걸로도 감사해 워어
-
이거만큼 신나는 게 없름
-
이라고 생각햇는데 나도하게됐음 ㅎ
-
지방대생이라 못 한다..
-
노래방 가거나 방탈출 이런거로 노는 것보다 노래 들으며 공원 한 바퀴 도는 거에 더 큰 힘을 얻음
-
학교 계정 태그하는게 간지임? 아님 학과 계정 태그하는게 간지임? 전자는...
-
이은미의 애인잇어요 불러주면 됨
-
어케 했노
-
대상혁이 새삼 대단하게 느껴진다
-
이번 대학생활은 5
솔플결정!
-
ㅁㅆㄲㄹㄱ 4
ㄴㅇㄹㄱㄹㅈㅇㄷㄱㅈㄴㅇㄹㄱㅇㅅㅎㅅㄹㄹㅈㄹㄴ
-
하
-
인정할게
-
하늘에 감사할정도로 운이 좋긴 했는데
-
하더라도 일시적인 거고 금방 까먹어요
-
친헤져서 꼬롬한 모습 보여도 되는 애들이면 남녀 불문하고 우훙거리거나 꼬롬한 얘기...
-
말 안 건 적 있음
-
먹고 죽자~ 1
-
남녀 의미있나 13
그냥 남자여자 둘다 평등하게 대하는 느낌인데 다들 좀 더르게 대하나
-
D-265 3
영어단어 120단어(day3 분량) 영어 단어는 꾸준히 외워야 한다. 그리고 정확히...
-
자기전 3
맞팔구
-
걍 폭발적으로 한번 올랏다가 걍 거기서 유지되고 더 안올라감 예외는 지학임
-
중경외시 건동홍 개꿀
-
로블록스할사람 12
로블록스할사람?로블록스 로블록스할사람 3만원현질햤는데..
-
삼수 7
현역 63144 언미생지에서 재수 43132 언미사문지1 했는데 삼수하면 사탐2개로...
-
여자애라 좀 그렇다.. 남자애였르면 디엠도 하고 했을텐데 여자애라 디엠하기 어렵네;
-
미적분학해봄 1
흐흐흐흫
-
사평우 어디감 5
그만자
-
아 촌놈인 거 티 안 났겠제
-
cctv만 잘 피하면 됨
-
24살 지잡대 다니다 수능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발점 고1상부터 시작해서 수2...
-
3학기만 하고 예과 졸업 가능한가..?
-
내가 붙은거 좀 신기하네..
이런문제는어디서얻나요?
수리나 문제집춫현좀
제가 공부하면서 문제 많이 풀고,
그걸 바탕으로 생각나는데로 만든거에여 ㅋㅋ
수리나 문제집은 자이스토리 추천 ㅋㅋ
a_4 (2) = 8 이고 a_5 (3) = 6 이어서 합하면 14인가요?
아랫문제는 5번이요!
ABA + A = E --> A(BA+E)=E 이므로 A의 역행렬 존재. (따라서 두번째 식 A^2 B^2 = A --> AB^2 = E 이므로 B의 역행렬 존재하는 것도 알 수 있고요.) (BA+E)A=E --> 원래식과 비교하여 ABA=BA^2 --> AB=BA 이므로 ㄱ 참.
ㄴ은 (ㄱ에 의해) AB^2 =E와 동치이므로 참.
B가 역행렬 존재하므로 ㄷ은 AB^2 = B^3 -B 와 동치. 이는 다시 B^3 - B = E 와 동치. 이 식은, 원식2개 A^2 B +A=E , AB^2 =E 에서 유도가능하므로 참. (A 소거하면 되는데, 첫식 양변에 B^3 곱해서 A^2 B^4 + AB^3 = B^3 --> E + B = B^3)
물어보시진 않았지만 껌은 자이리톨 추천 ㅎㅎ
네ㅋㅋㅋ 둘다 맞아요!
항상 열심히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ㅎㅎ
역행렬이 존재한다는것의 의미는 여기서 뭔가요?? 정의를 사용할수있다는건가요?
그리고 A- 같은 기호는 풀때는 필요가 없는건가요?
정사각행렬X에 대해 XY=E인 정사각행렬Y가 존재하면, 말 그대로 'X의 역행렬이 존재한다' 라고 합니다. 이 때 Y를 X의 역행렬이라 하고요.
위에서 A(BA+E)=E 이면 BA+E가 A의 역행렬이 되는 것이고, 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AB^2 =E 이면, (AB)B=E 이니까, AB가 B의 역행렬이 되는 것이고 B의 역행렬도 존재한다 말할 수 있고요. (혹은 AB^2 = E에서 A의 역행렬이 B^2 이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B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C=D 와 CB=DB가 완전히 동치입니다. C-D=O <==> (C-D)B=O 이기 떄문이지요. (좌 ==> 우 는 당연하고, 우 ==> 좌는 B의 역행렬을 우측에 곱함으로써 바로 얻을 수 있으니 동치입니다.) 이 사실을 ㄷ에서 사용했습니다^^
앜ㅋㅋ1번세로길이8인데 계속 2*3생각하면서 왜틀렸지하고있었네욬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