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업)사탐 만점 받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394138
예비 수험생 혹은 사탐을 망쳐서 반수를 생각하시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입니다.
특히 실수가 용납이 안 되는 과목들이 많아지면서 더더욱 커진 것 같네요.
사탐 만점 받는 법은
과탐 하듯이 공부하고 과탐 풀듯이 풀면 됩니다. 그냥 수년 간 연구하면서 느낀 것인데 이것 이외에 할 말이 없습니다.
물론 역사나 윤리는 좀 거리가 많이 먼 듯 합니다만...일반사회랑 지리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과탐만큼 투자하는건 말도 안 되고, 쓸데 없으니 이과생들이 과탐 대하듯이 꼼꼼히 분석하고, 빈틈 채우고, 문제 푸는 감각 올려서 수능장에 들어가라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상위권 학생일수록 개념만 돌려도 1등급이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기에 그럴 필요가 없지만, 본인이 대입하는데 있어서 사탐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면 이과 학생들 과탐 한 과목 대하는 것 반이라도 사탐에 투자하면 50이 안 나오기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벤치마킹을 합시다. 국어 수학 강의 들으면서 기출 분석하는 체계 얻었을 것이고 이과 친구들 과탐 문제 풀이 법 정리하는 것 보면서 자신만의 행동강령 정리하는 방법을 보았을 텐데 왜 사탐에는 적용 안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쉬운 과목이라고 생각하는만큼 시간 투자를 최대한 덜 하기 위해서 효율적으로 정리해놓고 고정 50 실력 만들어놓는 것이 무조건 개이득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정말 공감해요
근데 구라안치고 쌍지 5050은 할만함
정법도 사문과 함께 일반사회 과목입니다.

안 틀리고 다 맞으면 됨 이런 거 생각하고 들어온 사람은 나뿐인가?지리나 역사는 개념만 떼고 수특수완 아주아주 자세히 파는게 베스트 인 것 같아요 실모보다 더 나은 듯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EBS의 중요성을 매해 강조하고 있고, 이거라도 보라고 분석서 만드는 겁니다.ㅎㅎ
진짜 인정.. 그런데 한지 동사는 여전히 괜찮은 조합일까요?
넵 내년도 밀 조합이긴 합니다만, 한지 백분위 표점 보고 도망가도 할말은 없다고 봅니다..ㅠㅠ. 교수님들도 18학년도처럼 변별법을 찾으시겠지요.
그냥 내신하듯 공부하면 되던데... 지엽까지 개념 싹 다 외워버리기 사문은 문제 반복해서 풀기
맞습니다. 사탐만큼 내신처럼 공부해야 하는 과목이 없습니다. 막말로 사탐은 수준이 괜찮은 학교에서 좋은 강의 들으며 빡세게 1등급 받고 내신공부했으면 고정 50이 나와야 합니다.
ㅇㅎ
과탐 문제 풀이법 정리가 유형정리 말하시는건가요?ㅜㅜ
국어 수학을 하듯이, 혹은 이과생들이 과탐 유형, 파트별로 행동영역을 확실히 잡고 문제 푸는 기계마냥 풀이법을 정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떤 유형의 문제를 풀 때 어떻게 접근해서 어떻게 풀지를 체화하는겁니다.
예를 들어 수2 연속성 문제에서 함수의 연속성을 묻는 문제에서는 '불연속 지점을 찾아서 0을 곱해서 연속을 만드는 방식으로 접근해본다. ' 이런 좋은 도구? 혹은 행동영역이 있는데
사탐이라고 안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ㅎㅎ
지리버리고 사문법정 어떱니까
백분위 가져가시려면 추..

그거아니면 굳이 할필요가.. 곱창나는데 계속 들고있다가 몇점차로 대학 못가면..다 포기하고 저거 하나만 바라보고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고민중입니다
국영수가 안정적이다면 시도해볼만한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아랍어가 대체가 안 되는 상황이니...ㅎㅎ
동국대 등등 대학교 이제 아랍어 대체가 안되는건가요??
넵 수도권 몇 학교와(여대들) 지방 몇 곳 빼고는 대체가 안 됩니다. 사실상 사라집니다. 절평이니까요 대체되는게 이상하지요 ㅎㅎ
원래 아랍어를 볼 생각이였는데 안하는 것만도 못한데
아랍어 응시 자체를 안하는게 좋응까요?
응시는 하셔도 무방하긴 합니다. 서울대가 있으니까요. 서울대 가실 생각 없으면 그냥 사탐 끝나고 나오시는게..ㅎㅎ
서울대는 생각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안 치셔도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
진짜 일반사회(나 제가 오랫동안 공부한 건 아니지만 지리도 그런 느낌 있었는데)가 특히 그런 것 같은데 과탐처럼 한다는 생각으로 과탐의 반만 공부하면 만점 안 나올 수가 없겠더라고요
당연합니다.ㅎㅎ 스까닉님 오랜만이시네요. 잘 지내시죠?
넵 잘 지내고 있습니다 ㅎㅎ 그때 사회탐구 선택 강의는 아직도 기억하고 있고, 과목별 특징 얘기 나올 때도 그때 강의 얘기를 아무래도 많이 하게 되더라고요. 지금 생각하면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종종 오르비 들려서 많은 이야기 해주세요. 제가 아는 몇 안 되는 문과 정시 괴수신데...ㅎㅎ
세지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암울...변화가 시급...ㅠㅠㅠ
제가 사탐을 안 해봤습니다. 동일한 노력을 들였다면 물리1과 비교했을 시에 사회문화가 1등급 받기 쉽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비교하기도 민망합니다...ㅎㅎ;; 당연히사탐이 훨씬 쉽지요
제가 재수를 하게 됐는데 한지동사 괜찮을까요? 일반사회계열은 수능때 사문에 데인 기억이 있어서 겁나고 지리가 잘맞는데 세지는 이번년보면... ㅜㅜ
한지동사 굉장히 괜찮은 조합이라고 생각합니다. 추천하고 싶습니다.
한지세지보다는 그게 나을까요?? 자꾸 여쭤봐서 죄송합니다ㅜㅜ
동사사문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