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방송 톡!톡! 보니한의 [1014932] · MS 2020 · 쪽지

2020-12-26 13:25:18
조회수 2,006

김승리t 디올 맛보기 들어봤는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323488

뻔한 말 하는 것 같아서 국어 인강 듣기 고민되네요.


결국 문장 잘 읽고 초점 맞추고 유기적으로 읽자인데


인과 증감 반비례 문제해결 등 이런거 장수해서 다 아는데


실전 수능은 23진동하는거 보면 맛보기로는 섣부른 판단인가요?


인강 들어도 결국 또 글 잘 읽자일텐데..


뭐가 문젤까요? 실전력 체화가 부족해서 그런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히히헤헤꼴꼴 · 1015951 · 20/12/26 13:26 · MS 2020

    국어 3등급 정도만 되어도 그런거 다 알기는 앎

  • 생방송 톡!톡! 보니한의 · 1014932 · 20/12/26 13:28 · MS 2020

    제 문제가 뭘까요?

    막상 인강 들으면 아 뻔하고 다 아는 얘기네 하면서 중간에 안 들을 것 같은데

    뭐가 부족하길래 그리 다 알면서도 장수생임에도 불구하고 수능에서 23 나올까요?

  • 지거국도 좋다고 말해 · 957899 · 20/12/26 13:28 · MS 2020

    아는거랑 실천하는거랑은 달라서.. 잘하고 계시면 굳이?

  • 연경제20 · 880218 · 20/12/26 13:33 · MS 2019 (수정됨)

    인과, 증감, 반비례라는 구조독해, 방법론을 외우고 옆에 정리할 게 아니라 '아 이런 이유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구나. 당연해' '이게 올라가면 당연히 저건 내려갈 수밖에 없구나' '아 이게 문제점이구나, 그래서 이렇게 해결할 수 있구나. 당연해' 당위성을 납득하면서 글을 읽어야죠 ㅎㅎ

  • 생방송 톡!톡! 보니한의 · 1014932 · 20/12/26 13:34 · MS 2020

    제 생각에 당위성만 추가된건데 그 당위성을 깨우친다고 23에서 1이 되진 않을 것 같은데..

  • 연경제20 · 880218 · 20/12/26 13:39 · MS 2019 (수정됨)

    평범하고 사소한 것들이 본질적 차이를 만듭니다. 작년 수능 4등급에서 올해 수능 97까지 올렸습니다. 해보시고 나서 말해도 늦지 않습니다~. 실제 이번 수능 현장에서 지문에 표시하나도 안하고 샤프 내려놓고 고개 끄덕거리면서 '아 당연해' 이렇게 풀었는데 좋은 결과 나왔어요. 결국 국어의 본질은 당위성 납득의 독해라고 생각합니다.

    대학 교수가 글 읽을때 '아싸 첫 문단 화제에 네모치고, ps구조 잡고 옆에 비례, 증감 정리하자! 학자 이름엔 동그라이 쳐야지!' 이렇게 읽을까요?

  • 생방송 톡!톡! 보니한의 · 1014932 · 20/12/26 13:43 · MS 2020

    4에서 1로 올리신분 제가 원하는분이시네요.

    말씀하시는게 무슨 말인지 잘 알겠어요.

    근데 하.. 뭐랄까.. 그냥 잘 모르겠네요.

    갑자기 회의감도 들고 ㅋㅋ

    피크가 2019 82점인데 그 이후의 수능에서 1문제 차이로 3등급 맞고

    님은 인강 들으셨나요? 그리고 좀더 구체적으로 조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연경제20 · 880218 · 20/12/26 14:00 · MS 2019

    심찬우 선생님 현강 1년듣고 이후 심찬우쌤 인강 들었습니다. 쪽지 주세요

  • victory2022 · 1007085 · 20/12/26 17:10 · MS 2020

    그러면 작년 아수라일지라도 들어보세요 진짜 유기적연결 숟가락으로 퍼먹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