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자기복학각 [1014227]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0-12-22 20:21:57
조회수 4,491

지1 칼럼 200620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4160116

안녕하세요


어제 말씀드렸던대로 가볍게 맛보기로 칼럼작성을 해봅니다.


이 문제는 올해 6평 문제중 합리적으로 어려웠으며,


미래에는 이러한 종류(개념을 단순암기가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했는가를 묻는형태)의 문제가 많이 나올 것 같아 


이 문제를 선정했습니다.


특히나 지1개념이 다른 과탐과목보다 많다보니 단순 암기로 조지시는 분이 많으신데


개념 하나하나 어떤원리가 숨어있는지 궁금해하면서 이해를 하고 넘어가셔야 이런 문제에서 막히지 않습니다.



(출처 :평가원)


(이 문제의 포인트)

<기상위성으로 관측한 적외선 방출 복사 에너지의 편차(관측값 - 평년값)> 라는 발문을 힌트로


 적외영상 개념을 떠올릴줄 알았는가?


적외영상의 원리를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했는가?





적외영상의 원리를 단순 암기로 외웠다면 이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입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상영상에는 1.가시영상 2.적외영상 3.레이더영상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1.가시영상은 구름의 두께판단 2.적외영상은 구름의 고도판단 3.레이더영상의 강수구역판단 을 하는데 쓰이지~


라고 암기하고 넘어갈 것입니다.


위 암기사항만으로 위 문제를 풀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적외영상의 원리를 이해를 바탕으로 암기를 했다면 푸는데 수월했을 것입니다.


적외영상은 구름의 고도가 높을 수록 하얗게 보이지 ->왜 구름고도가 높을수록 하얗게 보이지?? 어떤 원리지?


->구름의 고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아서 적외선 방출량이 적어 그것을 이용해서 사람들이 적외선 방출량이 적을수


록  하얗게 나타나도록 표현한거야


이런식으로 개념을 단순암기가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외운 사람들은 이 문제를 푸는데 어려움이 덜 했을것입니다.





이 칼럼에서 다루는 중요한 부분은 아니지만 풀이를 간단히 해드리겠습니다.

1.(가)그래프를 보고 동태평양의 적외선방출량이 평년보다 적으므로 동태평양의 구름의 고도가 높은 엘니뇨임을 알수 있다

2.엘니뇨이므로 평년대비 고기압인 A는 서태평양 평년대비 저기압인 B는 동태평양이다

답은 ㄴ,ㄷ이다.




<그러면 처음부터 이해하려고 아둥바둥 개념을 착실하게 공부를 해야하는가?>라는 생각이 드시는 분이 계실 것입니다.


개념학습을 반복하다보면 이러한 궁금증 (뭔가 쌩암기만 했다는 느낌의 부분들)이 자연스럽게 눈에 보이실 것이며


한 번에 제대로 공부를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 공부하는 방법보다 보일때마다 해결하시는게 효율적일 것입니다. 





제 글을 좋아해주시는 분이 한 분이라도 계시면 다음글은 자료분석유형 문제에서의 행동영역에 대해 써보려합니다


아무래도 짧은 시간에 혼자 쓰다보니 오개념이나 오탈자가 있을 수도 있는데


혹시라도 수정해야하는 부분이 보이거나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