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점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283983
QnA를 받다가 아주 좋은 질문을 받아, 질문자분의 허락을 받고 질문과 답변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4번 질문에 대해서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아요. 공화주의가 이번에 새로 들어왔다보니 질문을 많이들 하시네용. 아 참 그리고 질문이나 답변 등에서 윤뿌가 언급이 많이 되는데, 바빠서 옮겨넣지 않았습니다..^~^ 혹시 안사신 분들 중에 궁금하신 분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해당 부분 사진첨부해드리거나 복사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윤뿌도 많이 사랑해주세요 딱 일주일 즈음 전에 하기 좋답니다ㅎㅎ
https://docs.orbi.kr/docs/7663-2021+생활과+윤리+뿌시기/
https://docs.orbi.kr/docs/7664-2021+윤리와+사상+뿌시기/
1. 이 부분은 50번 해설 중 끝에서 세번째 문장부터 읽으시면 이해가 빠르실 것 같습니다. 덧붙이자면 기질지성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는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아닙니다. 다만 기질지성을 좇을때 자주지권을 남용하여 따르게 된다면 잘못된 욕구를 좇아 악행을 저지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질지성이나 자주지권이나 모두 그 자체로 선악을 따질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기질지성을 자주지권을 남용하여 과도하게 좇으면 악행을 할 수 있지만, 악행의 원인이 기질이라고 보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기질 자체는 선도 악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악행의 원인은 자주지권의 남용입니다.
2. 플라톤의 입장에서 이상사회에서 생산자 계급은 절제의 덕만 갖추어도 충분하다는 뜻이지, 생산자가 지혜나 용기의 덕을 가질 수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누구든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을 조화하여 정의의 덕을 갖출 수 있고 그러하면 행복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선지는 생산자나 방위자는 상위계급으로의 계층이동이 가능한가라는 물음과도 연관이 되어있다는 생각이 들어 밑에 아주 길게 설명을 적었었다가 교과 내 내용도 아니고 오히려 이해를 해칠것 같아 모두 지웠습니다.
3. 홉스는 자연상태가 곧 전쟁상태라고 봅니다. 하지만 언급하신 제시문의 사상가는 자연상태와 전쟁상태에는 차이가 있다고 보며, 자연상태에서 전쟁상태로 이행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이 사상가가 홉스가 아니라 로크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4. 페팃, 즉 공화주의에서 방임의 자유를 주장했다고 보는 것은 위험합니다. 적극적 자유는 소극적 자유를 포함하는 개념은 아닙니다. 공화주의의 시민은 일정한 의무를 가집니다. 오히려 자유도로 따지면 자유주의를 따를 때 사람들은 더 자유롭겠지요. 자유주의에서는 독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나에게 피해가 없고 내 행동에 간섭이 없다면 용인하겠지만, 공화주의에서는 그러한 상태는 자유로운 노예와 다를 바 없다고 보며 독재자를 쳐내고 비지배로서의 자유를 실현하고자 할 것이니까요. 사실 공화주의는 어쩌면 공동체주의와도 비슷합니다. 공화주의는 공공의 가치와 공동선을 존중하고 공적 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국가가 시민교육을 통해 시민들로 하여금 덕성을 함양하도록 하죠. 자유주의가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며 개인의 가치관을 중시하는 것과 반대됩니다. 즉, 국가가 마냥 국민들을 자유롭게 내버려 두는 것이 절대 아닌것이죠. 이러한 부분에 대해 페팃은 자유인이란 단순한 자유로운 노예 이상의 존재라고 말했습니다. 5. 하이에크가 주장한 것은 자생적 질서가 맞습니다. 다만 이 선지가 틀린 이유는 자생적 질서를 '국가가' 일반적 규칙에 근거해 구축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자생적 질서란 말이 애초에 시장에 의해 저절로 자연발생적으로 생기는 질서라는 말인데, 국가가 자생적 질서를 인위적으로 구축한다는 표현 자체가 애초에 모순인 것이지요. 국가가 구축하는 순간 그것은 이미 자생적 질서가 아닙니다.
-------- 원본 이메일 --------
윤사 vol 1 동양사상 50번52번 50번의 해설로 보면 정약용은 기질의 성 (형구의기호) 때문에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고 설명해주시는데 그렇다면 52번, 인간이 인의예지를 실현하지 못하는 이유도 선천적 기질(형구의 기호) 라고 볼 수 있는것 아닌가요?ㅜㅜ
윤사 vol 1 서양사상 11번 플라톤 플라톤은 생산자 계급은 절제의 덕만 가지면 된다고 했는데 이 선지가 맞는다면 생산자 계급은 행복한 삶을 살 수 없는건가요?
윤사 vol 1 고난도 선지 뿌시기 마지막 제시문(수완 99p)라 되어있는 제시문 관련 질문 → 전쟁상태를 언급하는걸 보면 홉스아닌가요?ㅜㅜ
윤사 vol 1 사회사상 16번 저는 이 선지가 둘다 맞다고 생각했었는데요 페팃이 비지배로서의 자유를 말한건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극적 자유의 보장에 반대했을거 같진 않아서요ㅜㅜ.. 페팃이 소극적자유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보았던거지 소극적 자유의 보장에 부정했다고 볼 수 있나요?
윤사 vol 1 사회사상 30번 하이에크는 외생적 질서가 인간을 노예의 길로 가게 만든다면서 반대하고,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 시키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자생적 질서를 동의하겠다고 생각했는데 왜 안되는 건지 더 구체적인 해설을 들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자생적 질서도 ,외생적 질서도 아니라면 하이에크는 무슨 질서를 추구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초메가는 바로 들어갈 수있고 강대는 대기입니다 3합10이고 표준점수 121 124...
-
제가 재수를 결심하고 어머니께 시대인재를 가겠다고(2월에 바로 안되면 다른데 다니다...
-
수학 반편성시험? 그거 중요한가요? 2달놀아서 기억이안나는데..
-
이 글 쓰려고 오르비 가입한 이과 여자입니다ㅋㅋㅋㅋ큐ㅠㅠㅠ 재수라면서 끝반 쪽으로...
-
기숙말고 학사 잡아서 재수할건데 세 학원이 고민되네요... 성적은...
-
급식떡밥 터져서 물어봄 ㅎㅎ 뭐 어차피 짬보다는 맛있을 거니까..ㅎㅎ
-
서초메가 커리 0
지금 독재를 하다가 좀 힘들어서 서초메가로 옮기고 싶은데 재원생분들 현재 선생님...
-
강남대성본관 vs 서초메가(의치대관) vs 강대6야 1
고민되네요.. 서초메가에 장학금, 논술대면첨삭 등이 끌리는데 강남대성이 1등이라는...
-
서초 메가(의치대관)편입 vs 강대본관 편입 vs 강대6야 0
제곧내 참고로 11211 재수생
-
주관적 순위 1. 식당가 2. 명동칼국수 3. 오!부대찌개 4. 청솔해장국 1....
-
개인화장실 있으면 좋겠고요 가격도 비싸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재수를 생각하고 있는 고3학생입니다 재수학원 몇군데 알아봤는데 평가가...
-
등록을 늦게해서 전화로 문의하니 되긴됬는데 서메 홈피에 가서도 확인했구요 안내문자가...
-
강남대성2관vs 서초메가 다니셧던가 선행분분들 장단점좀 부탁해요 ㅠㅠㅠ 0
둘다 유시험이어서 고민중인데 분위기나 쌤들이나 아시는분들좀 알려주세요 ㅠㅠ
-
이과 재수학원 1
저는 6월 9월보다 수능을 훨씬 잘친경우인데 국어만 평소보다 떨어지고 영어는...
-
강남종로 준특반 지원해놓고 서초메가 붙으면 생각좀 해봐야하는데 국어 영어가 좀...
-
이번에 수능에서3 3 3 3(물1) 1(화1) 성적이 나온 현역인데요. 재수를...
-
담임쌤으로 좋으신가요?
-
서초메가 질문~ 3
2013수능 언수외과탐(2) 54332 나왔습니다...ㅠ 이과인데 서초메가로...
-
제가 수능성적이 강대는 무슨 ㅋㅋ 시험 자격도 없는것 같아요 ㅋㅋ 학평성적은 안보는...
-
분당서 살아서 서초메가 까지 통학으로 다녓구요 서초메가에 대해 궁금하신점...
-
서초메가 질문받아요ㅎ 12
수시가 끝나고 재수 생각하시는 분들 슬슬 늘어날 때네요.... 저도 이맘때부터...
-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서서 조사해보려고요^^ 각반별 선생님 라인업적어주시면...
-
수리영역 김진홍쌤 어떠신가요? 평이 김진홍쌤 송갑석쌤 두분다 좋다고하시던데 저희반에...
-
서초메가 13반 0
제 친구가 오늘 못갔다는데 13반 선생님들 라인업 아시는분?담임선생님이랑
-
모르시면 담임선생님이라도 써주심감사ㅜ전 s-1반이고 김징홍쌤이네요^^승동쌤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