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번은 더렵기도 하고 딱히 요청도 없어서 걍 패스했구 1 3 4번만 풀어봤습니다...
-
카의 논술 4번 0
그래프 그려서 풀어야 되지 않나요? 출처 : 포만한
-
좋은 의사 되겠습니다
-
와....대기번호도없이 광탈으아리ㅏㅇㄴㄹ
2번은 더렵기도 하고 딱히 요청도 없어서 걍 패스했구 1 3 4번만 풀어봤습니다...
카의 논술 4번 0
그래프 그려서 풀어야 되지 않나요? 출처 : 포만한
좋은 의사 되겠습니다
와....대기번호도없이 광탈으아리ㅏㅇㄴㄹ
물 100ml에 소금 2g 타면 부피가 무엇인지 알 수 있나용?
100ml에 900ml 더하면 1000ml 아닌가용??
예시가 부적절한게 수용액의 상태가 100ml인거니까 900ml 더 넣으면 산술적으로는 1L 맞지않나요?
저도그렇게생각했어요ㅠㅠ
ㄴㄴ 부피의 정량적인 합을 기대하기위해선 두 용액의 상태가 완전히 같을 때만 성립해요.
감사합니당
ㄷㄷ 설 의 눈 !

헤헤 과찬과찬추가로 넣은 용액이 증류수가 아니라 같은 용질에 몰농도를 가진 용액일 때만 성립한다는 소리.
강산 아닌 이상 이온화도는 상수가 아니에요
화1에서 강산 약산 으로 오답의 근거를 만들 수 있나요??
아.. 저 화2따리라 화1에서는 따로 강산 약산을 구분 안 하나요?
화1에서는 따로 구분하는 내용을 배우지는 않아요
수능은 이렇게안나올듯..?아마 부피1리터가 아니라 틀린거같운데,,
예전에 이투스 월례 내용중에 이거랑 비슷한거 있었던거 같은데 수용액 희석시킬때 부피 플라스크를 쓰는게 아니라 그냥 산술적인 양을 더하는거는 100ml + 900ml 했을때 1L가 아니다 이런 의도로 나온 선지가 있었는데 그거 같아요.
그럴거면 정확히 계산해서 쓰지 왜 부피 플라스크 쓰냐는 박상현쌤의 답변도 있었습니다 참고하세요!
그럼 저 보기가 그렇게 좋은 보기의 표본은 아니다 이말씀이시죵??
그렇죠 수능에 이렇게 나올일은 없을거 같아요
감사합니당
암튼 박상현쌤 대답에 따르면 100ml에 900ml 넣으면 1L보다 작을겁니다
부피변화는 무시한다 는 조건이 없어서 1L가 될 수 없습니다.
누구껀가요?
고석용t 두근두근 모의고사 입니다
대학교화학일걸요? 교과과정외 내용일거에요 물에서 이온화하면 주위를 땡겨서 정확히1L는 안되는걸로 알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