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인지적 [957564] · MS 2020 · 쪽지

2020-11-16 22:52:12
조회수 354

공자 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3130260

공자에게 있어서 예가 인위규범인가요?

김종익 t가 기출 분석때는 인위적 규범이라고 하면 100%순자라고 하셨는데 갑자기 파이널 정리때는 공자도 예를 인위 규범이라고 하는 것을 인정한다고 하시네요;;;;


+공자에게 예는 후천적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wqgkrqjsy · 995418 · 20/11/16 22:55 · MS 2020

    공자가 예를 언급한 적이 있나요...? 이건 나도 궁금

  • 만인지적 · 957564 · 20/11/16 22:56 · MS 2020

    찾아보고 있는데 예를 선천적이라고 한 적도 없고 후천적이라고 한 적도 없네요;; 극기복례나 인을 실현하기 위해 예를 실천하라고 한 적은 있는데 예가 인위적이라고 말한 적도 없고;;

  • wqgkrqjsy · 995418 · 20/11/16 22:56 · MS 2020 (수정됨)

    근데 예 자체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규범이니까 후천적이라는 거 아니에요? 근데 이게 공자랑 엮이는지를 모르겠네

  • 만인지적 · 957564 · 20/11/16 22:57 · MS 2020

    공자도 예를 언급하긴 하는데 순자랑 다르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인지 여부 언급한걸 못 찾겠네요

  • 루리루리루라루 · 808744 · 20/11/17 06:38 · MS 2018

    “예가아니면 보지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마라” 논어에서 나왔어요
    예는 인위적 도덕규범 생각하시면 돼요 유교 사상가 모두가 긍정함

  • 잼민이 · 998447 · 20/11/16 22:59 · MS 2020

    순자의 예가 공자의 사상에서 더 발전시킨 부분이에요 애초에 예 자체의 목표가 인위적인 절제, 자제 이런거고요

  • 잼민이 · 998447 · 20/11/16 23:02 · MS 2020

    너무 분리해서 생각하시기보다는 같은 유교 사상가로 묶어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주요한 차이는 예 자체라기보다는 성악설 성선설 정도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Zola · 758219 · 20/11/16 23:56 · MS 2017

    공자는 인을 내면적 도덕성, 예를 외면적 사회규범으로 봤습니다. 그런데 이걸 구분해야 하는건 윤사지 생윤에서는 필요없을 듯요. 열공+즐공=대박!!

  • 만인지적 · 957564 · 20/11/17 12:28 · MS 2020

    외면적 사회 규범으로 인정하는 건 저도 알겠는데 인위적인 사회규범이라고 하는 건 여태까지 순자한테만 준 선지 였는데 이런 식으로 말씀하시니까 헷갈려서 그렇습니다

  • a911989Dq · 980519 · 20/11/22 21:30 · MS 2020

    그런 말씀이 있나요?

    저는 외면적 사회규범이라고 하시는건 들었어도

    인위적 사회규범이라고 하는건 인강때 못들어봤습니다.

    어디있나요?

  • 만인지적 · 957564 · 20/11/22 22:34 · MS 2020

    잘잘잘 5강 도가 윤리할 때 인위규범을 버리고 덕을 다스러야한다는 도가 선지 설명해주실 때 했습니다

  • a911989Dq · 980519 · 20/11/23 00:05 · MS 2020

    혹시 윤사가 아니라 생윤 말씀하시는 건가요??

  • a911989Dq · 980519 · 20/11/23 00:15 · MS 2020

    제가 알기로는 그 인위규범이라는 것 자체가 애초부터 유가 기본사상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차피 공자도 인위규범을 부정할리가 없죠,

    그리고
    그 인위라는게 "인간중심"이냐, "인간의 작위"이냐를 좀 구분하면서 설명하실때, 인위규범이라고 하신것 같습니다.

    그리고 애초부터 사회규범이란 것이 인위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극기복례라는 것이 인위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죠,

    하지만 맥락상 그 인위라는 것을 "인간이 제정"의 관점으로 보는 것이 수능상 주된 의미이기 때문에
    엄밀히 보자면 x가 맞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