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언어논리 기출문제를 풀어 봅시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854360
지난해쯤 PSAT이라는 시험에 언어논리라는 과목이 있다는 걸 알게 된 사람입니다.
학교에서 교양/전공 수업으로 PSAT 언어논리를 배웠었는데,
그걸 계기로 제 교양 수준의 논리학 지식이 비약적으로 늘어난 것은 물론, 글을 읽고 쓸 때 그 논리성을 더욱 엄밀하게 따져 볼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겐 PSAT 언어논리 문제를 푸는 게 수능 국어 비문학 푸는 것보다 훨씬 쉽고 재미있었는데, 언어논리 과목을 공부하고 나서 수능 국어 비문학 문제를 푸는 실력도 그 이전에 비해 훨씬 향상된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둘 사이에 정확히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결과적으로 그랬어요.
빨리 PSAT이든 LEET든 각 잡고 준비해 보고 싶네요.
오늘 가져온 문제는 2016년 민간경력자 PSAT 언어논리 20번 문항이에요. 심심하신 분들 한번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조건명제에 대한 대입 수험생분들의 이해도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기도 해서요! :) 풀어 보신 분은 답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 감사합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PSAT!!!
성대에 아주 유명한 교수님이 계세요! 홍지호 교수님이라고...ㅎ NAKNAKLOVE♡♡♡ 님도 혹시 논리학에 관심 있으시면 성대 합격하시고 홍지호 교수님 수업 꼭 들어보시길 추천해요 :)
3?
풀이 과정 좀 여쭤봐도 될까요?
ㄷ은 확실히 맞는데 ㄴ을 보니까 보편적 판단이 합리적 판단을 포함한다고 봐서 그냥 ㄱㄷ 골랐어요 첨에 ㄱ은 핀트가 엇나간 것처럼 보이긴 했는데 음..
음? "ㄴ을 보니까 보편적 판단이 합리적 판단을 포함한다고 봐서" 요 부분이 무슨 말씀이신지 잘 이해가 가지 않아요 ㅠㅠ
밑줄 ㄷ을 보면 보편적~판단만이 합리적 판단이다. 라고 나와있는데 그거를 보편적 판단 안에 합리적 판단이 있어야 되는 걸로 봤어요.
엥 근데 이렇게 보면 ㄴ 맞는거 아닌가요
정확히 푸신 것 같은데 그럼 ㄴ 선지가 왜 틀리게 되는 거죠..?
그건 저도 잘.. 눈풀해서 헷갈렸나봅니다 ㅠㅠ
5번
풀이 과정을 여쭤봐도 되나요?
ㄱ은 그냥 맞다고 판단(왜냐고 물어보면 할 말이 없...)
ㄴ, ㄷ은 집합에서 쓰는 벤 다이에그램 써서 풀었어요
ㄱ도 벤다이어그램 써서 풀어보세요!
아... ㄱ은 틀렸네요 4번이요
ㅋㅋㅋㅋ 이걸 놓쳤네요
한번 풀어보세욤!
ㄴㄷ이니까 4번이군요!! ㄱ이 틀렸다는 걸 알아내는건 어렵지 않고(보편판단의 일부가 윤리판단이지 전부가 아니므로) ㄴ은 합리=이성=보편으로 이어지니까 맞고?? ㄷ은 ㄱ ㄷ만 참으로 놓으면 보편판단 안에 윤리판단과 합리판단이 있는거니 교집합을 제외한 부분이 존재할수 있어 ㅁ이 성립할수 없는거죠??
정확히 푸셨습니다.
그런데 다들 벤다이어그램으로 푸시네요..! 사실 조건명제의 규칙으로 풀면 더 빠르고 쉽게 풀리는 문제예요!
왠지 진리표로 나타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ㄴ:이성적 판단은 보편적으로 수용된다
합리적 판단은 이성적 판단이다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판단만이 합리적 판단이다=이성적 판단은 보편적이고 합리적 판단은 이성적이니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판단만이 합리적 판단이다가 성립
ㄷ:보편적으로 수용되는 판단=윤리적 판단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판단 합리적 판단
합리적 판단만이 윤리적 판단
ㄱㄷ이 참이면
합리적 판단만이 윤리적 판단이 아닌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판단도 윤리적 판단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