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volved Slave II · 872525 · 20/10/18 17:29 · MS 2019

    그때그때 편한 거로요 가끔 미분해서 풀라는 의도로 낸 게 합성으로 풀면 훨씬 편한 경우도 있어서

  • 000007265 · 951184 · 20/10/18 17:32 · MS 2020

    근데 그때그때 편한걸로풀어도 아예 처음 시작 접근은 어떻게하시나용? 미분이 더편하지않나요?

  • Evolved Slave II · 872525 · 20/10/18 17:33 · MS 2019

    나형은 미분으로 풀고 가형은 주로 합성으로 풀어요. 나형은 합성이 애초에 의도일 수가 없어서요.

  • 000007265 · 951184 · 20/10/18 17:37 · MS 2020

    그렇군요.. 그런데 복잡하더라도 합성으오 풀수 있는 문제는 미분으로 풀어도 무조건 풀리죠..!?

  • Evolved Slave II · 872525 · 20/10/18 18:27 · MS 2019

  • umrhai · 712111 · 20/10/18 17:32 · MS 2016

    익숙해지면 증가 상승으로 하는게 편한경우가많더라구요 미분하면 더러워져서

  • 000007265 · 951184 · 20/10/18 17:33 · MS 2020

    증가상승을 고려한다고 해도 저는 정의역에 들어가는 함수의 y좌표를 모를때 기준을 어떻게 둬야할지 모르니까 헷갈리더라고요ㅜㅜ

  • umrhai · 712111 · 20/10/18 17:36 · MS 2016 (수정됨)

    F(g(x)) 면 g(x)가 어떤 문제에서 특정 x에대해서 g(x)값이 아직 미결정 상태란말인가요.??

  • 000007265 · 951184 · 20/10/18 17:37 · MS 2020

    네 예를 들면 g(x)가 삼차함수라는 조건만 주어지고 식을 모를때?

  • umrhai · 712111 · 20/10/18 17:42 · MS 2016 (수정됨)

    근데 그런거도 그냥 증감파악해서 극대극소 위치보고 삼차함수 결정하라고내는 문제 많아요 삼차함수 개형은 몇개안되니까.. 작년에 그런거 엄청많이 풀었엇는데
    두 방법으로 다 해보심이? 충분히 나올수있는 주제에요
    출제의도에따라서는 둘중 어느 한가지만으로 풀릴수도있고.. 제가 그문제를안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