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수학이좋은의대지망생 [977469] · MS 2020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2696915
19번 ㅈㄴ 문제있는데;; 3번이 도대체 왜 맞는 선지지ㅋㅋ 장난하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지문에 있는 개념 적용 시켜보면 A는 자연수 집합 개념이고, B는 유리수 집합 개념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일대일 대응이 되고, A보다 B의 원소들이 더 조밀하므로..) 그러면 B는 셀 수 있는 무한집합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지문에서 셀 수 있는 무한집합의 기수를 의미하는 N0(알레프 제로)를 B에도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B의 집합의 기수는 N0입니다... 라고 저는 풀었습니다. 제가 틀릴 수도 있으니까 반박도 환영합니당
A가 자연수집합이라는게 보기에 있는 내용이 아니고 2번 선지에서만 전제하고있는게 문제인것같습니다. 솔직히 보기만 읽었을 때에는, A,B 둘 다 셀 수 없는 무한집합이어도 상관없을꺼같거든요. 적도에서 무리수 경도가 정의 안되는게 아니니까요
음.. 그렇게도 생각할 수 있겠군요.. 박광일쌤 Q&A에다가 한번 물어봐보세요
2026 수능D - 191
수능 4번 본 국어 100점/ 대치동 그룹강의 진행중
1등급 수학
강릉 중하위권 전문 수학과외
민사고 의대생 수과학과외
고등국어 학원 원장 출신입니다.
고등학교진짜영어쌤
지문에 있는 개념 적용 시켜보면 A는 자연수 집합 개념이고, B는 유리수 집합 개념에 해당한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일대일 대응이 되고, A보다 B의 원소들이 더 조밀하므로..) 그러면 B는 셀 수 있는 무한집합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지문에서 셀 수 있는 무한집합의 기수를 의미하는 N0(알레프 제로)를 B에도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B의 집합의 기수는 N0입니다... 라고 저는 풀었습니다. 제가 틀릴 수도 있으니까 반박도 환영합니당
A가 자연수집합이라는게 보기에 있는 내용이 아니고 2번 선지에서만 전제하고있는게 문제인것같습니다. 솔직히 보기만 읽었을 때에는, A,B 둘 다 셀 수 없는 무한집합이어도 상관없을꺼같거든요. 적도에서 무리수 경도가 정의 안되는게 아니니까요
음.. 그렇게도 생각할 수 있겠군요.. 박광일쌤 Q&A에다가 한번 물어봐보세요